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출판박물관 '책을 펴내다-우리 근현대 출판사 100년' 개최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학창시절 교과서에서 접한 이광수의 '무정', 윤동주의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의 원본을 전시회에서 만난다.
삼성출판박물관(관장 김종규)은 3.1운동 100주년을 기념하는 기획전 '책을 펴내다-우리 근현대 출판사 100년'을 오는 11월 1일 개막해 오는 12월 10일까지 소개한다. 이번 전시는 1897년 서점으로 설립해 출판 활동을 한 회동서관부터 문학지성사(1975), 한길사(1976)에 이르는 근현대 주요 출판사 37곳의 출판물 110여 점을 선보이는 자리다.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김종규 삼성출판박물관 관장 2019.10.28 89hklee@newspim.com |
이번 전시는 출판으로 본 근대의 역사와 문화를 담고 있다. 일제시대 어려웠던 출판 환경과 시대를 풍미한 출판 장르를 살펴보는 재미가 쏠쏠하다.
우리나라 근대 출판의 역사는 1883년 정부에서 신문이나 도서를 출판하기 박문국를 설치하고 신식 연활자와 인쇄기계를 도입하면서 시작한다. 이후 최초의 민간 출판사이자 근대식 민간 인쇄소였던 광인사가 1884년 설립됐다. 1888~1910년 사이 광문사, 박문사, 신문관, 문아당, 보문관, 보성사, 휘문관 등 인쇄소가 들어섰고 이곳에서는 출판도 겸했다.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국내 최초 염가 소설인 '육전소설'들 2019.10.28 89hklee@newspim.com |
일제에 의한 강제병합 이후 출판은 1909년 2월 공포된 출판법의 제재를 받아 원고 검열을 받은 후 출판이 허가됐다. 출판 뒤에는 원고와 인쇄본을 납본하게 해 허가된 원고대로 발행됐는지 검열한 뒤에야 판매를 허가했다.
1908년 설립된 신문관과 1897년 서점으로 설립된 회동서관의 출판 활동이 두드러졌다. 이곳에서는 1917년 '매일신보'에 126회에 걸쳐 연재된 한국 최초의 현대 장편소설 '무정', 한용운의 '님의 침묵' 등을 펴냈다. 이번 전시를 기획한 표정훈 출판평론가는 회동서관에 대해 "우리나라 첫 민관 출판사이며 이광수의 '무정'을 출판한 곳이다. 이번 전시에 소개된 '무정'은 9판 중 5판에 해당한다. 표지는 앞서 소장자가 다른 것으로 씌워놓았다. 이 점이 굉장히 이색적"이라고 설명했다.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이광수의 '무정' 9판 중 5판 2019.10.28 89hklee@newspim.com |
회동서관의 베스트셀러는 종두법을 보급한 지석영의 '자전석요'다. '자전석요'는 근대식 옥편으로 자음과 자의를 한글로 달아 한자의 소리와 뜻을 알아보기 쉽게 하고 속음과 속자를 붙여 근대적 색채를 띤다. 한글 표기에 관한 것도 있어 맞춤법에 대한 지석영의 견해를 살펴볼 수 있다.
우리나라 근대 종합잡지인 '소년'도 공개된다. '소년'을 펴낸 신문관은 최남선이 설립했다. 최남선은 1908년 11월 최초의 근대적 종합잡지인 '소년'을 발간한 후 1911년 5월 통권 23호로 종간했다. 이외에도 신문관에서는 최초의 염가 소설 '육전 소설'을 판매했다. 전시장에는 책 표지에 '륙전쇼셜'이 쓰인 국민단편집 '삼설기'를 볼 수 있다.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윤동주의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초판 2019.10.28 89hklee@newspim.com |
편지 쓰는 법이 유행했던 시기도 있었다. 표 평론가에 따르면 1920~1903년대 사람들이 '편지 쓰는 법'에 대한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 이광수가 쓴 '춘원서간문범'은 1939년 초판을 내고 1941년 4월 5쇄를 낼 만큼 인기가 많았다. 또 철학가이자 수필가인 김형석의 '영원과 사랑의 대화'(1961)도 60만 부를 판매할 정도로 당대 베스트셀러였다.
홍난파가 번역한 빅토르 위고의 '예사', 그의 음악적 견해가 깃든 우리나라 최초의 음악산문집 '음악만필', 최초의 대중 요리서인 방신영의 '조선요리제법'도 전시돼있다.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한국 최초 근대식 옥편인 지석영의 '자전석요' 2019.10.28 89hklee@newspim.com |
표정훈 평론가는 근대 시기 출판계의 어려움 점도 언급했다. 광복 이후에는 종이가 귀해 교과서 외의 책을 만들려면 많은 어려움이 따랐다. 그는 "8.15 광복 이후 1945년 말까지 45개 출판사가 군정 당국에 새로 등록했다. 당시 종이는 일본인이 버리고 간 조선양지배급회사 창고에 쌓인 것이 전부였다. 교과서를 만드는 것이 가장 급했고 다음으로 신문용지에 배정되고 남은 종이가 출판사 몫이었다"고 설명했다.
이번 전시는 김장훈 관장의 소장품으로 구성됐다. 올해 80세인 김 관장은 20대부터 고서를 모으기 시작했고 1990년부터 삼성출판박물관 관장을 지내고 있다. 김 관장은 "우리 기획전은 항상 소장품으로 진행한다. 스무살 부터 소장을 시작했으니 소장품 수를 세어보면 어마어마하다"며 "올해 3.1운동 100주년을 맞아 출판의 역사 100년을 돌아보고자 했다"고 강조했다.
89hkle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