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정구 교수 연구팀, 고용량 전극 재료 개발
태양전지 모듈로 수십 초 내 급속충전 가능
[서울=뉴스핌] 김지완 기자 = 국내 연구진이 수초 만에 완충 가능한 리튬전지를 개발했다.
KAIST는 신소재공학과 강정구 교수 연구팀이 우수한 성능의 고에너지·고출력 하이브리드 리튬이온 전지를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서울=뉴스핌] 김지완 기자 = 강정구 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 [사진=KAIST] 2020.12.03 swiss2pac@newspim.com |
연구팀은 메조기공(mesopore, 2~50nm 크기의 구멍)과 마이크로 기공(micropore, 2nm 이하 크기의 구멍)이 동시에 존재하는 다공성 구조의 전도성 탄소 구조체 기반의 고용량 음극재와 양극재 개발을 통해 고성능 하이브리드 리튬이온 전지를 구현했다.
강 교수팀이 개발한 하이브리드 리튬이온 전지는 이미 상용화된 리튬이온 배터리와 견줄만한 에너지 밀도와 슈퍼 축전기의 출력 밀도 특성을 모두 갖춘 차세대 에너지 저장 소자다. 수초에서 수분 내 급속충전이 가능해 전기차를 비롯, 전기 트램과 스마트 전자기기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재료 분야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드 에너지 머터리얼(Advanced Energy Materials, IF 25.245)' 11월 10일자에 실렸으며 연구 우수성을 인정받아 표지논문으로 선정됐다.
리튬이온 배터리는 현재 대표적인 상업용 에너지 저장 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 ESS)이다. 미래 이동 수단으로 꼽히는 친환경 전기차(Electric Vehicles, EVs)부터 각종 스마트 전자기기에 이르기까지 전자 산업에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 잡고 있어 '제2의 반도체'로 불린다.
하지만 유계 전해질의 낮은 이온 전도도, 느린 전기화학적 반응 속도, 전극재의 한정성 등의 특성에 의한 낮은 출력 밀도, 긴 충전 시간, 음극 및 양극 비대칭에 따른 큰 부피 등 근본적인 문제를 안고 있다.
강 교수 연구팀은 다공성 구조의 환원된 산화 그래핀을 활용한 전도성 탄소 기반의 음극 및 양극 소재를 개발했다. 아울러 속도 특성이 개선된 고용량 음극과 양극을 통해 고에너지·고출력의 하이브리드 리튬이온 에너지 저장 장치를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 관계자는 "이 하이브리드 전지는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 수준의 고에너지 밀도와 함께 넓은 구동 전압 범위에서 고출력 특성을 보인다ˮ면서 "태양전지 모듈로 수십초 내 급속충전이 가능해서 기존에 나와 있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한계를 개선했다ˮ고 말했다.
연구를 주도한 강정구 교수도 "리튬이온 배터리 수준의 에너지 밀도는 물론 고출력 밀도에 의한 급속충전이 가능한 최첨단 리튬이온 전지ˮ라면서 "활용 범위를 전기차를 포함해 모든 전자기기로까지 확대한다면 인류 삶의 질을 높일 것으로 기대한다ˮ고 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글로벌프론티어사업의 하이브리드 인터페이스 기반 미래소재연구단과 미래창조과학부 수소에너지 혁신기술사업의 지원을 받아 이뤄졌다.
swiss2pac@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