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갯벌어로' 지난해 12월 국가무형문화재 지정
백미리마을, 전통 어업방식 '사두질' 가능자 5명 남짓
전통 어업방식 이어갈 세대 부족, 관리 제도 뒷받침돼야
[화성=뉴스핌] 이현경 기자 = "백미리에서 사두질이 가능한 사람은 다섯 명이에요. 요즘 젊은 사람들은 힘들어서 안 하려고 하죠."
김호연 백미리 어촌계장은 8일 진행한 국가무형문화재 갯벌어로 팸투어 기자간담회에서 이와 같이 밝혔다.
지난해 12월 공동체종목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된 '갯벌어로'는 갯벌이 있는 서해안과 남해안에서 맨손이나 도구를 이용해 패류나 연체류 등의 채취하는 전통 어업활동이다. 예부터 바다와 인접해 있어 해산물의 종류가 많고 맛도 많다는 의미에서 '백미(白味)'라고 불린 경기도 화성시 서산면의 백미리 마을은 '갯벌어로' 전승이 잘 되고 있는 대표 지역이다.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사두질하는 어민 [사진=한국문화재재단] 2022.11.09 89hklee@newspim.com |
사두질은 백미리에 전해지는 대표적인 전통어법으로 젓새우와 곤쟁이, 망둥어, 숭어 등을 어획할 때 사용했던 어로방식이다. 밀물 때 밀물이 들어오는 방향으로 사두그물을 대고 갯벌을 밀고 나가며 망둥이나 새우를 잡는다. 밀물 때 V자형으로 넓게 펼친 촘촘한 그물을 30~40초마다 들어줘야 하는데, 4~5m 길이의 사두질가래(그물 막대)를 지렛대 원리로 들어올리고 바람을 등지고 밀물이 들어오는 방향에 따라 움직이는 것은 단순한 기술이 아니다.
사두질은 한국뿐만 아니라 프랑스, 중국산둥성, 베트남, 말레이시아 등에서도 이어온 작업이지만 백미리가 사두질로 특화된 이유는 젓새우와 숭어 사둘어업 때문이다. 숭어는 보통 백미리에서는 잘 안 먹지만 경기도 지역에서 제례음식으로 찐 숭어를 올렸기 때문에 사둘어업이 오래 이어질 수 있었다.
특히 숭어 어업은 강한 조수가 밀려들어오는 시간에, 어업할 수 있게 미리 지반을 높여 둔 장소로 이동해 빠른 조류에 숭어가 밀려들어오기를 기다린다. 숭어가 사둘 위로 들어오면 숭어가 도망치지 못하게 사둘을 낚아채듯 들어 올린다. 적절한 타이밍에 무겁고 긴 사둘을 들어 올리는 일은 숙련도를 필요로 한다.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사두질하는 어민 [사진=한국문화재재단] 2022.11.09 89hklee@newspim.com |
편성철 지역문화연구소 연구원은 "사둘로 숭어를 잡을 때 밀어서 잡는 것(미질)이 아니라 사둘을 들어서(뜰질)로 하는 것이 특징"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백미리의 사두질의 전승과 보전이 꾸준히 이어질 수 있었던 것은 지역의 특성과 잘 맞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한국의 전통 어업방식을 보호하고 관리하기 위해 문화재청이 국가무형문화재로 '갯벌어로'를 지정했지만, 전승에 현실적인 문제가 따라온다. 백미리마을만 해도 어민 120명 중 실제 바다로 나가 작업할 수 있는 인원은 10명 남짓이다. 사두질을 할 수 있는 인원은 경우 5명정도. 주민 연령이 높아진 탓이 크다. 그나마 백미리마을의 경우 2007년부터 '백미리어촌체험마을'로 정식 명칭을 바꾸고 굴따기, 고동·게잡이, 망둥어낚시, 낙지잡이, 건간망체험 등 다양한 어로방식을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 등 체험마을을 시작하면서 갯벌을 유지하고 전통어업을 이어갈 수 있었다.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사두질하러 가는 어민 [사진=한국문화재재단] 2022.11.09 89hklee@newspim.com
|
갯벌어로의 기술적 다양성과 한반도 서·남해 안전역에서 전승되고 있는 점, 어촌계를 중심으로 생업을 유지하고 있는 점 등을 이유로 문화재청이 '갯벌어로'가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할 가치가 있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전통 어업을 이어가기 위한 세대교체는 현실적으로 무리가 따르기 때문에 보존과 전승을 위한 정책적 기반이 필요해 보인다.
이창미 백미리마을 총무는 '갯벌어로'가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후 갯벌을 지킬 수 있고 그간의 맨손 작업을 한 과정을 존중받은 것에 감사한 마음이지만 전승자가 없다는 점은 아쉽다고 했다. 이창미 총무는 "개발을 위한 갯벌매립으로 갯벌의 중요성이 망가졌다"며 "'갯벌어로'가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되면서 갯벌을 살릴 수 있는 힘이 생기지 않았나 싶다"고 말했다. 이어 "그간 맨손 작업한 분들의 노고가 잘 받아들여지고 지속되길 바란다"며 "(세대를 이을) 사람이 없다보니 걱정이다"고 털어놨다.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망둥어 말리는 모습 [사진=한국문화재재단] 2022.11.09 89hklee@newspim.com |
더욱이 갯벌이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갯벌도립공원 등으로 지정되는 사례가 증가하는 등 중요성은 날로 더해지고 있다. 전통 문화인 '갯벌어로'에 보호와 관리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이 총무는 해외에서 한국을 찾는 방문객들이 갯벌 문화에 흥미를 보인다고 했다. 그는 "인터넷에서 갯벌을 보고 한국을 방문한 필리핀 20대 여성이 갯벌에 관심을 보이는 모습을 보고 '내 주변에 이렇게 대단한 자원이 있었는데 잊고 살았다'는 생각을 했다"며 "주민이 주인 의식을 갖고 마을을 지키고 관리한다면 이곳을 찾는 분들도 늘어나고 좋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89hkle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