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23일~내년 2월 1일 신청 접수
전략부품 국산화 과제 등 19개 선정
내년부터 387억원 등 5년간 1040억원
[서울=뉴스핌] 김종원 국방안보전문기자 = 방위사업청(청장 엄동환)은 23일부터 올해 신설된 전략부품 국산화 과제를 포함해 모두 19개의 부품 국산화 개발지원사업 주관기업을 공개 모집한다.
부품 국산화 개발지원사업으로는 9개 과제가 선정됐다. ▲저고도 레이더 구동장치용 회전결합기 ▲패트리어트 발사대 구동용 직류 모터 ▲소해함(MHC) 음탐기용 조향장치 ▲KT/A-1 공기조화계통용 냉각 터빈 ▲FFX 선체부식방지 장치용 정류기 ▲해상초계기 전자전체계용 신호처리기 등 3종 ▲소해함(MHS)용 음탐기 예인체 ▲KSS-II(214급) 군위성통신체계 단말용 장치 ▲K1E1/K1E2 전차용 탄도계산기장치 등이다.
여기에 더해 전략부품 국산화 과제 10개가 포함됐다. 내년 2월 1일까지 업체로부터 신청을 받아 4월 중 참여 업체를 최종 선정한다. 선정되지 않은 업체들을 대상으로 사유와 보완 사항을 안내하는 디브리핑도 실시한다. 1차 현장조사 평가는 2월, 대면 2차 평가는 3월, 최종 선정은 4월까지 한다.
정부과천청사에 있는 방위사업청. [사진=방사청] |
부품 국산화 개발지원사업은 무기체계에 사용되는 핵심 부품 중 국외에서 수입하는 부품을 국내 제품으로 개발하는 사업이다. 주관기업으로 선정된 업체는 기업유형에 따라 과제당 개발비를 중소기업 75%, 중견기업 70%, 대기업 50%까지 최장 5년 간 지원받을 수 있다.
이번 3차 공모 과제의 주관기업으로 선정되면 내년부터 387억원을 시작으로 향후 5년간 정부개발지원비 약 1040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양산물량 등이 포함된 소요물량과 부품단가로 산정한 기대 효과만 약 1조 7636억원에 이른다. 향후 무기체계가 수출에 성공하면 부품 국산화 참여 기업도 추가 수출 물량을 납품할 수 있어 기업 매출액 향상도 예상된다.
이번 공모는 지난 4월과 8월에 실시한 1차 20개 과제와 2차 32개 과제에 이어 올해 세 번째다. 핵심부품 국산화 과제는 국산화 대상품목 발굴협의체를 통해 발굴한 9개 과제와 2차 선정 과제 중 협약이 체결되지 않은 '5인치 함포용 포열' 1개 과제를 포함했다. 기존 양산단계는 물론 소형무장헬기(LAH)와 장거리 지대공 유도무기(L-SAM) 등 체계개발 단계에 있는 무기체계 부품들을 집중 발굴하는 등 16개 과제를 선정했다.
전략부품 국산화 과제는 2차 과제 대상 주관기업 모집 결과 협약이 체결되지 않은 위성용 TR모듈 핵심소자와 수리온용 자동비행 조종장치(AFCS)를 포함해 3개 과제를 선정했다.
이번 부품 국산화 지원사업 대상 과제와 참여 업체 모집 공고는 12월 23일부터 방사청(www.dapa.go.kr)과 국방기술진흥연구소(www.krit.re.kr)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김진홍 방사청 방산진흥국장은 "부품 국산화 개발지원사업은 방산 분야 중소기업과 체계업체의 활발한 참여가 필수적인 사업"이라고 말했다.
김 국장은 "방사청은 2023~2027년 부품 국산화 종합계획에서 제시한 부품 국산화 추진 방향을 기반으로 우리나라가 방산수출 4대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우수 국방중소기업을 육성하고 방산분야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기 위해 더욱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정부로부터 부품 국산화를 위해 5년 투자비를 지원 받아 기술력을 확보했지만 지속적이고 일정한 경제성과 수익성이 보장되지 않아 5년 후에 업체가 도산 위기로 내몰리는 사례도 적지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업체가 5년 기간 중 정부‧군과 함께 해외 수출 물량 활로를 찾아야 하는데 이 또한 쉽지 않은 상황이다. 그나마 부가가치가 큰 엔진과 항공전자, 레이더 분야에 대한 국산화 참여를 하게 되면 수익성이 다소 보장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kjw861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