서울의대-서울대병원 비대위 9일 토론회 개최
포괄적인 의료 정보 관리 시스템 필요성 대두
상급종합병원의 1차 의료 기능 외래 축소 주장
[서울=뉴스핌] 조준경 기자 = 1차 의료와 지역 의료를 살리기 위한 의료계 전문가들의 다양한 의견이 개진됐다. 일관된 의료 정보 시스템 구비와 각 의료기관 간의 원활한 소통의 필요성이 주로 거론됐다. 또 상급종합병원(상급종병)의 외래 진료 기능 축소도 언급됐다.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가 9일 오후 서울대병원 양윤선홀에서 '일차 의료와 지역 의료 살리기'를 주제로 전문가들을 초청해 토론을 진행했다.
[서울=뉴스핌] 조준경 기자 =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가 9일 '일차 의료와 지역 의료 살리기'를 주제로 토론을 진행 중이다. |
이날 토론회에는 지역에서 희귀 질환을 앓고 있는 아이의 보호자도 참석해 실제적으로 겪는 어려움을 설명했다.
경남 김해에서 신증후군을 앓고 있는 환아의 보호자 최현순 씨는 "아이의 희귀질환을 받아줄 지역 내 의료기관이 거의 없다"며, "모두 큰 병원에 가보라고 하고, 서울로 보내려고 한다. 부산에 있는 대학병원 응급실에서도 거부를 당했다"고 말했다.
실제 희귀질환과 중증 질환을 가진 환자들은 지역 병원의 치료 한계에 부딪힌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서울에 있는 대학병원으로 통원해야 하는 의료 시스템의 비효율성과 고비용 부담이 발생한다.
이러한 환자들의 부담 완화를 위해 포괄적인 의료 정보 관리 시스템이 갖춰져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김종희 느티나무의원 원장은 "중증 질환자와 그 가족이 병원을 방문할 때마다 새로운 의사를 만나는 대신, 일관된 의료 정보와 포트폴리오를 관리하며 의료진 간의 원활한 소통과 안전한 진료가 가능하게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장애인 및 고령자와 같은 의료 돌봄이 절실한 집단을 위해 지역사회 내 1차, 2차, 3차 의료기관이 긴밀하게 협력하고, 방문 진료 및 다학제 팀 활동을 통해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의료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원장은 "지역의 1차 의료는 상급 의료기관과 긴밀한 연결이 이뤄져야 하고 그것이 제도화돼야 한다"며 "또 방문 의료와 돌봄 종사자 등의 연결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박성배 일산병원 일차의료개발센터 교수는 1차 의료 시스템의 강화와 적절한 관리 체계 구축을 강조했다. 그는 1차 의료의 속성은 ▲지속성 ▲포괄성 ▲조정성 ▲접근성이라고 정의했다. 앞으로의 미래 의료는 현행 1차 의료기관을 비대면, 방문 진료에 기반한 재택의료 중심으로 발전시켜야 한다는 주장이다.
지속성은 지역에 기반한 환자와 의사의 신뢰 관계다. 10~20년에 걸친 환자와 의사의 관계가 의료 정보 축적으로 이어지는 지속성을 가진다는 설명이다. 포괄성은 실제 의료기관을 찾는 환자 1,000명을 한 달 동안 지켜봤을 때, 94%가 1차 의료기관에서 해결될 문제들이라는 과거 통계에 기반한 주장이다.
조정성은 희귀 질환과 중증 질환, 난치성 질환을 상급의료기관으로 전원하는 역할을 가리킨다. 접근성은 1차 의료기관의 접근 편의성을 말한다.
박 교수는 "우리나라의 고령화로 인해 복합 만성질환자나 기능이 저하된 환자가 굉장히 많다"며 "이러한 문제에 대처하려면 의료기관 방문 여부와 상관없이 지속 관리가 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고 말했다.
상급종합병원(상급종병)의 외래 진료가 가지고 있는 1차 의료기관 기능을 축소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이주열 남서울대 보건행정학과 교수는 "대학병원의 1차 의료 기능은 입원 환자를 대상으로만 해야지, 외래 환자 부분은 정리가 돼야 한다"며 "상급종병의 1차 의료 기능을 가지게 됨으로써, 지역 의료의 생태계 파괴가 이뤄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calebcao@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