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졸 학력 비중이 가장 높아…전문인력은 대졸
방문취업 조선족, 비전문취업 아시아권 대다수
월평균 소득 200~300만원대 비중이 가장 높아
[세종=뉴스핌] 온종훈 정책전문기자 = 외국인과 귀화허가자 등 국내 체류 이민자 중 남성은 국내 취업을 위해, 여성은 결혼을 위해 '한국행'을 결정한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통계청은 17일 발표한 '2023년 이민자 체류실태 및 고용조사 결과'에서 이같이 밝혔다.
통계청은 국내 체류 이민자를 대상으로 2017년부터 법무부와 공동으로 매년 이 조사를 실시해 오고 있다. 조사 결과는 이민자의 고용, 체류관리 및 사회통합 등의 현황 파악과 관련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특히 이번 조사는 '체류자격별 외국인의 한국생활'을 주제로 우리 사회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외국인들의 가정·고용·경제·언어생활을 이해하고 관련 정보를 얻기 위해 실시됐다.
성별로는 남성은 비전문취업(91.2%), 전문인력(63.1%), 방문취업(58.3%) 분야에서 비중이 절대적으로 높았다. 여성은 결혼이민의 비중이 79.6%로 압도적으로 높아 내국인과 결혼이 '한국행'을 결정한 가장 큰 요인이었다.
이민자들의 교육수준으로는 전문인력 분야에서는 대졸이상(74.8%)이 가장 높고 전문 인력과 기타를 제외한 모든 체류 자격에서는 고졸 비중이 가장 높았다.
출신국적에서는 조선족 등 한국계 중국인의 비중은 방문취업(84.5%), 재외동포(73.7%) 등에서 높았고 비전문취업 분야에서는 기타 아시아(86.9%)와 베트남(12.9%) 출신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거주지역으로는 경기도 거주 비중은 방문취업(46.1%), 재외동포(43.1%), 영주(41.4%) 등에서 가장 높았으며, 이들 체류자격의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 거주 비중은 70% 이상이었다.
거처 종류별로는 방문취업(84.6%), 재외동포(71.6%), 유학생(70.9%), 영주(61.1%), 결혼이민(52.1%)은 일반주택 거주 비중이 높았고, 비전문취업은 기숙사(52.0%) 비중이 높았다.
외국인은 가족·친인척과 함께 살고 있음(51.0%) 비중이 가장 높고, 혼자 살고 있음(28.8%), 직장 동료 등 기타 동거인(20.2%) 순이었다.
체류자격별 취업자 비중은 전문인력(100.0%), 비전문취업(99.7%), 영주(74.8%), 방문취업(72.6%) 순이었다. 전체 외국인 취업자 중 비전문취업(29.1%) 비중이 가장 높았다.
외국인 임금근로자의 12.3%가 이직을 희망하고 있으며, 희망사유는 대부분의 체류자격에서 '임금이 낮아서'가 높았다.
외국인의 월평균 총소득은 '200~300만 원 미만'(32.8%) 비중이 가장 높았으며 이같은 소득수준은 비전문취업 66.1%가 전문인력 53.4%에 해당한다. 300만원 이상이라고 응답한 비중은 전문 인력(43.3%), 영주(40.3%) 순이었다.
언어생활면에서 한국어능력시험 급수를 취득한 외국인은 19.9%로, 유학생(57.2%), 전문인력(26.9%), 비전문취업(20.4%) 순이었다. 외국인의 한국어 실력은 평균 3.4점으로, 영주(4.3점), 재외동포(4.1점), 방문취업(3.8점) 순이고 비전문취업(2.7점)과 전문인력(2.6점) 등은 낮았다.
이형일 통계청장은 "이번 조사를 계기로 국내 외국인의 한국 생활에 대한 다양한 측면에서의 분석이 적극 활용되고, 이를 통해 인구·사회·경제 관련 이민 정책 수립에 실효적인 보탬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자료= 통계청] 2024.04.17 ojh1111@newspim.com |
ojh1111@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