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재부, 50개 해외자산운용사 설문조사
"제도 개선 의지 강해...결과는 불확실"
"신흥국 지수 제외시 타격 더 클 수 있어"
[서울=뉴스핌] 김신정 기자 = 우리나라의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선진국 지수 편입 여부에 대한 시장의 관심이 뜨겁다. 정치권과 정부는 그 어느때보다 MSCI 선진국 지수 편입 추진에 적극적이다. MSCI선진국 지수에 편입되면 많은 외국인 자금 유입으로 이른바 '코리아 디스카운트'우려가 해소될 수 있어서다.
하지만 일각에선 성급한 추진은 오히려 외환시장 불안정을 초래하거나 기존 신흥국 지수에서 빠질 경우 당장 국내 증시에 미칠 여파가 더 클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28일 정부와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기획재정부는 내년 경제정책방향에 MSCI 선진국 지수 편입을 위한 제도개선 방안 마련을 포함시켰다. MSCI 선진국 지수 편입 추진 계획을 구체화 한 것이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도 MSCI선진국 지수 편입을 추진하겠다고 공언한 상태다.
[서울=뉴스핌]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일(현지시간) 영국 런던 코린시아 호텔에서 열린 한국경제설명회(IR)를 개최, '한국경제 판데믹 극복의 K-드라마'를 주제로 기조발표 후 투자자들의 질문에 답변을 하고 있다. [사진=기획재정부] 2021.11.02 photo@newspim.com |
MSCI는 미국의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셜널사가 작성해 발표하는 글로벌 주가지수로, 세계적인 펀드들의 투자 기준이 되는 국제 벤치마크다.
MSCI는 매년 6월 각 나라별 선진국, 신흥국 지수 워치 리스트(Watch list) 등이 담긴 리포트를 발간한다. 이 때문에 MSCI는 적어도 4월 경 글로벌 자산운용사를 대상으로 지수 편입 여부에 대한 사전 조사에 들어간다. 이에 따라 기재부는 내년 초부터 대형 글로벌 자산운용사를 상대로 MSCI 선진국 지수 편입 관련 설득에 나설 예정이다. 이를 위해 기재부 내부적으로 협상 옵션들을 정리하고 있다.
이미 기재부는 최근 50여개 해외 자산운용사를 상대로 외환시장과 관련된 불편사항 등을 묻는 설문조사를 실시, 답변서를 회수하고 있다. 기재부 한 관계자는 "2년 전부터 지수편입 준비를 해왔고 내년 경제정책 방향에도 관련 내용을 넣은 만큼 제도 개선 의지가 그 어느때보다 강하다"며 "이전과는 분위기가 매우 다르지만 아직 많은 외적 변수가 있기 때문에 결과에 대한 불확실성은 여전히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MSCI 선진국 시장에 편입된 국가는 미국, 독일, 영국, 홍콩, 싱가포르, 일본 등 23개국이다. 신흥국 지수에는 우리나라를 비롯해 러시아, 중국, 대만, 인도 등 27개국이 있다. 해외 주요 펀드가 이 지수를 참고하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외국인 투자 유입이 늘어나는 효과가 있다.
우리나라는 지난 1992년부터 MSCI 신흥국지수에 편입됐다. 그동안 정부는 지난 2008년부터 MSCI 선진국지수 편입에 도전해왔지만 줄곧 무산됐다. MSCI가 우리나라에 대해 문제 삼는 것은 △외환시장 전면 개방 △영문 공시자료 부족 △외국인 투자자 등록 절차, 공매도 규제 등으로 알려졌다.
금투업계 안팎에선 MSCI선진국 지수 편입 추진에 대한 우려가 적잖다. 현재 우리나라가 신흥국 지수에서 빠질 경우 대체할 나라가 없을 뿐더러 신흥국 지수 비중이 크다보니 제외될 경우 당장의 타격이 더 클 수 있다는 것이다. 또 선진국 지수에 편입되더라도 한국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지 않다면 외국인 자금 유입 효과가 크지 않을 것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특히 외환시장을 24시간 전면 개방했을 경우, 역외거래로 원화 변동성이 커질수 있고 외국인에 대한 규제가 비교적 적은 국내 증시도 크게 출렁일 수 있다. 자칫하면 '득보다 실'이 더 클 수 있다는 얘기다.
업계는 MSCI 선진국 지수 편입이 현실화될때까지 적잖은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고 있다. 철저한 준비로 내년 6월 워치 리스트에 올라가도 통상 심사에 1년 정도 걸리는 것을 감안할때 실제 가입여부는 2023년은 돼야 결정되기 때문이다.
국내 자산운용사 한 고위관계자는 "MSCI선진국 지수 편입이 장기적으로 국내 증시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겠지만 당장 신흥국 지수에서 빠져 IT 업종 등에 대한 타격이 클 수 있다"며 "투자업계에선 이를 더 우려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aza@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