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연준, 5~7월까지 석달 연속 '빅스텝' 가능성
이창용 한은 총재, 금리인상 시기·폭 '신중 모드'
[서울=뉴스핌] 김연순 기자 =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3연속 '빅스텝' 가능성까지 시사하면서 기준금리 인상 폭과 시기를 놓고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의 고민이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기준금리 인상 폭과 시기에 따라 1800조원을 넘어선 가계부채의 부실화 문제와 외국인 자금 유출 등 부작용이 표면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창용 신임 한은 총재는 지난 25일 한은 본관 기자실에서 취임 이후 기자들과 첫 상견례를 갖고 "현재 물가가 우려스러운 상황이라며 앞으로도 통화정책이 정상화되는 방향으로 가야한다"면서도 "정상화 속도는 향후 경제지표를 보고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 |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5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출입기자단 상견례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한국은행) |
이 총재는 향후 기준금리를 연속으로 인상할 수 있냐는 질문에 대해선 "다음 달 금통위가 예정된 만큼 적절치 않은데, 5월과 7월에 연속으로 계속 올릴지 관련해선 한쪽 방향으로 얘기하기 어렵다"고 했다.
이 총재는 지난 19일 열린 인사청문회 당시 "인기가 좀 없더라도 선제적으로 금리 시그널을 줘서 인플레이션 기대 심리를 낮추는 게 지금까지는 맞다고 본다"며 "시그널을 줘서 물가가 더 크게 올라가지 않도록 전념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당시 발언보다는 다소 신중한 입장을 견지한 셈이다.
최근 미 연준의 공격적인 통화 긴축 시그널에 한국은행의 부담도 커지고 있다. 파월 연준 의장은 지난 21일 국제통화기금(IMF)가 주최한 토론회서 다음달 0.5%p(포인트)기준금리 인상을 공식화했다. 시장에서는 미국이 5, 6, 7월까지 석달 연속 '빅스텝'을 밟을 가능성까지 염두에 두고 있다. 현재 한국의 기준금리는 연 1.50%, 미국은 연 0.25~0.50%다. 미 연준의 공격적인 통화 긴축 행보에 따라 연내 한미 기준금리 역전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에 이창용 신임 한은 총재의 고민도 깊어질 수밖에 없다. 한미 간 금리 역전 때는 국내 자본시장의 외국인 자금 유출로 이어질 공산이 크다.
반면 미국의 긴축 스텝에 맞춰 기준금리 인상에 속도를 낼 경우 1860조원에 달하는 가계빚이 걱정이다. 한은은 최근 8개월 사이 기준금리를 네 차례나 인상해 0.50%에서 1.50%로 1.00%p 뛰었다. 향후 대출금리의 빠른 인상으로 채무 상환 부담이 커질 경우 가계부채 문제가 한국경제의 뇌관으로 떠오를 수 있다.
시장에선 연말까지 기준금리가 약 2.00% 수준으로 오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고 일각에선 2.5%까지 오를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한국금융연구원은 최근 "향후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이 예상보다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며 이를 반영해 계산한 올해 말 적정 기준금리는 2.5~2.6% 수준"이라고 분석했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이창용 총재 취임 이후 시장에선 한은이 금리인상 행보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면서도 "이 총재 입장에서는 시장에 공격적인 시그널을 주는 것이 부담일 수도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y2ki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