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완전 판매 금융당국 제재...평판리스크 확대
재무실적 영향있다면 신용등급 하방압력 받아
[서울=뉴스핌] 김신정 기자 = 글로벌 신용평가사 에스앤피(S&P)는 6일 하나은행과 우리은행에 대해 고위험 파생결합펀드(DLF) 불완전 판매에 대한 금융당국의 제재 결정으로 평판 리스크가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은행의 평판이 훼손돼 사업활동이 위축될 수 있는데, 재무실적이 크게 영향을 받는다면 두 은행의 신용등급은 하방압력을 받을 수 있다고 진단했다.
S&P는 DLF 제재가 향후 경영진 안정성과 일관적인 사업전략 실행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평가했다. 다만 과태료가 크지 않고 이로 인해 재무실적이 크게 약화될 가능성이 낮아 당장 신용등급에 미치는 영향은 없다고 했다.
[사진=하나은행, 우리은행 사옥] |
S&P는 또 하나은행과 우리은행이 견조한 프랜차이즈와 폭넓은 고객기반을 바탕으로 기존 시장지위를 유지할 것으로 봤다. 또 소비자 보호가 강화되는 규제 흐름에 따라 상품설계 및 판매절차와 관련한 관리, 내부통제를 강화할 것으로 예상했다.
지난 4일 금융위원회는 하나은행과 우리은행에 각각 약 170억 원, 200억 원의 과태료를 부과하고 사모펀드 신규판매 업무를 6개월간 정지하기로 의결했다. 앞서 금융감독원은 두 은행의 내부통제 부실이 지난해 해외금리연계형 파생결합펀드 불완전판매로 이어졌다고 밝혔다. S&P는 향후 임직원에 대한 제재는 경영진 안정성에 부담을 줄 수도 있다고 진단했다.
S&P는 과태료와 손해배상으로 인한 재무적 영향은 두 은행의 실적 대비 크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하나은행과 우리은행은 지난해 파생결합펀드 배상에 대비해 각각 약 1600억 원과 500억 원(세전이익의 약 5%와 2%)을 충당금으로 적립했다.
또 두 은행은 감독당국의 권고에 따라 지난 2007-2008년 기업고객들에게 불완전판매한 통화옵션계약(키코)와 관련된 배상 비용을 일부 부담해야 할 가능성도 있다.
S&P는 경영관리 및 지배구조, 금융상품 판매와 관련한 내부통제가 상당히 취약해질 경우 은행의 평판이 훼손되고 사업활동이 위축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이어 재무실적이 크게 영향을 받는다면 두 은행의 신용등급은 하방압력을 받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aza@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