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GAM 일반

속보

더보기

[금일 중국증시 포인트(1.15)] 고량주·자동차주 급락, 中 수출입 사상 최고

기사입력 : 2021년01월15일 13:00

최종수정 : 2021년01월15일 13:00

[편집자] 이 기사는 1월 15일 오전 10시45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5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무료로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조윤선 기자 =어제 하락 마감했던 중국 3대 지수가 15일 혼조세로 출발했다. 상하이종합지수는 전일 마감가 대비 0.01% 상승했고, 선전성분지수와 창업판지수는 전일 마감가 대비 각각 0.26%와 0.49% 하락 출발했다. 섹터별로는 은행, 운수설비, 석탄, 반도체 등이 강세를 보이는 반면, 항공과 화학섬유, 주류 등은 약세를 보이고 있다.

중국 주요 증권∙경제전문 매체들은 금일 증시와 관련해 눈여겨볼 만한 소식으로 △ 앞서 매수세가 집중됐던 고량주(白酒·바이주), 방위산업, 친환경 에너지 등 인기 종목 폭락 △ 2020년 달아올랐던 자동차주 급락 △ 중국의 2020년 사상 최고 수출입 규모 달성 소식에 주목했다.

◆ 고량주 등 인기 섹터 주가 휘청, "A주 상승장 추세 변함없어"

14일 중국 3대 지수가 또다시 하락 마감하며 13일에 이어 계속해서 조정을 받았다. 어제 중국 증시에서 가장 눈에 띄는 부분은 그동안 매수세가 몰렸던 고량주, 방위산업, 친환경 에너지 등 섹터가 일제히 큰 폭의 하락세를 보였다는 점으로, 오늘은 어떤 움직임을 보일지 귀추가 주목된다.

특히, 고량주 섹터가 일제히 급락하며 귀주모태(貴州茅台 600519) 등 고량주 대표 종목의 주가도 휘청거렸다. 주귀주(酒鬼酒 000799)가 10% 폭락하며 하한가를 기록했고 커우즈양조(口子窖 603589), 영가양조(迎駕貢酒 603198) 등 종목이 7% 넘게 급락, 오량액(五糧液 000858)도 주가가 5% 넘게 빠졌다. 노주노교(瀘州老窖 000568)와 귀주모태도 각각 3.09%, 1.39% 하락했다.

이와 더불어 그간 시장의 관심이 집중됐던 친환경 에너지 섹터도 14일 크게 하락하며 대표 종목인 닝더스다이(寧德時代·CATL 300750), 비야디(比亞迪 002594), 융기실리콘자재(隆基股份 601012) 주가가 각각 4.15%, 6.41%, 6.65% 급락했다.

최근 주목받고 있는 방위산업 섹터도 항천전자(航天電子 600879), 중항항공기(中航西飛 000768), 중항엔진(航發動力 600893) 등 방산주가 잇달아 하한가를 기록하며 충격을 받았다.

증권시보(證券時報)에 따르면, A주 시가총액 상위 30위권 종목 가운데, 14일 주가가 상승한 종목은 단 8개에 그치며 당일 30위권 종목의 시가총액이 4332억 위안(약 74조 원) 증발했다.

반면, 저평가된 안전한 종목이라는 인식 속에서 국유 중앙기업 대형주인 중쯔터우(中字頭:중자로 시작되는 기업) 종목은 14일에도 강세를 이어갔다.

허베이(河北)성의 주식투자컨설팅회사인 위안다(源達·Yd)는 시장이 고점대에서 단기적인 소폭 변동성 장세를 맞이했다고 판단하며, 시장의 유동성은 풍부하지만 자금이 그간 많이 오른 종목은 피하고 상승 여력이 있는 저평가 종목으로 향하는 흐름을 나타내며 신중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하지만 중국 증권사들은 A주의 상승장 추세는 변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인허(銀河)증권은 현재 인기 섹터는 고평가되어 있는 편이지만, 자금이 계속 증시로 흘러 들어오고 외국자본이 계속 유입되고 있다는 점, 중국 경제 회복과 증시에 대한 정책 호재 등의 펀더멘털이 변함없다는 점이 더욱 중요하다면서, 증시가 단계적으로 조정될 가능성은 있지만 불마켓(상승장)이 끝났다고 말하기는 시기상조라고 판단했다.

◆ "자동차주 급락은 정상적인 숨고르기", 2020년 中 친환경차 생산·판매 역대 최다

또, 어제 숨고르기 장세 속에서 큰 폭의 조정을 받았던 친환경차 섹터가 오늘은 반등세로 돌아설지도 주목할 부분이다.

그간 무섭게 달아올랐던 자동차주가 14일 전반적으로 하락세를 보였다. 그중 장성자동차(長城汽車 601633)가 10% 폭락하며 하한가로 마감했고, 장안자동차(長安汽車 000625), 안휘강회자동차(江淮汽車 600418)도 8% 넘게 급락했다.

중국 경제 전문 매체인 디이차이징(第一財經)은 A주 증시 상위 9위권 자동차 및 부품 기업만 따져봐도 어제 약 900억 위안(약 15조 원)의 시가총액이 증발했다고 전했다.

일각에서는 14일 자동차주 급락의 배경으로 자동차용 반도체 공급 부족을 꼽았다. 자동차에 쓰이는 전기장치·시스템 따위를 설계·제작하여 만든 전장 부품 등에 자동차용 반도체가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스마트폰 등 전자제품 수요 급증에다 코로나19 등 요인으로 주요 자동차 업체들이 차량용 반도체를 제때 공급받지 못하면서 생산에 차질을 빚고 있다는 것.

하지만 자동차 섹터의 조정은 정상적인 현상으로, 반도체 공급 부족에 따른 영향이 크지 않다는 의견도 있었다.

서부(西部)증권의 왕관차오(王冠橋) 애널리스트는 "자동차 업계에는 큰 문제가 없다. 앞서 주가가 너무 급격하게 올라 시장이 전반적으로 조정을 받는 것"이라고 언급했다. 장성자동차만 보아도 2020년 7월부터 주가가 폭주하며 400%나 넘게 올랐다는 점을 지적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14일 자동차 업계에 호재가 될만한 소식이 나와 오늘 주가에 어떻게 반영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당일 중국 상무부는 2020년 중국 국내 시장에서 친환경 에너지 자동차 생산량과 판매량이 각각 136만 6000대, 136만 7000대로 모두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 방역물자·'집콕' 상품 수출 증가 힘입어 2020년 수출입 사상 최대

이밖에 14일 전해진 중국의 2020년 사상 최대 수출입 규모 달성 소식이 금일 증시에 미칠 영향도 관전 포인트다.

[사진 신화사=뉴스핌 특약]

중국 해관총서(세관)는 2020년 중국 수출입 규모가 32조 위안(약 5430조 원)을 돌파한 역대 최대 규모를 달성했다고 발표했다.

그중 수출은 4% 증가한 17조 9300억 원, 수입은 0.7% 줄어든 14조 2300억 위안으로, 전체 무역 규모와 수출, 수입이 세계 시장에서 차지하는 점유율도 모두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소개했다. 무역흑자도 27.4% 증가한 3조 7000억 위안에 달했다.

해관총서는 2020년 중국의 대외무역이 안정 성장과 질적 성장을 모두 실현했다고 평가했다. 코로나19로 인한 방역물자와 '집콕' 관련 제품 수출 증가, 민영기업, 국경 간 전자상거래(크로스보더 이커머스)가 대외무역의 안정 성장을 견인하며, 예상을 뛰어넘는 수출입 실적을 달성했다면서, 2021년에도 대외무역이 성장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뉴스핌 Newspim] 조윤선 기자 (yoonsun@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강선우 청문보고서 재송부 요청 [서울=뉴스핌] 박성준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22일 국회에 국방부, 국가보훈부, 통일부, 여성가족부에 대한 인사청문 보고서 송부를 재요청했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브리핑을 통해 "금주 내에 임명을 마무리하고 신속한 국정 안정을 꾀하기 위해 기한은 오는 24일 목요일로 요청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서울=뉴스핌]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1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레젭 타입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과 전화 통화를 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2025.07.17 photo@newspim.com 현행 인사청문회법에 따르면 국회는 임명동의안 등이 제출된 날로부터 20일 이내에 청문 절차를 마무리해야 한다. 만약 국회가 이 기간 내에 청문보고서를 송부하지 않을 경우, 대통령은 그로부터 열흘 이내 범위에서 기한을 정해 국회에 송부를 재요청할 수 있다. 앞서 이 대통령은 논문 표절 논란이 불거진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에 대해서는 지명을 철회했으며, 보좌진 '갑질' 등 의혹이 불거진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에 대해서는 임명 절차를 이어가기로 했다. 강 후보자와 관련해 야당뿐 아니라 시민사회단체들로부터도 반대 의견이 잇따르고 있다. parksj@newspim.com 2025-07-22 15:52
사진
[단독] '근로감독관법' 입법 초읽기 [세종=뉴스핌] 양가희 기자 = 근로감독관 직무·권한·수사권 행사 기준 등 근로감독 업무 전반에 대해 체계적인 법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한 근로감독관법 제정안이 발의될 예정이다.  이재명 대통령은 취임 이후 근로감독관 증원 의지를 꾸준히 밝혀왔다. 이 대통령 대선 공약에는 임기 내 근로감독관을 최대 1만명까지 늘린다는 계획이 담겼다. 전문가들은 현행 근로감독에 대한 법적 근거가 근로기준법 아래 시행령과 훈령 등 단편적인 수준에 불과한 만큼, 증원에 앞서 법체계를 정비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21일 국회에 따르면 박홍배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근로감독관법 제정안 발의를 준비 중이다. 이르면 이번주 발의를 마무리하고 국회 설득에 나설 계획이다.  이재명 대통령이 1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제4회 수석·보좌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2025.07.17 photo@newspim.com 제정안은 근로감독의 내용과 감독관의 책임 및 권한 등을 명시하기 위해 마련됐다. 반복 위반 및 중대한 위법행위에 대한 즉각적 수사 착수 기준을 밝히고, 정기·수시·특별감독 유형 구분과 감독결과에 대한 처리기준을 명문화했다. 근로감독행정 정보시스템 및 노동행정포털 구축 등 디지털 행정 기반 마련, 권리구제지원관 도입 등 근로감독 역량 강화를 위한 재정적·행정적 지원 근거도 포함했다. 전문가들은 근로감독관 증원, 근로감독권 지방 이양 등 근로감독 관련 대통령 공약 사항을 이행하기 위해서는 법체계 정비가 먼저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현행 법체계를 보면 근로감독관에 대한 법적 근거는 근로기준법 아래 시행령인 '근로감독관 규정'이 가장 상위 법령이고, 그 아래 시행규칙인 '근로감독관증 규칙'과 훈령 '근로감독관 집무규정' 등 단편적인 수준에 불과하다. 근로감독 내용과 감독관 권한 등을 구체적으로 밝히는 법적 근거가 부족한 상황이다. 이 대통령은 취임 이후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근로감독관 증원 및 위험 사업장 불시 단속 필요성을 반복 강조해 왔다.  이 대통령는 지난 10일 수석보좌관회의에서 위험 사업장 불시 단속과 이를 위한 근로감독관 대폭 증원 등을 지시한데 이어, 지난 17일에는 "산업안전 업무를 담당할 근로감독관을 300명 정도라도 신속하게 충원해 예방적 차원의 현장 점검을 불시에 상시적으로 해 나가기를 바란다"며 구체적 증원 규모까지 언급했다. 이 대통령이 근로감독관 확대를 추진하는데는 근로감독관 인력 부족이 한계치에 도달했기 때문이다. 노동사건은 급격히 증가하는데 반해, 이를 조사할 인력은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지난해 기준 임금체불 등 근로기준법 분야를 다루는 근로감독관 수는 2236명으로 지난 2019년 이후 정체 현상이 뚜렷하다.  김근주 한국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근로감독관과 더불어 이들이 2~3년마다 순환 근무하는 노동위원회 조사관의 업무가 증폭하고 있어 인원 확충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근로감독) 권한 일부를 지방정부에 이양하는 등의 논의도 있다"며 "이런 부분이 현행 체제로는 가능하지 않아 법체계 정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 의원은 이번 제정안을 두고 "독자적인 근로감독법을 제정한다면 근로감독이라는 행정권한의 위상이 법적으로 확립될 것"이라며 "노동행정의 실행력이 강화될 뿐 아니라 일선 근로감독관의 전문성 제고와 집행의 일관성 확보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sheep@newspim.com 2025-07-21 18:05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