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배당금만 7597억, 올해 금융권 최초 자사주 소각
윤종규 회장, 주주가치 제고 총력...글로벌 IR활동에도 주력
[서울=뉴스핌] 한기진 기자 = KB금융지주가 국내 금융주 주가가 부진한 흐름속에 주가 부양 등 주주가치 제고 활동에 적극나서면서, 주목을 받고 있다.
지난 6일 이사회를 열고 총 발행 주식수의 0.55%에 해당하는 약 1000억원 규모의 자사주 230만3617주를 소각하기로 결정하자 금융시장에 큰 관심을 받았다. 미국, 호주, 대만 등 글로벌 금융회사들의 경우 자사주 소각이 일반화되어 있으나, KB금융의 소각은 국내 은행지주회사 중 최초이다.
![]() |
| KB금융그룹 |
KB금융은 또한 배당성향 확대와 자사주 매입을 통한 총주주환원율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금융권 최고 수준의 수익창출력과 배당성향을 바탕으로 작년 배당금만 7597억원에 이른다. 2016년부터 총 4차례에 걸쳐 1조4000억원 규모의 자사주를 매입하는 등 윤종규 회장 취임 이후 5년간 총주주환원율은 32.9%에 달하고 있다. 지난 7년간 KOSPI 기업의 평균 총주주환원율이 약 17%수준에 불과하다는 점을 감안해보면, KB금융의 총주주환원율은 약 2배에 달할 만큼 높은 수준이다.
KB금융의 자사주 매입 노력에는 임직원들도 동참하고 있다. 윤종규 회장은 총 2만1000주의 KB금융 주식을 보유하고 있으며, KB금융그룹의 주요 임원들도 기회가 있을 때마다 KB금융 주식을 매입하고 있다. 또한, KB금융은 '주인되기 운동'의 일환으로 임직원들의 우리사주 매입을 독려하고 있는데, 그 결과 `18년말 0.60%에 불과했던 우리사주조합 지분율이 6개월만에 0.97%까지 상승하였다.
KB금융지주 관계자는 "저금리, 저성장 영업환경에서 은행의 성장성 한계 및 수익성 개선에 대한 투자자들의 우려가 큰 상황인 만큼 그 어느 때보다 적극적인 주주환원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특히 KB금융지주의 경우 9월말 현재 BIS총자본비율이 15% 이상이고, 보통주자본비율은 14%를 크게 상회하는 등 금융권 최고 수준의 자본력을 유지하고 있어 배당, 자사주 매입 및 소각 등 한 차원 높은 주주환원 정책을 추진할 수 있었다"고 덧붙혔다.
이 같은 주주환원 정책은 윤종규 회장의 의지가 반영된 결과이다.
윤종규 회장은 직접 세계를 누비며 주요 장기투자 기관과 연기금 등을 찾아 KB금융의 미래가치를 설명하고 있다. 올해 동안에만 홍콩, 싱가포르, 미국, 일본, 영국, 노르웨이 등 전세계 주요국을 돌며 IR을 벌였다.
지난 4월 호주 지역 IR활동은 곧 성과로 이어지기도 하였다. 당시 윤종규 회장의 미팅 상대 중 한 곳이자 프랭클린 템플턴펀드를 운용하는 '프랭클린 리소시스'는 IR 미팅 이후 KB금융 주식 추가 매입을 통해 4월16일 지분율 5%를 초과하며 국민연금공단에 이은 2대 주주에 올랐고, 한달 반 후 다시 한번 추가 매입을 통해 템플턴의 총 주식 수는 2095만3613주(지분율 5.01%)에서 2268만2137주(지분율 5.42%)로 늘었다.
금융업계의 한 인사는 "템플턴 등의 신규 투자를 이끌어낸 것은 윤 회장의 유치전이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이라고 봤다. 가계대출 규제와 한국 경제의 둔화 양상 등으로 올해 시장 환경이 좋지 않은 와중에도 외국인 주주들을 끌어들이고 있는 건 CEO가 직접 뛰고있는 게 한 몫하고 있다는 평가이다. 윤 회장은 영어와 일어에도 능통한 것으로 알려져 있어 자연스러운 커뮤니케이션을 선호하는 외국인 투자자들에게 인기가 높다고 한다.
hkj77@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