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2018 이어 2020 국방백서에서도 '北=주적' 표현 삭제
정대진 "국방백서 표현 유무보다 군의 실체적 발전 고민해야"
[서울=뉴스핌] 하수영 기자 = 국방부가 2일 발간한 '2020 국방백서'에 '북한=주적' 표현을 삭제했다. 2018 국방백서에서도 이 표현을 뺐는데, 이번에도 빠진 것이다.
국방부는 이날 발간한 2020 국방백서 중 '국방정책과 군사전략' 부분에서 "우리 군은 대한민국의 주권, 국토, 국민, 재산을 위협하고 침해하는 세력을 우리의 적으로 간주한다"고 기술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달 5일 열린 제8차 당대회에 참석하고 있다. [사진 = 노동신문 홈페이지 캡처] 2021.01.06 |
앞서 이명박 정부는 2010년 천안함·연평도 사건 발생 이후 발간한 '2010 국방백서'에서 "북한 정권과 군은 우리의 적"이라는 표현을 처음으로 넣었다. 이후 2012년 국방백서와 박근혜 정부 시기에 발간된 2014, 2016 국방백서까지 이 표현이 유지됐다.
그러다 2019년 초 발간된 2018 국방백서에서 처음으로 이 표현이 빠졌다. 2018년은 남북이 세 차례의 정상회담을 갖는 등 한반도 평화 분위기가 한창 무르익던 시기다.
이때 정부 안팎에서는 "문재인 정부가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를 추동하기 위해 '북한=주적' 표현을 국방백서에서 뺀 것 같다"는 분석이 나왔다. 국방부도 "튼튼한 안보로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를 지원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런데 또 다시 국방백서에서 '북한=주적' 표현이 빠진 2021년 지금, 사뭇 다른 평가가 나온다.
북한은 2019년 13차례에 이르는 무력 도발을 감행했다. 이때 북한판 이스칸데르 미사일, 북한판 에이태킴스 미사일, 신형 대구경조종방사포, 초대형 방사포 등 신무기들이 잇따라 모습을 드러냈고 연이은 시험발사로 실전배치 임박 단계까지 진입했다.
지난해에는 4차례 무력 도발을 했을 뿐만 아니라 서해 공무원 피격,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 기습 폭파 등 북한이 우리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침해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는 사건이 발생했다. 그렇지 않아도 2018년 2월 하노이 북미정상회담 결렬 이후 경색돼 있던 남북 관계는 더욱 나빠질 수밖에 없었다.
이런 가운데 국방백서에서 '북한=주적' 표현이 빠진 것에 대해 일각에서 "지나치게 북한에 저자세가 아니냐", "군의 약화된 안보의식을 드러내는 것 같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연평도=뉴스핌] 사진공동취재단 = 남북이 '9.19 군사합의서'에 따라 지상, 해상, 공중에서 모든 적대행위 중단을 시작한 지난 2018년 11월 1일 오후 인천 옹진군 연평도에서 해병대 병사들이 훈련을 하고 있다.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함) |
그러나 전문가는 "지나치게 시대착오적 논쟁에 매몰돼 있는 모습"이라고 지적했다.
정대진 아주대 통일연구소 교수는 "주적 표현을 국방백서에서 뺀 것은 현 정부에서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라는 커다란 기준을 유지하겠다는 기조를 보여준 것"이라며 "그러나 주적 표현이 있고 없고는 형식적인 것이고, 크게 중요한 것이 아니다. 모두가 시대착오적 논쟁에 빠져 있다"고 비판했다.
정 교수는 "현실적으로 모든 국방정책은 북한을 최대 위협으로 상정한 가운데 북핵위협을 억제하기 위한 차원에서 결정되는데, (국방백서에) 주적이라는 표현이 없다고 해서 북한이라는 적이 없어진 건 아니지 않느냐"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특정 표현의 백서 포함 유무'보다는 군사력 증강을 위한 발전적인 고민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 교수는 "북한을 포함해 모든 잠재적인 적에 대응하기 위해 국방예산을 중장기적으로 어떻게 편성해서 사용할 것인가, 어떻게 과학기술군으로 나아갈 것인가 하는 실체적인 내용에 관심을 가지는 것이 더 중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suyoung071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