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LH와 맞손...LH 500세대 '인공지능 돌봄' 제공
사회적 가치 창출 제고 노력
[서울=뉴스핌] 김지나 기자 = #. "아리야, '두뇌톡톡' 시작해."
SK텔레콤 인공지능(AI) 스피커를 향해 말하자 "준비되셨으면 파이팅이라고 말씀해주세요."라고 응답한다. 스피커 안내에 따라 "화이팅"을 외치면 프로그램이 시작된다.
AI 스피커가 "세 가지 힌트를 내겠습니다. 자동차에서 볼 수 있습니다. 운전할 때 꼭 착용해야 합니다. 생명을 지켜줍니다. 이것은 무엇일까요?"하고 질문한다. "안전벨트!"라고 답하자 AI 스피커가 "이것은 안전벨트입니다"라고 답한다.
![]() |
이준호 SK텔레콤은 SV추진그룹장이 AI기반 치매예방 프로그램에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김지나 기자] |
SK텔레콤이 노인들을 대상으로 새롭게 선보인 AI 기반의 치매예방 프로그램이다. SK텔레콤은 1일 서울 중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취약계층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AI 기반의 치매예방 프로그램 개발 및 확산에 나선다고 밝혔다. SK텔레콤이 추진하고 있는 사회적 가치 창출의 일환이다.
이준호 SK텔레콤은 SV추진그룹장은 "현재 경기도 지역과 충청도, 대전 지역을 포함해 총 9개 지자체에서 AI 기반 치매예방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다"면서 "총 3600 가구에서 (AI 기반 치매예방 프로그램을)설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SK텔레콤과 LH는 서울 강북구 번동 및 노원구 중계동 LH 임대단지 내 독거노인 및 장애인 등 총 500세대 대상으로 건강관리 기능이 대폭 강화된 '행복커뮤니티-인공지능 돌봄' 서비스를 1일부터 선보인다.
인공지능 돌봄 특화 서비스는 치매예방을 위해 '두뇌톡톡'을 추가했다. 또 예방접종 등 행정 정보를 접할 수 있는 '소식톡톡'과 건강 정보를 알려주는 '건강톡톡'도 함께 선보였다. '두뇌톡톡'은 현재 주요 대학과 전국의 병·의원, 치매안심센터 등 100여 곳에서 운영되고 있는 인지 능력 강화 훈련 프로그램을 국내 처음으로 음성 기반 AI 서비스로 구현한 것이다.
윤정혜 서울대 교수(보라매병원 연구팀)은 치매예방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해 "1주일에 하루 한 시간 반 씩 3개월 실시하면 치매를 5년까지 지연할 수 있다는 검증 결과가 나왔다"면서 "이것을 과학기술에 접목해 어느 정도 효과를 얻을 수 있을 진 이제 연구를 시작하는 단계"라고 설명했다.
LH공사는 자체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사회복지관, 관리사무소 등 주거복지 인프라와 결합해 SK텔레콤의 '인공지능 돌봄' 서비스의 효율성을 높일 계획이다. 또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현장 돌봄 매니저를 선발하고 세대 방문 및 상담을 통해 입주민에서 1대 1 맞춤 케어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 긴급 상황이 발생하면 관리 사무소와 연계해 화재와 지진 등 비상상황 알림 서비스도 종합적으로 제공한다. 향후 연구임대단지 내 사회복지관에 취약계층을 위한 노인전문 상담사를 배치할 계획이다. 양 사는 1년간의 시범사업 결과를 분석해 LH형 서비스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전국 임대단지로 확대하고 서비스를 고도화하는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준호 그룹장은 "LH의 행복커뮤니티 프로젝트 동참을 계기로 더 많은 기관 및 지방정부와의 협업관계를 확대해 나가도록 할 계획"이라며 "데이터 분석 결과를 토대로 독거 어르신에게 맞는 맞춤형 콘텐츠도 지속 개발·제공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abc123@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