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각형 법당지, 북한 금강산 정양사에도…고려시대 화려한 문화 특징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화천 추정 계성리사지 유적 발굴조사에서 국내 최초로 육각형 모양의 건물지가 확인됐다.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은 화천군(군수 최문순)과 (재)강원고고문화연구원(원장 지현병)이 시행한 화천 추정 계성리사지 유적 발굴조사에서 육각형 모양의 건물지가 확인됐다고 30일 밝혔다.
1호 건물지 육각형 형태 [사진=문화재청] |
추정 계성리사지는 고려 전기에서 조선 후기까지 운영된 산지 가람의 사찰로 신라 말~고려 초의 일반적인 평지 가람 배치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곳이다.
이번 발굴조사는 보물 제496호 화천 계성리 석등 정비 사업의 하나로 시행됐다. 중심사역으로 확인된 구역에서는 정밀발굴조사, 외곽지역에서는 시굴조사가 있었다. 그 결과, 중심사역은 남북축선을 기준으로 중문지, 석탑지, 동·서 석등지, 금당 추정 육각형 건물지가 위치하는 1탑 1금당의 가람배치가 뚜렷했다.
특히 국내 절터에서 최초로 확인된 평면 육각형의 건물지는 이번 발굴조사에서 가장 큰 성과로 평가된다. 고려 전기에 조성된 건물지는 가람배치상으로 볼 때 본존불을 모신 금당으로 추정되는데 육각형 기단에 고맥이 초석(주춧돌)을 사용했다. 고맥이 초석은 하방 밑에 생기는 화방벽과 만나는 초석 측면의 마감을 깨끗이 하기 위해 만들어진 특수한 초석이다.
기단 한 변의 길이는 약 5.4~5.7m, 적심의 지름은 약 1.8~2.2m이며 면적은 기단을 기준으로 약 88.2㎡이다. 이후 조선시대에 가서 평면 방형으로 재건됐는데 정면 3칸, 옆면 3칸, 면적은 약 132.7㎡이다.
고맥이 초석 [사진=문화재청] |
건물지 중앙에는 평면 육각형의 쪼갠 돌(할석)이 깔려 있어 불상의 불대좌가 놓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육각형의 법당지는 현재 북한 금강산 정양사에도 있다. 정양사의 육각형 법당지(현 약사전) 중앙에도 석조본존불이 배치돼 있서 비교 짐작이 가능하다.
또한 제3호 건물지 내에서 확인된 궐수문(고사리 모양 무늬)이 조각된 타원형 석조화덕시설은 그동안 국내에서 확인된 고려시대 화덕시설 중에는 가장 화려하고 격조 높다. 고려시대 차 문화의 단면을 보여주는 특징적인 유구로 볼 수 있다.
사찰 창건과 관련해서는 고려 전기 관리인 최사위의 묘지명에 계성사, 계성사와 매우 유사한 사찰로 알려진 북한 금강산 정양사의 창건에 각각 관여한 행적이 기록돼 있다.
계성사와 정양사, 두 사찰 모두 육각형을 모형으로 법당, 석탑, 석등이 축조돼 유사한 양상을 띠는 있는 것으로 미뤄 최사위(고려 전기의 문신)가 두 사찰을 거의 같은 설계 구도 속에서 대부분 건축물을 조성했던 것으로 파악된다.
아울러 이곳은 북한 금강산의 정양사와 건축구조물에서 매우 유사한 양상을 보여 금강산 관광 등 남북교류가 회복되면 두 사찰을 남북이 공동연구할 가치가 충분한 것으로 연구진은 보고 있다.
한편 현장 공개는 10월 1일 오후 2시에 진행한다.
89hkle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