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지난 6월 서울 인사동에서 출토된 유물 1755점 중 1600여점의 금속활자가 출토 5개월 만에 국립고궁박물관에 전시된다.
수도문물연구원 오경택 원장은 2일 서울 종로구 세종로에 위치한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열린 '인사동 출토 유물 공개전' 간담회에 참석해 "이번 특별전에 전시된 금속유물은 당시의 과학기술을 담고 있어 대한민국의 위상을 높이는 것이자 고고학계 전체의 성과"라고 밝혔다.
[서울=뉴스핌] 김민지 인턴기자 = 2일 오전 서울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인사동 출토유물 공개전'이 열리고 있다. 이번 전시에서는 지난 6월 서울 인사동에서 출토된 조선 전기 금속활자, 일성정시의 등 주요 유물 1755점을 선보이며, 오는 3일부터 12월 31일까지 열린다. 2021.11.02 kimkim@newspim.com |
3일 부터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열리는 전시는 크게 1부와 2부로 나뉜다. 1부의 주제는 '인사동 발굴로 드러난 조선 전기 금속활자'이며, 2부는 '일성정시의와 조선 전기 천문학'으로 해당 주제에 맞는 유물을 확인할 수있다.
특히 금속활자는 관람객이 더 잘 볼 수 있도록 여러 곳에 확대경과 사진을 담은 휴대용컴퓨터를 비치했다. 또 주조를 담당했던 '주자소 현판'과 조선시대 활자 주조의 연혁이 적혀 있는 '주자사실 현판'도 이번 전시를 통해 볼 수 있다.
이날 이상백 학예연구사는 "이번에 금속활자는 1600여점이 확인됐다. 한자는 1000여점, 한글이 600여점이다. 활자출토 지역의 문화층이 16세기"라고 설명했다.
금속활자 주조시기를 알 수 있는 활자는 갑인자(1434) 48점, 을해자(1455) 42점, 을유자(1465) 214점이다.
이 연구사는"갑인자는 출토 시기가 분명해 갑인자로 추정하고 있으며, 활자 중 '화(火)와 '음(陰)' 두 글자는 갑인자로 찍은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소장 중인 '근사록(1435)'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며 "향후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서울=뉴스핌] 김민지 인턴기자 = 2일 오전 서울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열린 '인사동 출토유물 공개전'에서 관계자가 전시된 조선 전기 금속활자를 살펴보고 있다. 이번 전시에서는 지난 6월 인사동에서 발굴한 조선 전기 금속활자, 일성정시의 등 주요 유물 1755점을 선보이며, 오는 3일부터 12월 31일까지 열린다. 2021.11.02 kimkim@newspim.com |
을해자와 을유자로 확인된 활자는 각 '능엄경(1461)'과 '원각경(1465)'에 찍힌 글자를 확인했다.
이 연구사는 "을해자 금속활자는 서책에서 확인된 대, 중 소 크기 활자 중 중간자 42자(한자)가 확인됐다"고 말했다. 또 "을유자는 서책에서 확인되는 한글 중, 소 연주활자로 총 214점이다. 연주글자는 원각경에서 일치하는 것을 확인했다"고 덧붙였다.
그는 "금속활자의 경우 항아리에서 발견됐다. 해당 항아리도 전시가 되고 있다. 전시장에는 근사록이 전시돼 있는데, 여기에 갑인자를 만들게 된 배경이 설명돼 있다"고 말했다.
전시에는 훈민정음 창제시기인 15세기에 한정돼 사용됐던 동국정운식 표기법을 쓴 금속활자를 실제로 접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전시에서도 접하기 힘든 동국정운도 함께 눈으로 볼 수 있다. 이 연구사는 "초기 한글이 활자로 어떻게 활용됐는지 확인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을유자의 경우 글자들이 고르지 못해 20년만 사용됐다. 이 연구사는 "을유자는 사용 후 폐기됐다고 알려졌는데 이번에 출토됐다. 향후 연구가 필요한 부분"이라고 설명했다.
[서울=뉴스핌] 김민지 인턴기자 = 2일 오전 서울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열린 '인사동 출토유물 공개전'에 조선 전기 금속활자가 전시돼 있다. 이번 전시에서는 지난 6월 서울 인사동에서 출토된 조선 전기 금속활자, 일성정시의 등 주요 유물 1755점을 선보이며, 오는 3일부터 12월 31일까지 열린다. 2021.11.02 kimkim@newspim.com |
이번 전시에는 인사동에서 출토된 금속활자 모두가 전시돼 있다. 금속활자 외에도 일부러 분절시킨 활자들과 다른 활자들이 대거 확인됐다.
이 연구사는 "이 모든 활자들이 항아리에서 출토됐는데, 아무래도 모아 놓은 유물을 녹여 새로 활용하려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고 전했다.
조선 전기 과학기술을 알려주는 유물이 전시된 2부에서는 일성정시의가 관람객을 가장 처음으로 맞이한다.
이는 1437년 국왕의 명으로 처음 제작된 주야겸용 시계로, 중국에서 혼천의와 간의의 기능을 향상시키고 크기를 소형화한 시계이다. 낮에는 그림자로, 밤에는 별을 관측해 시간을 측정하던 기구이다.
이 연구사는 일성정시의에 대해 "구름 모양의 손잡이가 있는데 이를 돌리며 낮과 밤을 관측했던 것으로 파악된다"고 설명했다.
일성정시의의 사용 방법을 알 수 있도록 박물관 소장품인 소일영을 전시했다. 해시계인 소일영은 눈금표가 새겨진 둥근고리와 받침대, 석제 받침대로 구성돼 있는데, 전체를 한꺼번에 공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서울=뉴스핌] 김민지 인턴기자 = 2일 오전 서울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열린 '인사동 출토유물 공개전'에 발굴 당시 모습이 담긴 사진이 전시돼 있다. 이번 전시에서는 지난 6월 서울 인사동에서 출토된 조선 전기 금속활자, 일성정시의 등 주요 유물 1755점을 선보이며, 오는 3일부터 12월 31일까지 열린다. 2021.11.02 kimkim@newspim.com |
이 연구사는 "소일영의 경우 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었는데, 이번 일성정시의가 출토되면서 사용법을 비교, 대조해보다함께 사용된 것으로 파악하고 함께 전시하게 됐다"고 말했다.
1535년(중종 30)에 제작된 동종도 함께 발견됐다. 이는 명문이 새겨진 부분으로 종을 고정하는 부분의 용 모양 장식이다. 이 연구사는 "동종은 정교한 문양, 용의 장식 부분에서 수준 높은 새김이 돋보인다"고 말했다.
이외에도 제작 연대가 확실한 1점의 승자총통과 7점의 소승자총통도 볼 수 있다. 또 제작연도(1535년)가 적힌 동종 파편과 중국 금나라에서 사용된 정륭원보와 조선통보 등 금속화폐도 확인할 수 있다.
전시는 이해를 돕기 위해 도록과 온라인 콘텐츠도 함께 제공된다. 도록은 국립고궁박물관 누리집에서 직접 내려받을 수있으며, 이달 둘째 주부터는 인사동 발굴 이야기를 담은 영상, 전시해설 영상 각 1편을 문화재청 박물관 유튜브로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전시실 전경, 유물 설명, 사진을 제공하는 가상현실(VR) 콘텐츠도 제작해 공개할 예정이다.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전시되는 '인사동 출토유물 공개전'은 오는 3일부터 내달 31일까지 진행된다.
alice0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