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한국의 무기지원 조합 달라져
북한군 MDL 침범은 단순월경
일북 정상회담은 쉽지 않을 것
시 주석 방한, 상호존중 틀 중시"
[서울=뉴스핌] 김종원 국방안보전문기자 = 장호진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은 23일 "러시아가 앞으로 어떻게 나오느냐에 따라 우크라이나에 대한 한국의 무기지원 조합이 달라지는 것"이라고 밝혔다.
장 실장은 "한국 정부가 정확히 발표한 내용은 우크라이나 무기지원 문제를 재검토하겠다는 것이었다"면서 "러시아 측 하기 나름이라는 것을 다시 한번 강조하고 싶다"고 말했다.
장 실장은 이날 KBS 일요진단에 출연해 최근 북러 정상회담에서 사실상 군사동맹을 맺은 것과 관련해 남북러 관계에 대해 이같이 설명했다.
![]() |
장호진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 [사진=뉴스핌DB] |
장 실장은 "한국이 우크라이나에 어떤 무기를 제공할 것이냐 하는 것은 살상 무기든, 비살상 무기든 굉장히 여러 가지 기술적 진보나 여러 단계의 조합을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장 실장은 "(러시아 측이) 고도의 정밀무기를 북한에 준다면 한국이 더 이상 어떤 선이 (있을 수) 있겠는가. 국민 여론도 그럴 것"이라고 말했다.
장 실장은 "푸틴 대통령의 이번 방북은 우크라이나 전쟁 때문에 북한으로부터 필요한 무기나 물자를 지원 받아야 하는 입장이 가장 크게 작용한 것"이라고 말했다.
북러 간 맺은 조약과 관련해 장 실장은 "북한이 침공받았을 때 적용되는 조항이고 자동군사개입 조항은 아니다"면서 "북러 간의 군사법 절차에 따르게 돼 있어 한국이 그렇게 우려할 일은 아니다"고 평가했다.
장 실장은 "푸틴 대통령은 '한국이 먼저 침공할 것은 아니기 때문에 한국이 걱정할 필요가 없다'라고 했다"라고 설명했다.
최근 남북 간 군사적 긴장 고조와 관련해 장 실장은 "군사분계선(MDL) 침범은 전반적인 정황을 보면 단순 월경에 가깝다"면서 "김정은 지시에 따라 비무장지대(DMZ) 내에 불모지 작업과 전술도로, 지뢰매설도 하고 남북 간의 절연 동향들도 있다"고 말했다.
장 실장은 "비무장지대 내에 작업이 많아 작업 인원이 단순 월경하는 경우도 느는 것 같다"면서 "혹시 다른 어떤 시사점이 있는지에 대해서도 계속 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 |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6월 19일 평양 정상회담에서 북러 관계의 기존 조약과 선언을 대체하는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 관계에 관한 조약'을 맺었다. [사진=조선중앙통신] |
장 실장은 "북한이 대전차 방벽 세우는 것은 접경 지역에서 북한군이나 주민들의 귀순을 차단하기 위해 즉, 남북 간의 어떤 접촉을 절연하기 위한 그런 목적이 일단 더 큰 것으로 봐야 될 것 같다"고 평가했다.
장 실장은 "(대북) 전단 살포가 계속되면 반작용으로 무력 도발도 있을 수 있어 상당히 유형별로 시나리오를 갖고 많이 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중일 관계에 대해 장 실장은 "시진핑 주석 방한 문제는 항저우 아시안게임 당시 한덕수 국무총리와 회담 때 시 주석이 '방한을 진지하게 검토하겠다'라고 말했다"고 했다.
그러면서 장 실장은 "상호존중의 새로운 한중관계 기반을 잘 정립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시 주석의 방한도 그런 큰 틀에서 다뤄 나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북일 정상회담 가능성과 관련해 장 실장은 "일북 정상회담은 최대 현안이 납치자 문제인데, 그동안 북한 김여정이 내놓은 입장이나 일북 간 차이, 이런 것을 보면 단정하기는 그렇지만 대체적으로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장 실장은 "일북 간 접촉을 포함해 북핵이나 북한 문제와 관련해 좀 건설적인 역할을 해야 된다는 한일 또는 한미일 간에 충분한 공감대가 있다"면서 "아주 긴밀히 서로 협의해 가면서 할 것"이라고 말했다.
kjw861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