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신기술 안전 문제에도 대비해야
[서울=뉴스핌] 조정한 기자 = 얼마 전 인터넷에서 재미있는 설문조사를 봤다. '전기차를 사면 가장 먼저 해보고 싶은 게 무엇인가'라는 질문이었다. 기껏해야 여행, 차박 등이 언급됐을 거라 생각했지만 나온 의견은 전혀 달랐다.
가장 많이 언급된 문장은 "인덕션을 뒷자리에 챙겨야죠"였다. 또 "전자레인지는 무조건입니다" 여기에 "커피머신이 빠지면 아쉽다"고도 했다.
한 차주는 "아내가 헤어 드라이기를 사용한다고 해서 조용히 뺐다"며 "머리카락 관리는 힘들 것 같다"는 농담도 적었다. 맞장구를 친 또 다른 차주는 "패션 사업을 하는 데 이동 중 스팀다리미와 고데기는 필수였다"고 기대감을 내비치기도 했다.
들여다보니 현대자동차 첫 전용 전기차 '아이오닉5' 예비 차주들이 신기술 V2L(Vehicle to Load)에 설레는 목소리였다.
![]() |
V2L은 전기차에 탑재된 고전압 대형 배터리의 전력을 외부로 끌어다 쓰는 기능인데, 일명 '돼지코' 모양의 파워아웃렛이 차량 외부에 기본으로 1개 설치되고, 2열 시트 아랫부분에 선택 사양으로 추가할 수 있다.
V2L 최고 출력은 3.5kw(킬로와트)로 일반 가정에서 쓰는 최대 출력 한도인 2~4kw와 유사하다. 그 말은 전기차를 마치 집처럼, 여행가선 펜션처럼, 이동 중엔 사무실처럼 충분히 이용할 수 있다는 소리다.
자동차 신기술은 그동안 우리를 더욱 자유롭고 즐겁게 해줬다.
내비게이션은 갓길에 주차해 지도를 펼치는 대신, 빠르고 고민 없는 여행길을 선사했다. 블루투스 통화 기능은 안전한 주행과 바쁜 업무를 병행할 수 있도록 했다. 스마트폰을 연결해 사이사이 음악을 듣거나 미러링 기능을 활용해 업무를 보기도 했다.
하지만 자유엔 책임도 따른다. 앞서 V2L 기능에 설렛던 차주들의 바람이 모두 이뤄질 수 있다고 묻는다면 정답은 'NO'다.
현대차의 V2L 매뉴얼에 따르면 "차량 실내에서 화재, 부상의 위험이 있는 전열 전기 제품(전기 주전자, 토스트기, 다리미 등)은 사용하지 말라"고 돼 있다. 집같이 편안한 차 안이지만 마음 놓고 이 같은 제품을 사용하다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이용자 주의는 물론이나 향후 각종 안전 및 책임 문제도 도마 위에 오를 가능성이 커 보인다. 우선 V2L 사용에 따른 배터리 보증 문제, 예기치 못한 전기 및 화재 사고에 대한 기업과 사고 당사자 간 책임 문제가 불거질 수 있다.
신기술에 따른 기분 좋은 설렘을 계속 즐기기 위해선 결국 기업과 차주 모두 책임감 있는 자세가 필수적일 것이다. 무엇보다 신기술을 선보일 때만큼 이용자들이 안전하고 적합하게 기술을 사용할 수 있도록 기업이 적극 힘 써야 한다.
giveit9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