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종룡·김석동, 야인 시절 농협 재직중 금융위원장 발탁
최상목 농협대 총장, 차기 금융위원장 유력
[서울=뉴스핌] 김연순 기자 = 신임 금융위원장 유력 후보로 최상목(행시 29회) 대통령직인수위원회(인수위) 경제1분과 간사가 거론되면서 '농협대학교 총장' 이력이 눈길을 끌고 있다. 최 간사가 금융위원장에 선임될 경우 범(凡) 농협 근무중에 전 기획재정부 출신 관료가 금융위원장이 되는 세 번째 사례가 된다.
5일 정치권 및 금융권에 따르면 최 간사는 새 정부의 금융위원장으로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눈길을 끄는 건 최 간사의 '농협대 총장' 이력이다. 최 간사는 행정고시 29회로 공직에 입문해 30여년을 기획재정부 등에서 근무했다. 금융위원회 공적자금관리위원회 사무국장, 기획재정부 정책조정국장, 경제정책국장을 거쳐 박근혜 정부에서 청와대 경제금융비서관과 기획재정부 제1차관을 역임했다.
![]() |
최상목 기획재정부 1차관이 9일 오전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미 대선 관련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김학선 사진기자> |
다만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당시 미르, K스포츠재단 설립에 관여했다는 의혹 등으로 공직을 떠났고 5년 간 야인생활을 했다. 이 기간 동안 대학 객원교수, 초빙교수, 자본시장연구원 초빙연구위원을 거쳐 지난 2020년 6월부터 26대 농협대 총장직을 맡고 있다. 농협대학교는 농협중앙회가 학교법인 재단이다. 농협학원 이사회에서 총장을 선임하게 되는데 이사장은 농협중앙회 회장(이성희)이 맡는다. 그만큼 농협대 총장은 농협중앙회의 의지가 절대적이다.
최 간사의 총장 이력이 주목받는 건 기획재정부 출신 고위관료가 범(凡) 농협 수장을 거쳐 금융위원장을 맡은 경우가 다반사였기 때문이다. 새 정부 경제부총리 유력 후보로 거론됐다 본인이 고사한 임종룡(행시 24회) 전 금융위원장이 대표적이다. 임 전 위원장은 기재부 1차관과 국무총리실장을 거쳐 지난 2013년 초 공직을 떠났다. 하지만 임 전 위원장은 바로 농협금융지주 회장에 선임돼 주목을 받았다.
2012년 3월 농협중앙회로부터 분리돼 출범한 농협금융은 당시 신동규 회장이 최원병 농협중앙회장과 인사·예산권 등 권한을 놓고 사사건건 부딪히면서 결국 사임했다. 임 전 위원장은 농협금융지주 회장으로 중앙회와의 갈등을 원만히 해결하는 리더십을 보였고 2년 뒤인 2015년 제5대 금융위원장에 발탁됐다.
'대책반장', '해결사'란 별칭을 붙는 김석동(행시 23회) 전 금융위원장 역시 같은 케이스다. 김 전 위원장은 금융감독위원회 부위원장과 재정경제부(현 기획재정부) 1차관을 끝으로 공직을 떠났지만 7개월 후 농협중앙회 계열사인 농협경제연구소 대표로 선임됐다. 그리고 2년 여 후 금융위원장으로 화려하게 복귀했다. 기재부 출신 고위관료가 야인생활을 거쳐 고위직으로 영전하는 데 '농협'이 통로 역할을 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김광수(행시 27회) 은행연합회장도 기재부 출신으로 2011년 금융정보분석원장을 끝으로 공직을 떠난 뒤 지난 2018년 농협금융지주 회장에 선임된 바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그간 농협지주 회장은 관료 출신이 절대적이었는데 정부와의 관계가 밀접할 수밖에 없는 농협의 조직적인 특수성 때문으로 보여진다"고 전했다.
y2ki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