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안동=뉴스핌] 남효선 기자 = 전국 18개 시도자치경찰위원회로 구성된 자치경찰위원장협의회(자경협의회)가 △단기적 자치경찰위원회 기능 실질화 △궁극적 자치경찰 이원화 모델 도입 등을 담은 자치경찰제 주요현안 대선공약을 공동 건의했다.
자경협의회는 10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지난해 7월 1일 자치경찰제 전면 시행 이후 주민참여 및 지역 실정을 반영한 차별화된 경찰서비스를 전개하고 있으나, 이른바 '국가경찰 중심의 일원화 모델'로 운영되고 있는 현행 자치경찰제에 한계가 있다'고 지적하고 "완전한 의미의 주민 맞춤형 자치경찰제 실현위한 3개 분야 4개 과제 도입"을 촉구했다.
![]() |
전국 18개 시도자치경찰위원회로 구성된 자치경찰위원장협의회가 10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단기적 자치경찰위원회 기능 실질화 △궁극적 자치경찰 이원화 모델 도입 등을 담은 자치경찰제 주요현안 대선공약을 공동 건의하고 있다.[사진=대구시]2022.02.10 nulcheon@newspim.com |
이날 자경협의회가 제시한 대선 공동 공약은 △자치경찰사무 개념 명확화 △자경위 기능 실질화(인사권 실질화, 자치경찰교부세 신설 등) △국가경찰-자치경찰 이원화 등이다.
또 이의 현실화 위한 세부내용은 ▲자치경찰사무 '지방자치법' 상 자치사무로 명시 ▲핵심 치안인력인 지구대·파출소에 대한 임용권 확보(112치안종합상황실에서 자치경찰부 생활안전과로 소속 변경) ▲승진심사위원회 설치 규정 명시 ▲자치경찰교부세·자치경찰특별회계 신설 및 자치경찰 관련 과태료·범칙금 지자체 이관 등 안정적 재원확보 방안 등이다.
자경협의회는 "제시한 3대 분야 4개 과제 등이 명시돼야 자경위의 기능이 실질화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이를 통해 궁극적인 국가경찰-자치경찰 이원화 모델 도입의 교두보를 마련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현태 자경위원장협의회 회장(경남도자치경찰위원장)과 최철영 자경위원장협의회 부회장(대구시자치경찰위원장)은 "국가경찰에 의한 '관리' 중심의 획일적 치안행정 체계에서 벗어나, 지역별 치안행정 체계로의 변화는 도입 그 자체만으로도 기념비적인 성과이나, 제도의 보완이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국가경찰과 자치경찰 간 역할 재분배를 통해 지역 치안의 효율성 극대화와 경찰의 책임성 제고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nulcheo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