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첨단 시스템 반도체 클러스터' 로드맵에 보폭 맞춰
충청·경상·호남 등 위치한 주요 사업장 중심 투자
[서울=뉴스핌] 김지나 기자 = 삼성이 정부의 국가첨단산업∙국가첨단산업벨트 육성전략 발표와 맞물려 지역 균형발전과 국가 반도체 경쟁력 확대를 위해 10년간 비수도권 지역에 60조1000억원을 투자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이날 정부는 첨단산업 주도권 확보를 위한 과제를 발표하고, 정부 차원에서 용인에 215만평 규모로 단일 단지 기준 세계 최대 규모 '첨단 시스템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 계획을 밝혔다.
삼성전자 역시 정부와 보조를 맞춰 반도체 패키지·최첨단 디스플레이·차세대 배터리·첨단 적층세라막콘덴서(MLCC) 등 제조업 핵심 분야 중심으로 대규모 투자를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충청 반도체 패키지 등...거점별 제조업 핵심분야 투자
15일 삼성 투자계획에 따르면 삼성전자를 비롯해 삼성디스플레이, 삼성SDI, 삼성전기 등 삼성 계열사들은 10년 간 충청·경상·호남 등에 위치한 주요 사업장을 중심으로 제조업 핵심 분야에 총 60조100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충청권에는 반도체 패키지 특화단지·첨단 디스플레이 클러스터·차세대 배터리 마더 팩토리(Mother factory) 등을 조성한다.
삼성전자는 반도체 패키지 분야 경쟁력 제고를 위해 천안·온양 사업장의 차세대 연구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생산량 확충을 위한 시설 투자를 확대할 예정이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신규 디시털 기기 등 다양한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아산에 '디스플레이 종합 클러스터'를 구축하고, 삼성SDI는 천안에 '차세대 배터리' 연구·생산 시설을 구축한다. 이외에 삼성전기는 세종에 고부가가치 패키지 기판 생산 거점을 확대한다.
경상권은 차세대 MLCC 생산 거점·글로벌 스마트폰 마더 팩토리·고부가가치 선박 생산 거점으로 육성할 예정이다. 삼성전기는 부산을 MLCC 특화지역으로 육성해 MLCC용 핵심 소재 내재화를 위한 연구에 집중 투자한다.
삼성전자는 구미에 스마트폰 공장 '마더 팩토리'를 구축한다. 현재 구미사업장에선 삼성전자의 프리미엄 플래그십 스마트폰을 연간 1600만대 생산하고 있다. 이밖에 삼성SDI는 구미 첨단소재 특화 생산거점 육성하고, 삼성SDI는 울산에서 차세대 배터리 핵심소재 연구를 강화한다.
호남권선 삼성은 스마트 가전 제품 중심으로 생산량을 확대해 삼성의 미래 가전 사업에 더욱 큰 역할을 담당할 계획이다.
◆국내 반도체 생태계 활성화 위해 협력회사 등 지원 확대
[서울=뉴스핌] 황준선 기자 = 27일 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서초사옥의 모습. 삼성전자 이사회는 이날 오전 이사회를 열고 이재용 부회장의 회장 승진을 결정했다. 2022.10.27 hwang@newspim.com |
국내 반도체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선 국내 협력회사·중소 팹리스 지원 확대 및 스마트공장 고도화 추진,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펀드 신규 조성 등과 관련된 계획을 내놨다.
삼성은 반도체 설비·소재 경쟁력 강화 및 국산화 확대를 위해 국내 협력회사들과의 공동 연구개발을 확대한다. 이를 위해 향후 10년간 5000억원을 지원한다. 또 중소 팹리스 기업에 대한 'MPW(Multi-Project Wafer)' 지원을 확대 향후 10년간 5000억원을 투자해 국내 반도체 생태계 활성화를 지원할 방침이다. MPW는 팹리스 업체의 제품 개발에 필수적인 반도체 시제품 생산 지원 서비스다.
지방 중소업체 기술 및 자금 지원을 위해선 삼성은 산업 패러다임 변화에 따라 인공지능(AI)·디지털 대전환·ESG까지 고려해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 사업을 고도화한다. 또 2~3차 협력회사·취약 산업·소멸 지역의 기업들을 우선적으로 지원해 지역 중소기업 내실화 및 지역 균형 발전에 기여할 방침이다.
지역의 인재 양성을 위해선 지방 대학과 계약학과 운영을 활성화 해 성은 주요 국내 대학들과 함께 운영 중인 반도체 계약학과를 지방 소재 대학에도 신규로 개설해 지역 반도체 인재를 육성하고 미래 지방 산업단지 조성 여건을 구축할 계획이다.
삼성 관계자는 "이번 투자계획은 지역 풀뿌리 기업과 산업 생태계의 경쟁력을 높이고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어 지역 산업을 진흥함으로써 지역 균연발전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고 강조했다.
이어 "삼성은 반도체 패키지, 최첨단 디스플레이, 차세대 배터리, 스마트폰, 전기부품, 소재 등 지역별로 특화 사업을 지정해 투자를 집행함으로써, 각 지역이 해당 분야에서 글로벌 수준의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abc123@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