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에만 맡겨선 반도체 패권 어려워…국가적 전략 필요
[서울=뉴스핌] 정경환 이지민 신수용 기자 = "결국 사람 문제다. 이 문제를 해결하느냐 못 하느냐가 한국 반도체 산업의 미래를 좌우할 것이다."
이창한 한국반도체산업협회 상근부회장은 25일 서울 여의도 켄싱턴호텔에서 '반도체 산업 인력 양성 어떻게'라는 주제로 열린 '2022 뉴스핌 반도체 포럼'에서 "한국 반도체 산업이 여러 난제에 부딪혔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날 첫 번째 주제발표에 나선 이 부회장은 '반도체 산업 현황과 전망, 인력 양성 방안'에 대해 "인력과 자금 그리고 정책이 뒷받침돼야 한다"며 "이게 해결이 안 되면 반도체 산업의 여러 문제 중 어느 하나도 풀기 어렵다"고 했다.
이창한 한국반도체산업협회 상근부회장이 25일 서울 여의도 켄싱턴호텔에서 열린 '2022 뉴스핌 반도체 포럼'에서 주제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이형석 사진기자] |
그에 따르면, 한국 반도체의 숙제 중 하나는 메모리 반도체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을지 여부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마이크론이 경쟁하고 있지만, 메모리는 더 이상 기술 개발이 진척돼지 않고 있다.
이 부회장은 "결국 초격차라는 삼성전자의 연구개발 능력이 생산으로 이어지는 오류나 문제점이 없나 의심되는 상황"이라며 "미국이 과연 삼성전자를 추월하지 못 할까에 대해서도 고민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지금과 같은 의지로는 반도체 산업에서 한국이 계속 주도권을 가질 수 있을지 의문이라는 지적이다.
그는 "미국과 중국 각 나라가 계속 점유율을 높이고 있다. 한국은 무엇을 해야 하냐면, 30%로 올리겠다는 국가적 전략이 필요하다"며 "반도체 패권을 기업에게만 맡겨서는 해결하기 어렵다"고 했다.
이 부회장은 그러면서 "기술력이 필요하다. 특히 인재가 필요하다"며 "이 근본적인 답은 국가가 해줄 수 밖에 없다. 아주 많은 숫자의 인력이 필요한 게 현실이다"라고 강조했다.
반도체 산업 인력은 2021년 추산으로 약 17만7000명이며, 10년 후인 2031년에는 약 30만4000명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에 정부는 지난달 기업 투자를 총력 지원, 5년간 340조 원 이상의 투자를 이끌어내고, 민관이 합심해 10년간 15만 명 이상의 반도체 인력 양성을 추진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반도체 초강대국 달성 전략'을 내놨다.
이 부회장은 "우리는 이런 정책이 차질없이 이행되기를 기대하고 있다"며 "대학이 인력 양성의 기반 기관이긴 하지만, 한국반도체산업협회에서도 산업 자체에서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반도체 아카데미 같은 교육기관을 창설, 재교육 및 신설교육 등을 추진하고 있다"고 했다.
hoa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