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주 3대 지수 상승 마감
녹색전력·방산株 강세 vs 석탄株 약세
상하이·선전 거래액 13거래일째 1조 위안선
상하이종합지수 3507.00 (+8.37, +0.24%)
선전성분지수 14571.93 (+63.07, +0.43%)
창업판지수 3409.94 (+29.65, +0.88%)
[서울=뉴스핌] 조윤선 기자 =9일 중국 A주 3대 지수가 상승 마감했다.
상하이종합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0.24% 오른 3507.00포인트를 기록하며 3500선을 회복했다. 선전성분지수는 0.43% 상승한 14571.93포인트로, 창업판지수도 0.88% 오른 3409.94포인트로 장을 마감했다.
상하이와 선전 양대 증시 거래액은 1조 109억 위안으로 지난달 22일부터 13거래일 연속 1조 위안을 돌파했다.
해외자금은 유출세가 우위를 점했다. 이날 북향자금(北向資金·홍콩을 통한 A주 투자금)은 21억 1600만 위안의 순매도를 기록했다. 후구퉁(滬股通, 홍콩 및 외국인 투자자의 상하이 증시 투자)을 통한 거래는 19억 5400만 위안의 순매도를, 선구퉁(深股通, 홍콩 및 외국인 투자자의 선전 증시 투자)을 통한 거래는 1억 6200만 위안의 순매도를 기록했다.
[그래픽=텐센트증권] 11월 9일 상하이종합지수 주가 추이. |
이날 녹색전력 테마주와 방위산업 섹터가 눈에 띄는 상승세를 보이며 강세를 주도했다.
녹색전력 테마주 가운데 진코 파워 테크놀로지(601778), 돈안조경(002011), 국전장원전력(000966), 억리에너지(600277), 삼특고빈(603098) 등 다수 종목이 상한가로 거래를 마쳤다.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 탄소배출 저감 기업에 낮은 금리의 대출을 제공하는 금융지원 방안을 발표한 것이 호재로 작용했다. 인민은행은 청정에너지·에너지 절약 및 환경보호·탄소배출 저감 기술 3개 분야를 중점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국태군안(國泰君安)증권 등 기관들은 당국의 탄소배출 저감 지원 정책이 관련 기업들의 이자 비용 부담을 크게 낮춰 청정에너지 분야 대출 및 관련 프로젝트 추진을 촉진할 것으로 전망했다. 지원 조치 시행으로 관련 기업에 적용되는 대출금리가 기존의 5.5~6.0% 수준에서 3.85%로 낮아져 1억 위안(약 184억 원) 대출에 매년 약 65만~115만 위안(약 1억~2억 원)의 이자 부담을 경감할 것으로 예상했다.
방위산업 섹터의 상승세도 두드러졌다. 대표적으로 청두 천건 과학기술(002977), 해란신(300065), 경가미전자(300474), 안휘사창전자(600990) 등이 상한가로 거래를 마쳤고, 중앙헬리콥터(600038)도 8% 가까이 급등 마감했다.
방산 업계가 호경기를 지속할 것이라는 증권사들의 낙관적인 전망이 해당 섹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동완증권(東莞證券)은 2027년 중국 인민해방군 창설 100주년을 앞두고 14차 5개년(2021~2025년) 계획기간 군사비 지출이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방위산업이 고속 성장기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했다.
중신증권(中信證券)도 방산 업계의 향후 5년 전망을 낙관적으로 평가하며 항공엔진, 군(軍)의 정보화, 방산 신소재 등 3가지 분야에 주목할 것을 조언했다.
이밖에 중국 당국이 의료보험을 적용할 의료보험 의약품 목록 조정을 위한 협상을 시작했다는 소식에 제약주가 상승세를 보였고, 10일까지 중국 상하이에서 열리는 '제4회 중국 국제수입박람회(CIIE)'에 디지털위안화 외화 환전기가 등장하는 등 디지털위안화 보급 확대 소식에 디지털화폐 테마주도 들썩였다. 또, 농업과 관광 섹터도 상승세를 나타냈다.
반면 항공 섹터와 석탄 테마주는 약세를 보였다. 석탄주 가운데 연주석탄채굴(600188), 산시 코킹 석탄 에너지 그룹(000983) 3% 이상, 천안탄광업(601666)과 대동석탄(601001)이 2% 이상 하락 마감했다.
퉁화순재경(同花順財經)에 따르면, 일일 석탄 최고 생산량이 1193만 톤(t)으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는 소식이 해당 섹터에 악재가 된 것으로 풀이된다. 당국의 공급 보장 및 가격 안정 조치 속 석탄 생산과 공급이 늘어나면서 발전소와 항만의 석탄 재고가 증가함에 따라 무연탄 선물 가격은 대폭 하락했다.
업계에서는 석탄 생산·공급 증가에 따른 석탄 재고 증가가 발전소의 석탄 구매 감소로 이어져 석탄 가격 하향세가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뉴스핌 Newspim] 조윤선 기자 (yoonsu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