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간 최대 판매 vs 반도체난에 판매↓
벤츠 가솔린 일부 모델 출고 지연 중
볼보·렉서스·지프·포르쉐 약진
[서울=뉴스핌] 김기락 기자 = 올해 수입차 판매가 사상 최대 기록을 달성할지 주목된다. 메르세데스-벤츠와 BMW 양강 속에 렉서스와 볼보, 지프 등의 약진하면서 연간 최대 실적을 기록할 전망이다. 반면 차량용 반도체 수급난으로 인한 수입 물량 감소 탓에 판매 증가세가 꺾일 것이란 시각도 나온다.
30일 한국수입차협회(KAIDA)에 따르면 올들어 지난달까지 수입차는 25만2242대 판매돼 전년 동기 대비 3.6% 늘었다. 사상 최대 실적을 낸 지난해 연간 판매량(27만4859대)과 2만2617대 차이로, 이달 판매 실적에 따라 신기록 여부가 판가름나게 된다.
올해 판매 추세로 볼 때 이달 2만2617대 정도는 무난히 달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4년간 12월 수입차 판매량은 2017년 2만428대, 2018년 2만450대, 2019년 3만72대에 이어, 지난해 3만1419대를 기록하기도 했다.
하지만 지난 10월부터 메르세데스-벤츠 등 일부 브랜드가 차량용 반도체 수급난 영향을 받으며 출고 지연 현상이 변수로 꼽히고 있다. 독일차 업체 관계자는 "반도체 수급난 탓에 하반기 들어 독일에서 선적 자체 물량이 줄어 국내 수입 물량도 줄어든 상황"이라고 말했다.
게다가 벤츠의 경우 최근 일부 가솔린 차종이 출고가 일시 중단돼 이달 판매량에 영향을 끼칠 것으로 예상된다. 독일 본사 측이 벤츠코리아에 추가 점검을 지시해 출고가 지연되는 것. 벤츠가 점검하는 장치는 배출가스 등을 진단하는 자기진단장치로 전해졌다.
이 같은 이유로 벤츠의 주력 차종인 E클래스 출고에 차질이 생겨 판매 감소가 불가피해보인다. 반도체 수급난으로 인한 출고 지연에 본사의 추가 점검 지시까지 더해져 벤츠코리아로선 이달에도 수입차 1위 자리를 BMW에 뺏길 가능성이 커 보인다. 벤츠코리아는 올해 내내 수입차 1위를 기록하다가 지난 10월부터 BMW에 1위를 내주고 있다.
벤츠와 BMW의 판매량이 중요한 이유는 수입차 시장에서 차지하는 볼륨 때문이다. 올들어 11월까지 점유율은 벤츠가 27.5%, BMW가 24.3%로 두 브랜드가 수입차 시장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다. 양사의 점유율 차이가 비교적 작은 만큼, 순위는 언제든 뒤집어질 수 있어 보인다.
[고양=뉴스핌] 황준선 인턴기자 = 25일 고양시 킨텍스에서 '2021 서울모빌리티쇼' 프레스 데이가 진행되고 있다. 2021.11.25 hwang@newspim.com |
올해는 볼보와 렉서스, 지프의 약진이 돋보였다. 볼보는 올들어 11월까지 1만3635대를 판매해 전년 동기 대비 19.1% 증가했다. 볼보자동차코리아 관계자는 "올해 볼보는 반도체 수급난 등을 겪지 않았고 출고 지연 현상도 없었다"며 "올해 목표한 1만5000대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같은 기간 렉서스도 18.8% 오른 8994대, 지프는 20% 증가한 9350대를 기록하며 1만대를 향하고 있다. 렉서스 관계자는 "ES300h는 공급이 부족해 인기 색상 차종의 경우 소비자 대기 기간이 긴 편"이라고 설명했다. 토요타 역시 9% 증가해 5932대를 기록하는 등 일본 불매 운동의 영향을 벗어나는 것으로 풀이된다.
아우디와 폭스바겐은 각각 판매량 기준 3위와 5위를 차지하고 있다. 포르쉐도 8167대 판매해 15.3% 성장율을 보여 스포츠카 브랜드로는 유일하게 1만대 판매를 야심차게 노리고 있다.
이런 가운데, 판매가 큰 폭으로 떨어진 브랜드도 있다. 랜드로버는 30.5% 빠진 2907대에 그쳤고, 재규어도 57.4% 감소해 304대에 머물렀다. 생산 물량이 낮은 데다, 영국 현지 코로나19 상황이 악화된 탓에 판매 감소세가 장기화되가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지엠(GM)도 미국 제너럴모터스의 현지 생산 감소로 쉐보레 콜로라도 등 일부 차종의 수입량이 줄었다. 쉐보레는 25.1% 감소한 8553대에 그쳐 반도체 수급난 직격탄을 받았다. 한국지엠을 포함한 현대차, 기아 등 국내 완성차 5개사도 반도체 부족으로 생산 및 출고 지연을 겪어왔다.
업계 관계자는 "유럽, 미국 등 전 세계가 코로나19와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 등 영향이 지속되기 때문에 각 브랜드의 물량 확보가 매우 중요해졌다"며 "10여년간 고공성장해온 국내 수입차 시장의 성장세가 당분간 둔화될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peopleki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