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이동훈 기자 = 도시재생이라는 이름조차 낯설었던 지난 2014년 전국 1호 도시재생선도지역으로 역사적 걸음을 시작한 창신숭인 지역에 변화가 한창이다.
대규모 재개발로 사라질 뻔했던 역사·문화자산과 봉제산업 터전을 지켜내고 이를 지역의 소중한 자산으로 삼아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내고 있는 것이 가장 큰 변화다.
30일 서울시에 따르면 올 연말 마중물사업 마무리를 앞두고 있는 '창신숭인 도시재생선도사업'의 지난 5년 간 변화를 소개하는 시간이 이날 창신숭인 현장에서 열렸다.
'창신숭인 도시재생선도사업'은 종로구 창신1·2·3동, 숭인1동 약 83만㎡ 지역을 대상으로 △공공의 마중물사업(12개 중 11개 완료)과 △이를 보완·확장하기 위한 연계사업(15개 중 13개 완료)으로 추진하고 있다.
마중물사업은 내년 3월 창신3동 공동이용시설인 '원각사' 개관만을 남겨 놓고 있다. 서울시는 마중물사업 종료 이후에도 내년 말까지 노후 도로, 계단, 골목 등을 정비하는 '노후 주거지역 거리경관 개선사업'을 계속해나갈 예정이다.
[자료=서울시] |
서울시는 창신숭인의 변화를 크게 5가지로 소개했다. △봉재산업 보존·활성화(산업재생) △역사·문화 자산의 지역 자원화(문화재생) △정주여건 개선 △지역 맞춤형 특화 프로그램 △지역재생기업(CRC)을 통한 지속가능한 주민주도 도시자생(自生) 기반 마련이다.
먼저 서울시는 마을 주민이자 지역경제의 주체인 봉제인들의 자긍심을 높이고 봉제산업의 재생을 이끌기 위해 마중물사업의 하나로 '이음피움 봉제역사관'을 지난 2018년 건립했다. 이와 함께 창신동의 봉제장인과 패션 디자이너와 모델을 꿈꾸는 전국의 대학생들이 함께 참여하는 '상상패션런웨이', 봉제장인과 젊은 봉제인이 함께 하는 교육프로그램 '소잉마스터 아카데미'도 꾸준히 진행 중이다.
다음으로 한양도성 성 밖 마을부터 일제강점기를 거쳐 오늘날까지 오며 풍부하게 쌓인 역사·문화자산과 이야기를 지역 자원화하는 '문화재생'을 추진하고 있다. 재개발로 사라질뻔한 일제강점기 채석장, 비디오 아티스트 백남준 생가, 원각사 등이 도시재생사업으로 지역의 새로운 랜드마크이자 주민들을 위한 시설로 변신하고 있다.
오래된 동네 창신숭인의 정주여건 개선을 위해 △안전안심 골목길 △누리공간(산마루놀이터) 조성 △주민공동이용시설 조성 등을 통해 기반시설을 정비·확충했다.
또 다문화·1인가구 지원, 공동육아, 부모교육 같이 창신숭인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맞춤형 특화 프로그램으로 1만9000명의 주민들이 참여해 주민의 문화·복지 삶의 질 향상에도 나서고 있다. 특화 프로그램은 각 동별로 조성된 4개 공동이용시설에서 기획·운영한다.
마지막으로 전국 1호 지역재생기업(CRC)인 '창신숭인 도시재생협동조합'을 설립했다. 이를 기반으로 행정의 마중물사업이 주도하는 도시재생에서 주민이 주도하는 지속가능한 '도시자생'의 단계로 진화 중이다.
창신숭인 도시재생협동조합은 지난 2017년 5월 설립 이후 백남준 기념관 내 마을카페와 주민공동이용시설을 운영하고, 다양한 주민참여 프로그램 추진 등을 통해 일자리와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지난 2015년 지역주민들의 아이디어로 되살려낸 이후 창신숭인의 대표축제로 자리매김한 '꼭대기장터'를 비롯한 지역문화행사도 꾸준히 진행하고 있다.
강맹훈 서울시 도시재생실장은 "2013년 뉴타운 해제부터 지금까지 창신숭인 도시재생 사업에 힘써 주신 주민들께 감사한다"며 "국내 1호 창신숭인 지역의 도시재생 사례가 서울을 넘어 국내의 모범 사례가 될 수 있도록 관심과 지원을 계속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dongle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