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 혼란, 강달러와 더 직접적 관계"
킹달러 장기화 전망에 현금과 단기채로 자금 이동
[시드니=뉴스핌] 권지언 특파원 =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고강도 금리 인상 정책이 글로벌 금융시장에 파장을 일으키는 가운데, 월가에서는 지칠 줄 모르는 달러 강세 여파가 더 우려스럽다는 반응이다.
연준의 금리 인상이 투자 심리를 짓누르는 요인이긴 하나 역사적으로 금융시장의 혼란은 강달러와 직접적인 상관관계를 가질 때가 많았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연준의 긴축 기조의 경우 내년까지 지속될 장기 악재 성격을 보이지만 강달러의 경우 세계 경제와 자산시장 붕괴를 당장 촉발할 수 있는 시한폭탄과 같다고 경고한다.
월가에서는 이러한 달러화의 폭주가 종료돼야만 주식을 비롯한 위험 자산시장의 유의미한 반등이 나올 것으로 판단하고 있으나 당분간은 킹달러 추세를 뒤집기 어렵다는 게 중론이다.
이러한 판단으로 인해 주식에서 이탈된 자금이 현금과 단기물 채권 등으로 이동하는 등 포트폴리오 재편이 빨라지고 있다.
미 달러화 [사진=로이터 뉴스핌] |
◆ 킹달러 '노브레이크'
월가 투자은행(IB)들은 달러화가 증시를 비롯한 자산시장 향방을 결정할 핵심 변수라고 입을 모은다.
데이터트렉 리서치는 최근 공개한 보고서에서 "2000년대 초반 이후 발생한 금융시장의 혼란과 난기류는 강달러와 직접적인 연결고리를 형성하고 있었다"면서 이번에도 예외가 아니라고 강조했다.
데이터트렉 리서치 공동창립자 니콜라스 콜라스는 달러 외 통화들이 안정돼야만 글로벌 주식시장이 "지속 가능한 바닥을 다질 수 있을 것"이라면서, 2000년대 초 이후로 시장 혼란 시기에 강달러는 시장이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는 중대 신호였다고 말했다.
문제는 달러화의 강세 흐름이 가까운 시일 안에 꺾일 여지가 낮다는 점이다.
6개 통화 대비 달러가치를 보여주는 달러지수는 지난달 28일 114.78까지 오른 뒤 3일 아시아 외환시장에서 111.55수준으로 소폭 후퇴했으나 여전히 연초 대비로는 15% 가까이 오른 상태다.
강달러에 브레이크가 걸리려면 우선 연준의 금리인상 사이클이 멈춰야 한다. 하지만 연준 관계자들은 인플레이션부터 잡기 위해 경기 침체도 불사하고 긴축을 지속할 것이란 강경한 태도를 견지하고 있다.
스펙트라 마켓츠 회장 브렌트 도넬리는 "신용시장 등에 브레이크가 걸리기 전까지는 연준이 매파 기조를 고수할 것"으로 전망했다.
플라자 합의가 도출됐던 1980년대 중반과 달리 미국 조 바이든 행정부가 강달러에 적극적인 대응을 하지 않는 상황도 달러 강세론자들의 주장에 힘을 실어준다.
런던 소재 라보뱅크의 제인 폴리 전략가는 블룸버그와 인터뷰에서 "달러화 상승을 꺾으려는 대응은 연준의 통화정책 기조와 마찰을 일으킨다"며 "미 정부가 과거와 같은 외환시장 개입이나 정책 대응에 나설 여지는 낮다"고 말했다.
달러 강세가 지속되는 데는 연준의 긴축조치 외에도 글로벌 경기침체 불안감으로 인한 안전자산 수요가 확대된 점도 한몫하고 있는데, 이 역시 당분간 같은 방향으로 흘러갈 모양새다.
도넬리는 "연준이 더 매파적이 되면서 미국 금리가 빠르게 오르고, 이로 인해 자금이 미국으로 몰려들고 있다"면서 "이는 동시에 사람들의 불안을 자극하고 증시를 팔게 만들어 결국 다시 안전자산인 달러로 자금이 유입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 'TINA' 지고 'TARA' 뜬다
주식 이외에 다른 대안이 없다는 의미의 이른바 'TINA(There Is No Alternative)'는 장기간에 걸쳐 주가를 끌어올리는 논리로 작용했지만, 이제 IB들은 증시를 당분간 멀리 할 것을 한 목소리로 경고하고 있다.
골드만삭스는 최근 S&P500지수 전망치를 종전의 4300에서 3600으로 대폭 하향한 데 이어 향후 3개월 간 미 증시에 대한 투자 의견을 '비중 축소'로 낮췄다. 연준의 긴축 지속으로 연말까지 기업 실적이 하향되고 밸류에이션 역시 하락 압력을 받게 될 것이란 판단에서다.
크리스티안 뮤엘러-글리스만이 이끄는 골드만 애널리스트 팀은 미국채 2년물 수익률이 정점을 찍기 3~6개월 전에 해당하는 금리인상 사이클의 마지막 구간에서 증시는 하락하곤 한다면서, 향후 3개월간 세계 주식에 대해서는 '비중축소', 현금에 대해서는 '비중확대'를 권고했다.
골드만삭스는 실질 채권 수익률 상승이 자산시장 전반에 계속해서 주요 역풍으로 작용할 것이며, 현재 주식 밸류에이션은 리스크를 충분히 반영한 상태가 아니어서 추가 하락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골드만삭스는 또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주식 외에는 대안이 없다'는 TINA 공식이 통했지만 이제는 'TARA(There Are Reasonable Alternatives, 주식 외에 더 합리적인 투자 대안이 있다)'라는 새 공식이 성립한 것 같다고 주장해 눈길을 끌었다.
모간스탠리도 최근 보고서에서 연준의 공격적 금리 인상 여파 외에도 강달러가 추가 부담이 된다면서, S&P500지수가 내년 초까지 3000~3400 수준에 도달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블랙록의 장 보뱅 투자연구소장은 27일자 투자노트에서 '과도한 긴축→경기 침체→물가 하락'의 패턴이 앞으로 6개월에서 1년 사이에 나타날 것 같다면서 "모든 시장의 주식을 피하되, 투자등급 채권과 청정에너지 관련 기업에는 주목할 것"을 권고했다.
이밖에도 투자리서치 회사 네드데이비스가 미국 주식에 '매도' 의견을 냈고, 토마스프 피터피 인터랙티브 브로커스 창업자 겸 회장도 CNBC '스쿼크박스'에 출연해 "S&P500지수가 3300 부근에서 바닥을 찍을 것 같다"며 추가 하락을 점쳤다.
주식시장이 외면 받는 사이 월가 자금은 현금과 단기물 채권 쪽으로 움직이는 모양새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fA)가 글로벌 펀드 매니저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서베이에서 62%에 달하는 투자자들이 현금 비중을 확대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동시에 단기물 채권을 사들이고 있으며, 주식 비중은 역대 최저 수준까지 줄어든 것으로 확인됐다.
또 모간스탠리는 주식보다 채권을 추천한다는 내용의 투자 보고서에서 "현금과 단기물 채권의 투자 매력이 날로 높아지고 있고, 변동성이 낮을 뿐 아니라 주요 자산 전반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익률을 제공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제프리 건드라크 더블라인 캐피탈 대표 역시 주식에 대한 채권의 상대적인 저평가가 기록적이라고 강조하며 채권 투자를 적극 권고한 바 있는데, 시장 전문가들은 경기 침체 리스크가 높아지고 연착륙에 대한 기대감이 낮아질수록 장기물 채권을 찾는 수요도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kwonjiu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