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6/4 홍콩증시종합] '자동차∙교육∙전자담배' 약세 주도 '하락마감'

기사입력 : 2021년06월04일 17:44

최종수정 : 2021년06월04일 18:19

[편집자] 이 기사는 6월 4일 오후 5시43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항셍지수 28918.1(-47.93, -0.17%)
국유기업지수 10805.64(-21.14, -0.20%)
항셍테크지수 8095.64(-68.70, -0.84%)

* 금일 특징주

국련증권(1456.HK) : 3.82(+0.05, +1.33%)
신둥팡(9901.HK) : 68.55(-11.95, -14.84%)
바이두(9888.HK) : 184.6(-5.90, -3.10%)
스무어(6969.HK) : 46.65(-6.05, -11.27%)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 4일 홍콩증시의 3대 지수가 일제히 하락 마감했다.

홍콩항셍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0.17% 하락한 28918.1포인트로 장을 마쳤다. 홍콩증시에 상장된 중국 기업 주식의 주가를 반영한 국유기업지수(HSCEI, H주지수)는 0.20% 내린 10805.64포인트를, 홍콩증시에 상장된 중국 대표 기술주의 주가를 반영한 항셍테크지수(HSTECH)는 0.84% 떨어진 8095.64포인트를 기록했다.

섹터별로는 자동차, 교육, 전자담배가 약세를 주도한 반면, 비철금속과 제지 섹터가 강세 흐름을 보였다. 오전장에서 급등했던 중국 자본 기반의 증권주는 오후장 들어 상승폭이 축소됐으나 대체로 상승 마감했다.

증권주 중에서는 오전장에서 8% 이상의 상승폭을 기록한 국련증권(1456.HK)이 1.33%, 오전장에서 6% 이상 상승한 광대증권(6178.HK)이 0.76%, 오전장에서 4% 이상 올랐던 중국은하증권(6881.HK)이 0.84%, 오전장에서 3%의 상승폭을 기록한 해통증권(6837.HK)이 0.56% 상승 마감했다.

이날 오전 장톄웨이(臧鐵偉)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법제공작위원회 대변인은 "인지세법 초안 2차 심의를 통해 인지세율을 적정 수준으로 낮출 가능성이 있다"고 발표했다.

해당 발언에 시장에서는 인지세율 인하 기대감이 확대, 오전장에서 증권주는 급등했다. 하지만, 오후 내부 소식통을 통해 인지세법 초안 2차 심의에서 인지세율 인하 안건은 다뤄지지 않았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증권주는 오후장 들어 하락세로 전환됐다.

[사진 = 텐센트증권] 4일 홍콩항셍지수 주가 추이

교육 섹터는 전 거래일에 이어 두드러진 약세 흐름을 이어갔다. 뉴오리엔탈 에듀케이션&테크놀로지그룹(신둥팡 9901.HK)이 14.84%, 베스트스터디교육그룹(3978.HK)이 5.62%, 천립교육국제홀딩스(1773.HK)가 4.86%, 쿠런테크놀러지(신둥팡온라인 1797.HK)가 4.37%, 희망교육그룹(1765.HK)이 0.90% 하락했다.

중국 당국이 사교육 업계에 대한 규제를 확대하고 있는 가운데, 중국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은 1일 언론브리핑을 통해 신둥팡와 쿠런테크놀러지를 비롯해 쉐얼쓰(學而思), 징루이교육(精銳教育) 등 13개 사교육 기관에 허위광고, 가격속임 등을 이유로 벌금을 부과했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 5월 10일에도 중국 당국은 쭤예방(作業幫)를 비롯한 두 곳의 사교육 기관에 25만 위안의 벌금을 부과한 바 있다. 이로써 중국 당국은 총 15개 사교육 기관에 3650만 위안의 벌금을 부과한 것으로 전해졌다.

전자담배 섹터에서는 대표적으로 중국 대표 전자담배 제조업체인 스무어인터내셔널홀딩스(SMOORE 6969.HK)가 11.27%, 화보국제(0336.HK)가 9.86%, 중국보톤그룹(3318.HK)이 3.66%, 천창그룹(2182.HK)이 2.25%, 중국토바코인터내셔널홍콩(6055.HK)이 0.67%의 낙폭을 기록했다.

중국 당국의 본격화된 규제 움직임 속에 전자담배 업계를 향한 불확실성이 확대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 5월 26일 중국국가위생건강위원회는 '흡연이 건강에 미치는 위해성에 대한 보고서(2020년)'를 통해 '전자담배가 안전하지 않다는 것을 입증할 만한 충분한 증거가 있다'는 문장을 삽입했다. 이는 지난 2012년 발표한 보고서에는 없었던 내용으로, 2020년 보고서에 새롭게 추가된 것이다.

중국 당국이 지난 3월 전자담배 업계에 관한 관리감독 강화 의지를 시사한 가운데 이 같은 보고서가 발표되면서, 전자담배 업계를 향한 중국 당국의 규제 움직임이 본격화될 것이라는 우려감이 섹터 전반에 악재가 됐다.

항셍테크지수 구성종목인 중국 대형 과학기술주 또한 대거 하락했다. 바이두(9888.HK)가 3.10%, 중신국제집성전로제조(SMIC 0981.HK)가 2.69%, 화훙반도체(1347.HK)가 2.47%, 넷이즈(9999.HK)가 1.77%, 메이퇀(3690.HK)이 1.69%, 텐센트(0700.HK)가 0.65%, 알리바바(9988.HK)가 0.28%, 제이디닷컴(징둥 9618.HK)이 0.14%의 낙폭을 기록했다.

pxx17@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정부조직 개편 방식 '안갯속' [서울=뉴스핌] 윤채영 기자 = 이재명 정부의 조직 개편 발표가 오는 8월 13일로 정해진 것으로 확인됐다. 국정기획위원회는 이달 말 대국민보고를 할 계획이었지만 미뤄지면서 정부조직 개편의 구체적인 방식은 안갯속이다. 26일 뉴스핌 취재를 종합하면, 국정위는 정부 조직 개편안 등을 이재명 대통령에게 보고하며 막바지 정리 작업 중에 있다. 개편이 유력한 기획재정부와 검찰 조직 등에 대한 추가 검토가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뉴스핌] 이길동 기자 =이한주 국정기획위원회 위원장.2025.07.22 gdlee@newspim.com 국정위는 당초 이달 중 대국민보고 등 주요 일정을 마칠 계획이었다. 국정위의 법적 활동 기한은 60일로 오는 8월 14일까지 활동할 수 있다. 1회 한해 최장 20일까지 연장할 수 있지만 국정위는 조기에 활동을 마무리 하겠다고 했다. 국정위의 속도전에 제동이 걸린 데는 정부의 첫 조직 개편인 만큼 조금 더 신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게 작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환경부와 산업자원통상부의 기후와 에너지 파트를 분리해 기후에너지부를 신설하는 과정에서 각 부처의 반발도 나오는 점 등이 대표적이다. 또 이 대통령이 이달 말에서 내달 초 방미 일정이 잡힐 수 있다는 점도 정부조직 개편이 늦어진 배경인 것으로 전해졌다. 1차 정부조직 개편안에는 기재부의 예산 분리 기능과 검찰청 폐지가 담길 것이 유력하다. 조승래 국정위 대변인은 앞서 "기재부 예산 기능을 분리하는 것과 (검찰청의) 수사와 기소 분리는 공약 방향이 명확하다"고 말했다. 기재부 조직 개편은 ▲예산 편성 기능을 분리해 과거의 기획예산처를 되살리고 나머지 기능은 재정경제부로 개편하는 안 ▲예산처가 아니라 재무부를 신설하는 안 ▲기재부 내에서 기능을 조정하는 안 등이 거론돼 왔다. 이 방안들을 놓고 국정위는 검토하고 있다. 현재는 기획재정부를 기획예산처와 재정경제부로 나누는 안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국정위는 초안 등과 관련해서는 말을 아끼고 있는 상황이다. 검찰청 폐지 골자의 검찰 조직 개편안도 이번 조직 개편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다. 이미 여당에서는 검찰의 수사권과 기소권을 분리하는 내용의 '검찰개혁 4법'을 발의했다. 김용민 더불어민주당 의원 등이 발의한 법안에는 검찰 권력의 핵심인 기소권은 법무부 산하에 공소청을 신설해 여기로 이관하는 내용이 담겼다. 수사권은 행정안전부 산하에 중대범죄수사청을 신설해 이곳으로 넘기기로 했다. 다만 수사권을 행안부 산하에 둘지 법무부 산하에 둘지를 두고는 여권 내에서도 이견이 있어 더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 개편 방안을 놓고도 논의가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당초 금융위 해체 차원의 '금융위 정책과 감독 기능 분리' 조직 개편안이 유력했다. 그러나 최근 여당에서 기획재정부 내 국제금융 업무를 금융위로 이관하는 내용의 법안을 발의하며 '금융위 존치론'이 급부상하고 있다. 금융위 해체론에 제동이 걸렸다는 목소리가 나오면서 이 역시도 오리무중인 상황이다. ycy1486@newspim.com 2025-07-26 07:00
사진
특검, 한덕수 자택·총리공관 압수수색" [세종=뉴스핌] 양가희 기자 = 내란특검팀이 24일 국무총리 서울공관에 대한 압수수색에 들어갔다. 국무총리실은 이날 문자 공지를 통해 특검팀의 수사에 적극 협조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특검은 이날 한덕수 전 총리 자택 압수수색에도 나섰다. [서울=뉴스핌] 이형석 기자 =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2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고등검찰청에 마련된 내란 특검 사무실에서 조사를 마치고 차량으로 이동하고 있다. 2025.07.02 leehs@newspim.com 한 전 총리는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계획을 알고도 이를 묵인 또는 방조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특검은 압수물 분석을 마치는 대로 한 전 총리 등을 다시 조사한 뒤 구속영장 청구 여부 등을 검토할 전망인 것으로 알려졌다. sheep@newspim.com 2025-07-24 13:54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