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고교 교육과정 구속력 강화...성적 체계도 모호
학생부 수상경력 제외...자사고·자공고일반고 전환도
[서울=뉴스핌] 김경민 기자 = 대입 제도 개편과 관련,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가 “현장 교사들이 설계 단계에 직접 참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수업·평가‧기록이 한 몸으로 구성돼야 대입에서 교육 외적인 요소의 개입을 막을 수 있다는 취지에서다.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 산하 대입제도개선연구단은 ‘고교 교육 정상화와 대입 제도 공정성 확보를 위한 포럼’에서 현장 교사 1만명 설문 조사 결과를 30일 발표했다.
[사진=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 제공] |
대입제도개선연구단이 지난 달 19일부터 9월 9일까지 21일간 전국 고등학교 교사의 7.5%인 1만2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고교학점제에 따라 성취평가제(절대평가)를 도입해야 한다는 의견이 79.4%로 조사됐다.
2015 개정 교육과정과 고교학점제 운영 취지를 가장 잘 반영할 수 있는 대입 전형으로는 학종(40.4%)을 꼽았다. 이 외에 새로운 대입 전형 개발 필요(28.4%)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또 84.6%가 2025학년도 고교학점제가 전면 시행되면서 2028학년도 새로운 대입 변화가 필요하다고 답변했다. 향후 교육부 주도로 결정되는 대입 정책의 논의 주체가 바뀌어야 한다는 생각도 75.8%로 집계됐다.
교육계 전문가들은 현 수능 체제의 한계에 대해서 꼬집었다. 김해용 서울시교육청 교육연구정보원 교육연구사는 “수능이 변별력에 초점을 맞추다 보니 과도한 반복학습을 유발하고 훈련을 많이 한 수험생에게 유리하다”며 “따라서 수능에 대한 고교 교육과정의 구속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백분위 점수, 원점수, 등급으로 표기된 현 수능 성적 체계가 모호해 진학 전문 교사가 아니면 성적의 의미를 제대로 알 수 없다”며 “수능을 지속해야 한다면 점수만이라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원점수로 표시하고 그에 따라 백분위와 등급을 산출해야 공정하다고 느낄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학생부에서 불공정성 논란이 지속된 부분을 최소화하자는 주장도 이어졌다.
장광재 숭덕고 교사는 “앞으로 대입정책은 수·정시 비율 논란에서 벗어나 학생부위주전형(학생부교과전형‧학생부종합전형)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발전 시켜야 한다”며 “학생부에서 불공정성을 야기하는 부분을 최소화 하는 식으로 개선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학생부에서 수상경력 제외 △대학의 평가에 대한 객관적 근거‧개선 의지 △교육부의 평가 전문성 점검 등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배정홍 범어고 교사는 “학종 공정성 확보를 위해 생기부 비교과 영역을 제외하고 교과 중심으로 재편하다는 주장이 있는데, 학생부교과전형과 차이가 없게 된다”며 “학생부에 기재되는 내용 중 학교 정규일과를 벗어난 활동 중 기재할 수 있는 봉사활동, 독서활동에 대한 규정을 엄격하게 적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배 교사는 특목고를 제외한 자사고‧자공고를 지정 취소해 일반고로 전환해야 한다고도 덧붙였다.
이에 대해 박종훈 대입제도개선연구단장(경남도교육감)은 “학종의 공정성과 투명성 해법에는 다른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승환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장(전북도교육감)은 “2021년 대입 중장기 로드맵 제시를 위해서라도 교육부는 협의회에 적극적인 협조체제를 갖춰야 한다”고 주장했다.
kmki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