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 서민 음식 치킨·라면...소비자 저항 커 가격 인상 쉽지 않아
[서울=뉴스핌] 전미옥 기자= 식용유, 닭고기 등 주요 원재료 가격이 잇따라 오르면서 치킨업계가 가격인상 압박을 받고 있다. 교촌, BBQ, bhc치킨 등 주요 프랜차이즈들은 '당장 가격인상 계획은 없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가맹점주들은 수익성 악화 등의 이유로 가격 인상을 기대하는 분위기다.
23일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달 닭고기 품목의 생산자물가지수는 전년 대비 20% 오른 119.99를 기록했다. 지난 3월 대비 5%가량 감소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서울=뉴스핌] 전미옥 기자 = 2021.07.22 romeok@newspim.com |
닭고기 가격은 지난해 말부터 올해 초까지 장기화됐던 조류독감(AI) 여파로 좀처럼 내려오지 않고 있다. 특히 AI발생 농가를 대상으로 지난해 말부터 올해까지 대대적으로 이뤄진 예방적 살처분 조치가 주 원인으로 꼽힌다. 역대 두 번째로 많은 2861만 마리가 살처분 됐으며 이중 고기용 육계는 600만 마리도 포함됐다.
그 외 원재료 가격도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식용유 품목의 생산자물가지수는 전년 대비 9.3%증가한 109.51로 나타났다. 치킨을 포장하는 종이값도 올랐다. 식품용 종이용기 품목은 전년 대비 4.5% 증가했다. 여기에 내년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인건비 부담도 더해질 예정이다.
◆점주들은 '올리자' 요구...본사는 '아직은'
현재 교촌, BBQ, bhc 등 주요 치킨 프랜차이즈는 가격 인상 계획이 없다. 그러나 가맹점주들은 지속적으로 수익성이 악화되고 있다며 치킨 가격인상 또는 공급가 인하가 필요하다고 얘기한다.
한 치킨프랜차이즈 가맹점주는 "지난 10년 동안 닭고기 등 원재료 공급가는 꾸준히 올랐지만 치킨 권장 판매 가격은 크게 달라지지 않아 수익성이 악화로 이어지고 있다"며 "내년이 더 걱정인데, 본점의 원재료 공급가 인하나 가격인상 조치가 있어야 된다"고 말했다.
프랜차이즈업체들은 대량구매, 자사앱 활용, 사이드메뉴 개발 등 원가절감을 위한 방안을 모색한다는 방침이다. 대량구매를 통해 원재료 가격 영향을 최소화하고 자사앱을 활용한 배달주문을 독려해 배달수수료 부담을 줄이는 등의 방식이다. 또 치킨 외의 수제맥주, 치즈볼, 떡볶이 등 다양한 사이드메뉴를 판매하는 방식으로 수익성 감소분을 보전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여러 가지 부담이 있는 것은 사실이다. 매장에서는 원재료, 인건비뿐만 아니라 배달앱 수수료 부담 등 어려움을 토로하는 상황"이라며 "그러나 아직 인상 단계는 아니다. 원가절감 등 다른 방식으로 보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다른 프랜차이즈에 비해 원재료 가격 상승 문제는 덜한 편이다. 가격 인상은 계획은 아직 없다"고 했다.
◆배달비 부담에 치킨값도 인상?...소비자 저항 클 듯
실제 치킨 가격 인상은 쉽지만은 않을 전망이다. 치킨의 경우 배달비가 소비자에 전가되면서 체감 가격이 2만원을 넘긴 상태다. 추가 가격 인상에 대한 소비자들의 반발이 매우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대목이다.
치킨과 라면은 대표적인 서민 음식으로 가격인상에 대한 소비자 저항이 높은 품목이다. 최근 오뚜기는 진라면 등 주요 라면가격을 최대 12.5% 인상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밀가루, 팜유 등 원재료 가격 상승에 따라 13년 만에 인상을 결정한 것이었지만 소비자들의 반발은 피할 수 없었다.
오뚜기 진라면 리뉴얼 제품. [사진=오뚜기] 2020.07.28 hj0308@newspim.com |
이날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는 성명을 내고 "원재료 가격이 떨어질 때는 꿈쩍하지 않다가 원재료 가격이 평년보다 상승하는 시기를 틈타 가격을 올린 것을 규탄하지 않을 수 없다"며 "오뚜기의 가격인상이 다른 라면 제조업체들의 연쇄적 가격 신호탄이 될 수 있어 우려스럽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소맥분 및 팜유 가격인 2012년부터 2019년까지 하락한 것을 근거로 원재료 가격 변동을 즉각 가격에 반영하는 처사가 바람직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정부가 적극적으로 물가관리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조윤미 미래소비자행동 상임대표는 "경기는 좋아진 것이 없고 소비자들의 소득이나 수요가 증가하지 않았는데 급격한 가격인상이 이뤄지면 자칫 어려운 가계 경제를 주저앉히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며 "정부는 재난지원금이 아닌 필수 소비재에 대한 가격 안정에 나서야 한다"고 피력했다.
romeo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