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 당국, 추가 잔해물 탐색작전 지속
국방과학연구소 등 한미 정밀 분석
발사체 연료·재질·부품·개발 주목
[서울=뉴스핌] 김종원 국방안보전문기자 = 우리 군이 15일 저녁 8시 50분께 북한 군사정찰위성 1호기 발사체 실패 일부 잔해물을 인양했다.
지난 5월 31일 새벽 6시 29분께 북한이 평안북도 동창리 일대에서 남쪽 방향으로 군사정찰위성 1호기를 쏜 지 15일 만에 우리 해군이 발사체 일부를 인양하는데 성공했다.
해군은 북한 발사체 낙하물을 인양하기 위해 인양과 수색 작전을 대대적으로 벌이고 있다. 전북 군산 어청도에서 서쪽으로 약 200㎞ 떨어진 바다에 해군 해난구조전대(SSU)를 투입해 75m 해저로 내려가 고난도의 위험한 인양작전을 해왔다.
우리 군이 15일 저녁 8시 50분께 북한 군사정찰위성 1호기 발사체 실패 일부 잔해물을 인양했다. 군 당국이 16일 인양된 북한 발사체 일부 사진을 공개했다. [사진=합참] |
현재 해역에는 3500t급 수상함구조함 통영함(ATS-Ⅱ)과 광양함(ATS-Ⅱ), 3200t급 잠수함구조함(ASR) 청해진함 외에도 선박 여러 척이 투입됐다. 군은 추가 잔해물 탐색을 위한 작전을 지속하고 있다.
군은 북한 발사체를 일단 경기도 평택 해군 2함대사령부로 옮겨 조사할 계획이다.
인양된 물체는 추후 국방과학연구소(ADD)로 이송해 전문기관에서 한미가 함께 정밀 분석한다.
북한 발사체 일부는 12m 크기이며 직경은 2~3m 가량이고 무게가 많이 나가고 찰진 진흙 속에 묻혀 있어 인양작전에 적지 않은 애를 먹었다.
특히 수중 시정이 50cm 밖에 되지 않고 물살이 0.2~2kts로 거세 심해 잠수사들의 인양작전 시간에 제한이 있었고 안전사고 우려가 커 북한 발사체를 끌어 올리는데 당초 예상보다 시간이 많이 걸렸다.
해저에 완전 수평으로 누워 있는 15m 길이의 2단 발사체를 'ㄷ' 모양의 강철 고리를 이용해 인양을 시도하는 과정에서 분리체 상단부와 본체가 연결된 부분에 단락이 발생하기도 했다.
우리 군이 15일 저녁 8시 50분께 북한 군사정찰위성 1호기 발사체 실패 일부 잔해물을 인양했다. 군 당국이 16일 인양된 북한 발사체 일부 사진을 공개했다. [사진=합참] |
이에 따라 단락된 부분에 와이어와 'ㄷ' 모양의 강철 고리를 설치했다. 하단부에는 새롭게 식별한 관통구에 와이어를 설치해 인양하게 됐다. 와이어는 강철 철사를 합쳐 꼬아 만든 줄이다.
이종섭 국방부 장관은 지난 6월 3일 싱가포르 샹그릴라 호텔에서 열린 20차 아시아안보회의(샹그릴라 대화) 계기로 로이드 오스틴 미국 국방장관과 만나 북한 발사체를 공동 조사하기로 합의했다.
특히 미국은 북한이 어떤 발사체를 쐈는지에 대한 관심이 지대해 한국과 정밀 분석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한미는 2012년 12월 서해에서 인양한 북한 장거리 로켓 '은하 3호' 잔해 조사 때도 공동조사단를 꾸렸다.
전문가들은 북한 발사체 세부 제원을 ▲1단 추진체 8m, 직경 2.4m ▲2단 추진체 7.2m, 직경 1.8m ▲3단 추진체 4.5m, 직경 1.8m ▲페어링 5.3m, 직경 3.1m 정도로 추산했다.
북한 발사체가 떨어진 해상과 동체에 연료 흔적이 얼마나 남아 있을지 주목된다.
특히 북한 발사체를 인양 수거함에 따라 북한이 이번 위성 발사체에 어떤 재질을 썼고 어느 나라 부품까지 도입했는지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북한은 오랫동안 미국과 국제사회의 전방위 강력 제재를 받고 있어 중국과 러시아 등 다른 나라에서 적극 지원하거나 타국 부품들이 대거 들어가는 것은 쉽지 않을 것으로 분석된다.
다만 북한이 100% 자신들의 부품만으로 위성을 쏘아 올릴 수는 없어 중국제나 러시아제 부품이 나올 수도 있다.
당장 북한 발사체 무게가 어느 정도 되고 발사체를 어떤 것으로 어떻게 만들었고 어느 부분을 독자적으로 개발했는지는 충분히 분석할 것으로 보인다.
kjw861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