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억 손실보다 전문인력 육성 '차질'이 큰 걱정
9월 판매정지 풀려도 영업재개 현실적 어려워
[서울=뉴스핌] 백진규 기자 = 우리·하나은행의 사모펀드 6개월 판매정지 제재안이 5일 시행되면서, 오는 9월 이후에도 사모펀드 판매가 재개 여부가 불투명하다는 우려가 나온다. 해당 은행의 사모펀드 관련 업무 및 인력 축소도 불가피하다.
전일 금융위원회는 대규모 원금손실이 발생한 파생결합펀드(DLF) 사태와 관련해 우리은행과 하나은행에 대한 금융감독원의 징계 원안을 대부분 수용했다. CEO 중징계, 과태료 부과와 함께 '6개월 일부 업무(사모펀드 신규판매) 영업정지'를 의결한 것이다. 당초 금융위가 수위를 낮출 것이란 기대감도 있었으나, 재발 방지를 위한 강력한 시그널이 필요했던 것으로 풀이된다.
[사진=하나은행, 우리은행 사옥] |
지금까지 주요 시중은행이 6개월 장기 영업정지 처분을 받은 사례는 없었다. 과거 부산·농협·경남은행 등에 대한 3개월 영업 일부정지가 전부였다. 그만큼 강도 높은 제재여서 두 은행의 피해도 상당할 것으로 업계는 관측했다.
6개월 사모펀드 판매 중단으로 인한 우리·하나은행의 수수료 손실은 약 300억원 정도로 추정된다. 두 은행의 지난해 당기순이익(하나 2조1565억원, 우리 1조5408억원)을 감안하면 전체 수익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 미만인 셈이다.
하지만 은행 영업 특성상 사모펀드를 통한 교차판매까지 어려워 진다는 점에서 손실이 '1% 미만'보다 커질 것이란 의견이 나온다. 고객이 사모펀드 가입을 위해 은행을 찾더라도 다양한 상품에 함께 투자하는 경우가 일반적이기 때문. 한 은행 관계자는 "은행은 무엇보다 신뢰를 먹고 사는데, 당국 제재로 6개월씩 상품 판매가 중단된다는 점은 이미지에도 상당한 타격"이라며 "기존 고객이 다른 은행으로 이탈할 수 있는 만큼 고객관리도 부담"이라고 설명했다.
당국의 영업중지는 오는 9월 4일까지이나, 곧바로 사모펀드 판매가 재개될 지 여부도 불투명하다. 두 은행 모두 사모펀드 판매 재개 계획에 대해서는 말을 아꼈다. 해당 은행 관계자들은 "9월 5일부터 판매는 가능하지만 관련 계획 등에 대해 아직 논의할 단계가 아니다"라며 "우선은 재발 방지와 사후 관리 업무에 집중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장기적인 영업 중단으로 관련 업무 및 인력 축소 우려도 제기된다. 우리·하나은행은 DLF사태가 불거진 뒤 지난해 10월부터 이미 사모펀드 판매를 중단해 왔다. 오는 9월까지 거의 1년간 관련 업무를 중단하면서 본점 부서의 파생상품 판매·상품기획 및 운용사와의 협업 업무를 담당하는 직원들도 다른 업무에 투입되고 있다.
최근 라임자산운용 사태까지 더해지면서 사모펀드 시장이 지속적으로 위축되는 점도 부담이다. 지난해 말 기준 전체 시중은행의 사모펀드 판매잔고는 6개월 만에 12.5% 줄어든 25조3353억원으로 집계됐다.
bjgchina@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