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GAM 주식

속보

더보기

[美 블루칩] 페이첵스, 중소기업 전문 인적자본관리 아웃소싱 업체

기사입력 : 2020년11월07일 01:00

최종수정 : 2020년11월07일 01:00

[서울=뉴스핌] 김현영 기자 = 페이첵스(Paychex Inc., PAYX)는 미국과 유럽의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통합적인 인적자본관리(HCM) 솔루션을 제공하는 아웃소싱 업체이다.

1971년 B. 토마스 골리사노가 설립했으며, 미국 뉴욕주 로체스터에 본사를 두고 있다.

미국과 독일, 덴마크, 노르웨이, 스웨덴 등 유럽 100여개 국가에서 68만 고객사를 대상으로 직원의 급여, 납세 신고, 퇴직, 인사행정, 보험, 복리후생 업무 등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페이첵스 [사진=업체 홈페이지]



페이첵스는 1995년 페이폰(Pay-Fone)과 페이데이(Payday) 인수를 시작으로 경쟁업체를 흡수해왔고, 2002년 어드밴티지 페이롤 서비스(Advantage Payroll Services)와 2003년 인터페이(InterPay)를 인수하면서 본격적으로 외형을 확장했다.

2018년 12월에는 오아시스 아웃소싱(Oasis Outsourcing Acquisition Corp.)을 12억달러에 사들였다.

인력파견 전문업체인 오아시스 아웃소싱 인수 당시 페이첵스는 65만 고객사를 보유하고 있었고, 오아시스는 8400개의 인력파견 고객사를 보유하고 있었다.

 

페이첵스 [사진=업체 홈페이지]

 

페이첵스는 1983년 8월 나스닥(NASDAQ)에 상장했으며, 미국 3대 지수 중 나스닥100과 S&P500에 속해있다.

2014년 시장정보 분석 업체 IHS 마킷과 함께 소상공인 고용 지수(Small Business Jobs Index)를 발표하기 시작했으며, 소상공인 고용(Small Business Employment Watch) 정보를 제공한다.

2018년 포브스의 '가장 혁신적인 기업' 명단에서 76위를 차지했으며, 2019년 포춘이 선정한 '50대 미래 유망 기업'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2020년 에티스피어재단이 공개한 '세계에서 가장 윤리적인 기업'으로 뽑히기도 했다.

5월이 결산월인 페이첵스는 2019년 6월부터 2020년 5월까지 2020 회계연도 기준으로 매출액이 40억4000만 달러, 순이익이 11억 달러, 희석 EPS가 3.04달러를 기록했다.

사업부문별 매출 비중은 일반 관리 솔루션 부문이 76%, 종합 아웃소싱 부문이 22%를 차지했다.

분기 단위로 배당을 지급하는 페이첵스의 최근 1년간 배당금은 2.48달러이고 배당수익률은 3.24%이다.

 

페이첵스의 최근 1년간 주가 추이 [차트=팁랭크스]



페이첵스의 최근 1년간 주가 추이를 살펴보면, 80달러 대를 유지하다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 영향으로 올해 3월 말 50달러를 하회하는 선까지 내린 후 반등했다.

2020년 11월 5일 현재 종가는 전 거래일 대비 1.30% 오른 86.60달러이고, 시가총액은 307억3000만달러다.

52주 최고가는 90.54달러이고 최저가는 47.87달러다.

최근 5거래일 동안 5.03% 상승했고, 최근 3개월간 19.30% 올랐다.

 

페이첵스 [사진=업체 홈페이지]


페이첵스는 지난 10월 6일 월가의 예상보다 양호한 2021 회계연도 1분기 실적을 공개했다.

1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6% 감소한 9억3220만 달러를 기록했지만, 월가 전문가 전망치 8억9540만 달러를 웃돌았다.

순이익은 2억1160만 달러(주당 0.59달러)로 전년 동기에 기록한 2억6420만 달러(주당 0.73달러)에서 20% 감소했다.

일회성 항목을 제외한 조정 EPS는 0.63달러로 전년 동기에 기록한 0.71달러에서 감소했지만, 월가 전문가 전망치 0.55달러를 웃돌았다.

마틴 뮤시 페이첵스 최고경영자(CEO)는 "코로나19 팬데믹의 여파가 전년 대비 올해 실적에 계속해서 안좋은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고객 유지율은 여전히 공고하며 고객 수 증가에 따라 매출이 늘어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페이첵스는 2021 회계연도 조정 EPS가 전년비 6~8% 하락할 것으로 내다봤다. 팩트셋이 내놓은 8.3% 하락에 비해 양호한 전망이다.

마켓워치에 따르면, 최근 3개월간 발표된 페이첵스에 대한 21건의 월가 투자의견을 종합하면 '보유'로 나타났다.

'보유' 의견을 제시한 투자은행(IB)이 14곳으로 가장 많았고, '매수' 의견이 3곳이었다. '비중축소'와 '매도' 의견도 각각 2곳씩 있었다.

향후 12개월 목표주가는 최고 93달러, 최저 64달러, 평균값 81.06달러이다.

IB들은 페이첵스의 이번 회계연도 순익 전망치를 주당 2.82달러로 내다봤으며, 다음 회계연도는 3.06달러로 예상하고 있다.

 

kimhyun01@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강선우 청문보고서 재송부 요청 [서울=뉴스핌] 박성준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22일 국회에 국방부, 국가보훈부, 통일부, 여성가족부에 대한 인사청문 보고서 송부를 재요청했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브리핑을 통해 "금주 내에 임명을 마무리하고 신속한 국정 안정을 꾀하기 위해 기한은 오는 24일 목요일로 요청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서울=뉴스핌]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1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레젭 타입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과 전화 통화를 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2025.07.17 photo@newspim.com 현행 인사청문회법에 따르면 국회는 임명동의안 등이 제출된 날로부터 20일 이내에 청문 절차를 마무리해야 한다. 만약 국회가 이 기간 내에 청문보고서를 송부하지 않을 경우, 대통령은 그로부터 열흘 이내 범위에서 기한을 정해 국회에 송부를 재요청할 수 있다. 앞서 이 대통령은 논문 표절 논란이 불거진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에 대해서는 지명을 철회했으며, 보좌진 '갑질' 등 의혹이 불거진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에 대해서는 임명 절차를 이어가기로 했다. 강 후보자와 관련해 야당뿐 아니라 시민사회단체들로부터도 반대 의견이 잇따르고 있다. parksj@newspim.com 2025-07-22 15:52
사진
[단독] '근로감독관법' 입법 초읽기 [세종=뉴스핌] 양가희 기자 = 근로감독관 직무·권한·수사권 행사 기준 등 근로감독 업무 전반에 대해 체계적인 법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한 근로감독관법 제정안이 발의될 예정이다.  이재명 대통령은 취임 이후 근로감독관 증원 의지를 꾸준히 밝혀왔다. 이 대통령 대선 공약에는 임기 내 근로감독관을 최대 1만명까지 늘린다는 계획이 담겼다. 전문가들은 현행 근로감독에 대한 법적 근거가 근로기준법 아래 시행령과 훈령 등 단편적인 수준에 불과한 만큼, 증원에 앞서 법체계를 정비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21일 국회에 따르면 박홍배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근로감독관법 제정안 발의를 준비 중이다. 이르면 이번주 발의를 마무리하고 국회 설득에 나설 계획이다.  이재명 대통령이 1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제4회 수석·보좌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2025.07.17 photo@newspim.com 제정안은 근로감독의 내용과 감독관의 책임 및 권한 등을 명시하기 위해 마련됐다. 반복 위반 및 중대한 위법행위에 대한 즉각적 수사 착수 기준을 밝히고, 정기·수시·특별감독 유형 구분과 감독결과에 대한 처리기준을 명문화했다. 근로감독행정 정보시스템 및 노동행정포털 구축 등 디지털 행정 기반 마련, 권리구제지원관 도입 등 근로감독 역량 강화를 위한 재정적·행정적 지원 근거도 포함했다. 전문가들은 근로감독관 증원, 근로감독권 지방 이양 등 근로감독 관련 대통령 공약 사항을 이행하기 위해서는 법체계 정비가 먼저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현행 법체계를 보면 근로감독관에 대한 법적 근거는 근로기준법 아래 시행령인 '근로감독관 규정'이 가장 상위 법령이고, 그 아래 시행규칙인 '근로감독관증 규칙'과 훈령 '근로감독관 집무규정' 등 단편적인 수준에 불과하다. 근로감독 내용과 감독관 권한 등을 구체적으로 밝히는 법적 근거가 부족한 상황이다. 이 대통령은 취임 이후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근로감독관 증원 및 위험 사업장 불시 단속 필요성을 반복 강조해 왔다.  이 대통령는 지난 10일 수석보좌관회의에서 위험 사업장 불시 단속과 이를 위한 근로감독관 대폭 증원 등을 지시한데 이어, 지난 17일에는 "산업안전 업무를 담당할 근로감독관을 300명 정도라도 신속하게 충원해 예방적 차원의 현장 점검을 불시에 상시적으로 해 나가기를 바란다"며 구체적 증원 규모까지 언급했다. 이 대통령이 근로감독관 확대를 추진하는데는 근로감독관 인력 부족이 한계치에 도달했기 때문이다. 노동사건은 급격히 증가하는데 반해, 이를 조사할 인력은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지난해 기준 임금체불 등 근로기준법 분야를 다루는 근로감독관 수는 2236명으로 지난 2019년 이후 정체 현상이 뚜렷하다.  김근주 한국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근로감독관과 더불어 이들이 2~3년마다 순환 근무하는 노동위원회 조사관의 업무가 증폭하고 있어 인원 확충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근로감독) 권한 일부를 지방정부에 이양하는 등의 논의도 있다"며 "이런 부분이 현행 체제로는 가능하지 않아 법체계 정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 의원은 이번 제정안을 두고 "독자적인 근로감독법을 제정한다면 근로감독이라는 행정권한의 위상이 법적으로 확립될 것"이라며 "노동행정의 실행력이 강화될 뿐 아니라 일선 근로감독관의 전문성 제고와 집행의 일관성 확보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sheep@newspim.com 2025-07-21 18:05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