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량되지 않던 19.1GW 규모 태양광 가시화
재생에너지 입찰제도 통해 시장 입찰 허용
[세종=뉴스핌] 이태성 기자 = 정부가 숨어있는 전력수요를 찾아내 보다 안정적인 전력수급이 가능하도록 개선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14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현재 27기가와트(GW) 규모의 전체 태양광 설비 중 72%는 전력시장에서 제외된 것으로 나타났다. 19.1GW의 수요가 평소에는 파악되지 않다가 기상상황에 따라 갑자기 등장하는데 이 문제를 해결한다는 얘기다.
산업통상자원부 한 고위 관계자는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태양광 발전 비중이 늘면서 전력수급을 관리 차원에서 공급 측면의 불확실성이 점점 늘고 있다"며 "과거엔 발전소의 설비에 대한 문제였다면 이제는 날씨나 기온에 의한 불확실성이 늘었다"고 말했다.
현재 전체 27GW 규모의 태양광 설비는 거래방식에 따라 ▲시장참여태양광(KPX) ▲한전 전력구매계약(PPA) ▲자가용(BTM) 등으로 분류된다.
이 중 시장참여 태양광은 실시간으로 전력공급에 포함되지만, 한전PPA와 BTM은 계량되지 않아 전력수요를 차감하는 방식으로 시장에 나타난다.
[자료=산업통상자원부] 2023.08.14 victory@newspim.com |
전력당국은 현재 총수요에서 비계량 태양광을 제외한 시장수요 기준으로 수급을 관리 중이다. 그렇다 보니 비가 오거나 구름이 해를 가리는 등의 기상상황에 따라 전력수요가 급증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시장에 참여하지 않는 비계량태양광으로 10GW의 전력수요를 충당하고 있다가 기상상황에 의해 발전량이 0GW으로 줄어드는 상황을 가정해보면, 이때 증가하는 전력수요는 20GW에 달한다.
산업부는 전력 수급관리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비계량태양광의 시장편입, 재생에너지 발전 사전입찰 등 예측가능성을 강화하는 제도개선을 추진할 계획이다.
우선 실시간 계량인프라를 구축하고, 시장참여를 유도해 전력수요에 숨어있는 비계량태양광의 영향을 가시화하기로 했다.
재생에너지 통합관제 시스템을 통해 유관 기관(한전, 거래소, 에공단)에 분산된 정보를 통합해 실시간 감시와 원격제어가 가능한 인프라 구축을 추진한다.
또한 전기사업법령상 시장참여 의무 기준이되는 설비용량 기준을 현행 '1MW 초과'에서 하향하는 등 시장참여 대상을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창문형 미니 태양광 설치 모습 [사진=안성시] |
다음으로 시장참여 태양광 설비를 늘려 발전량 예측능력도 높인다. 안정적 계통운영계획 수립이 가능하도록 하고 궁극적으로 중앙급전발전기로 편입을 목표로한다.
재생에너지 입찰제도를 통해 일정규모 이상의 재생에너 사업자의 시장입찰을 허용하고 재생에너지를 중앙 급전화해 다른 전원과 동등한 기회와 책임을 부여한다.
하루전 시장에서 익일 발전 예측량과 가격을 입찰하므로 발전량 예측 가능성을 향상시키고 필요 시 출력제어를 통해 안정적 수급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올해 말 제주지역에 시범적으로 도입되는 재생에너지 입찰제도는 시범사업 상황을 검토한 뒤 전국 확대를 추진한다.
또한 지난 5월 제정된 분산에너지특별법상 '통합발전소(VPP)'를 활용해 사업자 주도로 다양한 발전원을 조합해 변동성을 완화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VPP 사업자가 재생에너지와 에너지저장설비(ESS), 수요반응(DR)자원 등을 활용해 변동성을 완화해 전체 전력수급의 예측가능성을 키운다.
산업부 관계자는 "태양광 비중이 높은 미국 로스앤젤레스나 유럽 등 해외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며 "태양광을 시장으로 끌어들이고 계측 가능한 자원으로 만드는 정책을 고민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victory@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