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 규모 2만4000TEU급 12척 째 생산 중
길이만 400m, 축구장 4개가 '쏙'..탈황설비도 완비
1~7호선 만선행진 기록..HMM 세계 8위 선사 도약
[거제=뉴스핌] 서영욱 기자 = 태풍 '장미'가 몰고 온 장대비가 쏟아지던 지난 11일 삼성중공업 거제조선소. 감독관 안내에 따라 버스에서 내려 철제 계단을 뛰어 올랐다. 비를 피한 것도 잠시. 찜질방 못지않은 습한 열기로 비인지, 땀인지 알 수 없을 정도로 온 몸이 흠뻑 젖었다.
마치 거대한 공장을 연상케 한 내부에는 집채만 한 은색 배관이 천장으로 솟아 있다. 그 주변으로 시스템을 점검하거나 전기 작업을 하는 것으로 보이는 직원들이 바삐 움직인다. '웅웅' 거리는 작업 소음으로 옆 사람이 소리를 질러야 목소리를 겨우 알아들을 수 있을 정도.
"이 곳이 '상트페테르부르크호'를 움직이는 심장부인 엔진룸(기관실)입니다."
감독관의 외침에 그제야 세계 최대 규모의 컨테이너선에 승선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서울=뉴스핌] 서영욱 기자 = 상트페테르부르크호 엔진룸 전경 (제공=HMM) 2020.08.12 syu@newspim.com |
◆세계 최대 규모 배 12척 보유..대한민국 해운 위상 '우뚝'
HMM이 발주하고 삼성중공업이 건조하고 있는 상트페테르부르크호는 2만4000개의 컨테이너를 실을 수 있는 세계 최대 규모의 컨테이너선이다. 정부가 침체에 빠진 해운업 재건을 목표로 전략적으로 발주한 물량이다.
문재인 정부는 지난 2018년 해운재건 5개년 계획을 세우고 그 일환으로 HMM을 통해 2만4000TEU 선박 12척, 1만6000TEU 8척을 발주했다. 2만4000TEU 초대형 선박은 대우조선해양에서 7척, 삼성중공업에서 5척을 각각 건조해 완성했다.
HMM은 지난 4월 23일 알헤시라스호를 시작으로 다음달까지 12척 모두를 아시아~북유럽 항로에 투입할 계획이다. 1호선인 알헤시라스호는 지난 5월 8일 아시아 구간의 마지막 기항지인 옌톈에서 1만9621TEU를 선적하고 유럽으로 출발, 선적량 세계 신기록을 달성했다.
이날 승선한 상트페테부르크호는 2만4000TEU급 마지막으로 건조 중인 선박으로, 전체 공정은 95% 가량 완성이 된 상태다. 시험 운항을 거쳐 다음달 HMM에 인도 예정이다.
HMM 관계자는 "1만TEU급 이상의 초대형선 보유는 해운사들의 경쟁력을 나타내는 척도"라며 "글로벌 1,2위 선사들의 초대형선 보유비율은 20%로, HMM이 내년 1만6000TEU 8척까지 모두 인도받으면 HMM의 초대형선 비율은 40% 이상으로 증가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게 된다"고 설명했다.
◆탈황장치 갖춰 환경규제 대응..LNG로 교체도 가능
다시 좁고 가파른 철제 계단을 한참을 올랐다. 숨이 가빠올 즈음 이 배의 핵심인 스크러버(탈황장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해운업계의 올해 가장 큰 고민은 배에서 나오는 배기가스를 줄이는 데 있다. 올 1월부터 IMO(국제해사기구) 방침에 따라 선박에서 나오는 연료유 황산화물 배출 기준을 3.5%에서 0.5% 이하로 낮춰야 한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아예 LNG 추진선을 운영하거나, 황이 덜 나오는 저유황유를 쓰는 방식이 있다. HMM은 고유황유를 사용하면서 황산화물 배출을 줄일 수 있는 스크러버를 장착하기로 선택했다.
HMM 관계자는 "'IMO 2020'에 대응하기 위해 해운사들의 고민이 깊다"며 "저유황유의 경우 수급과 가격이 불안정하다는 단점이 있고, 기존 배에 스크러버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두 달간의 작업기간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우리 배는 건조 단계에서부터 스크러버를 설치하고 있다"며 "또 향후 시장 상황에 대비해 LNG 연료탱커를 탑재할 수 있도록 설계돼 있어 LNG 추진선으로 교체할 수 있는 게 장점이다"고 강조했다.
최근 세계 각국에서 아예 스크러버를 설치한 배의 입항을 막는 사례가 나오고 있어서다.
[서울=뉴스핌] 서영욱 기자 = 상트페테르부르크호 전경 (제공=HMM) 2020.08.12 syu@newspim.com |
◆축구장 4개 면적, 남산타워 2개가 '쏙'
기관실을 나와 조타실과 선원들의 침실이 있는 거주구로 향하기 위해 갑판을 가로질렀다. 세계 최대 규모의 선박인 만큼 크기를 가늠하기 어려울 정도다. 선박의 길이는 약 400m. 남산타워 2개를 나란히 눕혀 실을 수 있는 크기다. 높이는 대략 15층 아파트와 비슷한 33.2m, 갑판의 면적은 축구장 4개를 만들고도 남는다.
이 배에는 선장을 포함해 모두 23명의 선원이 탑승한다. 거주구에는 선원들이 지낼 수 있는 침실 등이 마련돼 있다. 흔히 볼 수 있는 원룸 형식의 방이 늘어서 있고, 최상층에는 선장실과 조타실이 있다. 조타실에서는 배의 전면부와 후면부를 훤히 확인할 수 있다.
안내을 맡은 삼성중공업의 김경화 과장은 "자동차 핸들처럼 생긴 키를 조정해 근해를 빠져나가면 원해에서 내비게이션으로 경로를 설정해 자동 운항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또 "전면부에는 육안으로 장애물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컨테이너를 높게 쌓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1~7호선 만선 행진 중..HMM 세계 8위 선사 도약
다음달 중 인도될 이 배는 이 곳에서 부산, 닝보, 상해, 얀티안 등 아시아 항만을 거쳐 수에즈 운하를 지나 유럽으로 향하게 된다. 유럽에서 로테르담, 함부르크, 앤트워프, 런던 등 유럽 주요 항만을 거치는 12주의 항해를 진행한다.
알헤시라스호에 이어 2호선 오슬로호도 1만9504TEU를 선적해 만선을 기록했으며 3호선 코펜하겐호(1만9490TEU), 4호선 더블린호(1만9459TEU), 5호선 그단스크호(1만9513TEU), 6호선 로테르담호(1만9567TEU), 7호선 함부르크호(1만9536TEU)까지 연달아 만선을 기록 중이다.
만선 여부는 아시아의 마지막 기항지에서 유럽으로 향하는 시점 기준이며, 8, 9호선은 현재 아시아 구간이 운항 중이다.
2만4000TEU 선박은 헤드홀(아시아에서 유럽으로 가는 구간) 뿐만 아니라 백홀(돌아오는 구간)에서도 만선을 기록 중이다. 통상 백홀의 경우 평균 화물적재율이 50~60%이지만 알헤시라스호(1만9544TEU), 오슬로호(1만9266TEU), 코펜하겐호(1만9476TEU)가 연이어 만선 행진을 이어갔다.
[서울=뉴스핌] 서영욱 기자 = 상트페테르부르크호 선수 모습 (제공=HMM) 2020.08.12 syu@newspim.com |
HMM 관계자는 "초대형선에 화물을 다 채우지 못할 것이라는 일부 우려가 있었으나 연이은 만선으로 시장의 우려를 불식시켰다"며 "HMM을 비롯한 국내 해운선사의 경쟁력을 크게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그는 "초대형선 인도로 인해 국적선사인 HMM이 2020년 선복량 보유기준 세계 8위 선사로 도약했다"며 "2021년 1만6000TEU 8척까지 인도받게 되면 선복량은 90만TEU로 늘어나며 2022년 110만TEU로 확대 예정이다"고 했다.
syu@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