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통계적 분류체계로 본 도시화 현황'
도시면적, 인구, 집중도 등 도시화 가속화
노령화 지수, 수도권 5배·전국 4.8배 급증
[서울=뉴스핌] 온종훈 정책전문기자 = 지난 20년간 국내의 모든 권역에서 도심과 그 주변으로 모이는 도시화율은 증가했으나 저출산의 여파로 급속히 늙어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26일 발표한 '통계적 분류체계로 본 도시화현황'에 따르면, 2000년부터 2021년까지 도시 면적은 수도권과 충청권, 전라권, 경상권, 강원권, 제주권 등 모든 권역에서 증가했다.
도시 인구는 수도권과 충청권, 경상권, 강원권, 제주권에서 증가했으나 전라권에서는 감소했다. 전체적으로 보면 도시인구 중 50% 이상은 수도권에 몰려 있었고, 다음으로는 경상권(24.5%), 충청권(10.0%), 전라권(8.4%) 순이었다.
수도권은 도시 인구와 도시 면적 비율, 도시화 비율, 도시 집중도 등 도시화 현황 관련 모든 지표가 증가했다.
전국 및 권역별 노령화지수 [자료=통계청] 2024.02.26 ojh1111@newspim.com |
도시의 노령화율은 전 권역에서 예외없이 발생했다. 15세 미만 유소년인구를 100으로 했을때 65세 이상 노령인구를 의미하는 노령화지수는 전국평균이 2000년 25.3에서 2021년 120.5로 4.76배 증가하면서 전 권역에서 증가했다.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은 2000년 24.5에서 2021년 121.3으로 5배 증가했다. 2021년 기준으로 강원권(138.3)과 경상권(133.7)이 가장 높았으며 충청권(93.1) 과 제주권(96.6)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통계청의 지역분류체계 작성은 인구 격자 표시 및 군집화(유형), 군집화 유형 분류, 통계적 지용 분류 등 4단계로 진행됐다.
우선 1㎢ 면적에 1500명 이상의 거주자가 있는 곳에 인구 격자를 표시하고, 지리적 인접성을 고려해 인구 격자 면적을 묶는 방식으로 군집화했다. 이후 격자 인구 및 군집화 인구 규모에 따라 군집화 유형을 3가지로 분류한다. 격자 내 인구 1500명 이상·군집화 인구 5만명 이상은 도심, 격자 내 인구 300명 이상·군집화 인구 5000명 이상은 도심 클러스터, 나머지 지역은 농촌이다.
이렇게 만들어진 군집화 유형은 행정구역을 기반으로 다시 재분류된다. 행정구역 인구의 50% 이상이 1개 이상의 도심에 거주하면 도시, 행정구역 인구의 50% 미만이 도심에 거주하면 준도시, 행정구역 인구의 50% 이상이 농촌에 거주하면 농촌으로 분류된다.
이렇게 분류된 도시에서의 조혼인율·의사 수·학생 수 등 지표가, 농촌에서는 합계출산율·고령인구 비율·자살률 등 지표가 높게 나타났다.
통계청은 229개 시·군·구 단위 지표를 대상으로 통계적 지역분류로 집계가 가능한 영역별 21개 지표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인구 밀도가 높은 도시 지역에서는 조혼인율, 직장가입자의 건강보험 가입률, 인구 1000명당 의료기관 종사자 의사 수, 교원 1인당 학생 수, 인구 천 명당 사설학원 수 등이 높게 나타났다.
준도시 지역은 순이동인구를, 유아 1000 명당 보육시설 수, 조이혼율 등이 높았다. 인구 밀도가 낮은 농촌 지역은 합계출산율, 고령인구 비율, 1인 가구 비율, 독거노인 가구 비율, 인구 10만 명당 자살률 등이 높게 나타났다.
ojh1111@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