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FOMC 앞둬...금리 0.5% 인상 유력
중국 봉쇄, 러시아 디폴트 등 변수될 것
국내선 4일 새 정부 인수위 '국정과제' 발표
반도체·2차전지·원전 등 수혜 예상주 관심
[편집자] 이 기사는 4월 29일 오후 4시59분 AI가 분석하는 투자서비스 '뉴스핌 라씨로'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서울=뉴스핌] 김준희 기자 = 5월 첫째주(2~6일)에는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최대 이벤트로 주목 받는다. 연방준비제도(Fed, 연준)가 기준금리를 0.5%p 인상하는 '빅스텝'이 유력한 가운데 FOMC 결과에 따라 시장이 크게 움직일 가능성이 높다.
국내에선 새 정부의 시간이 본격화된다. 윤석열 정부 대통령직인수위원회(인수위)는 새 정부 국정과제 선정 및 발표를 앞두고 있다. 반도체와 이차전지, 원전 등 정부 지원 수혜 예상 업종에 이목이 집중될 전망이다.
29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미국 연준은 현지시간으로 3~4일 FOMC 회의를 열고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관건은 연준이 금리를 얼마나 인상할지다. 시장에서는 연준이 5월 FOMC에서 기준금리를 0.50% 올리고 월 950억달러의 양적긴축을 진행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 역시 최근 "인플레이션이 연준 목표치(2%)를 3배 이상 초과하는 상황에서 조금 더 빠르게 움직이는 것이 적절하다"며 "(기준금리) 0.5% 인상이 5월 회의에서 논의될 것"이라고 예고한 바 있다.
기준금리 인상과 함께 파월 의장의 입에도 이목이 집중된다. 안예하 키움증권 연구원은 "이번 FOMC는 경제전망 보고서 발표 등이 없기 때문에 파월 연준 의장의 기자회견을 통해 스탠스를 확인해야 한다"며 "높은 물가 레벨이 이어지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지난 IMF 총회와 비슷한 수준의 매파적인 스탠스를 확인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이어 "5월 FOMC는 시장 예상 수준이겠지만 이후 연준 위원들의 연설 등을 통해 0.5% 혹은 0.75% 인상 가능성을 두고 의견이 계속해서 엇갈릴 수 있고 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다"며 "통화정책 불확실성은 일부 완화될 수 있지만 인플레 피크아웃 여부와 6월 인상폭을 확인해야 하는 만큼 보수적 대응이 유효하다"고 말했다.
금리 인상 가속화라는 악재가 이미 증시에 반영된 만큼 추가적인 악재는 제한적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김영환 NH투자증권 연구원은 "현재 주식시장의 최대 관심사인 연준의 긴축 전망은 이미 연내 3~5회의 0.5% 인상 가능성을 반영 중"이라며 "연준 긴축 우려가 더 증폭될 여지는 적다"고 분석했다.
오미크론 확산에 따른 중국 봉쇄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등 대외적 악재는 지속되고 있다. 다만 김 연구원은 중국 봉쇄에 대해 "예측하기 어려운 변수지만 상하이 확진자 감소, 베이징 구역별 봉쇄 등 상황을 보면 중국 정부의 통제가 어느 정도 작동하는 것으로 평가한다"며 "주식시장 전반에 걸친 하방 압력이 강해질 여지는 크지 않다"고 판단했다.
러시아 사태는 디폴트 위기로 치닫는 상황이다. 러시아는 상환 유예기간이 끝나는 오는 5월 4일까지 달러화로 이자를 지급하지 못하면 디폴트(채무불이행) 판정을 받게 될 전망이다. 증권가에서는 러시아의 디폴트 위기가 전염력이 크지 않다고 보면서도 국제금융시장 경색에 따른 신흥국 시장 변동성 확대에는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우려하며 주시하고 있다.
[대전=뉴스핌] 인수위사진기자단 =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29일 오전 대전 한국과학기술원(KAIST) 내 나노종합기술원을 방문해 반도체 연구 현장을 둘러본 뒤 학생들과 간담회를 갖고 있다. 2022.04.29 photo@newspim.com |
국내에서는 새 정부의 국정과제가 최종 발표된다. 인수위는 오는 4일 '110개 국정과제 및 520개 실천과제' 등을 선정하고 대국민 발표에 나설 계획이다. 산업 측면에서는 윤석열 정부가 국가 차원에서 전략을 마련하고 지원하기로 한 국가전략기술이 주목받을 전망이다.
인수위는 먼저 '초격차 전략기술' 후보로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5G·6G(5·6세대 이동통신), 차세대원전, 수소 등을 올린 것으로 알려졌다. 국가전략기술의 또 다른 범주인 '미래 전략기술'로는 바이오, 우주·항공, 양자, AI(인공지능)·모빌리티 사이버보안 등이 후보로 거론된다.
이 밖에도 OTT(온라인동영상서비스) 육성 방안을 내놓고, 녹색산업 관련 미래 먹거리 발굴 등 다양한 산업 발전 방안을 내놓을 것으로 예상되며 관련 수혜주를 찾는 투심이 바쁘게 움직일 것으로 예상된다.
zunii@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