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선미 기자 = 지난 14일(현지시간) 무인기(드론) 공격을 받은 사우디아라비아(‘사우디’) 국영석유기업 아람코의 핵심 석유시설 복구에 최대 9개월이 걸릴 수 있다는 전문가들의 관측이 나왔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2일(현지시간) 사우디 정부 관계자들과 파괴된 시설을 실사한 전문가들을 인용, 시설 파괴 규모로 보아 정상운영까지는 최대 9개월 가량 걸릴 수 있다고 보도했다. 최대 10주 내로 생산을 정상화한다는 아람코의 발표와 상당히 다른 전망이 나온 것.
![]() |
지난 14일 무인기(드론)와 미사일 공격 피해를 입은 사우디 아라비아 국영 석유회사 아람코의 아브카이크 석유시설에서 20일(현지시간) 보수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2019.09.20. [사진=로이터 뉴스핌] |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아민 나세르 아람코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21일 “이미 손실된 생산량의 일부를 회복했으며 9월 말까지 원래대로 복구될 것”이라며 “이번 공격의 영향으로 해외 고객사들의 주문이 단 한 건도 누락되거나 취소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나세르 CEO는 이미 미국과 유럽으로부터 파괴된 시설을 복구할 장비를 공수하기 시작했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사우디 정부와 아람코 고위급 인사들은 현재 패닉에 빠져 있다고 WSJ가 사우디 측 관계자들을 인용해 보도했다. 일부 공급업체들을 통해 맞춤형 부품과 장비를 제조, 운송, 설치하는 데만 최대 1년이 걸릴 수 있다는 설명이다. 또한 복구 비용으로만 수억달러가 들 것으로 전망됐다.
사우디 관계자는 “우리는 여전히 남는 부품을 확보하기 위해 정신없이 뛰어다니고 있다”며 “생각하는 것만큼 낙관적인 상황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아람코 측은 장비 제조업체 및 서비스 업체들과 긴급 회의를 열고 빠른 복구를 위해 부르는 대로 값을 쳐주겠다며 조바심을 내고 있다고 WSJ는 관계자들을 인용해 보도했다.
최근 아람코 경영자들은 베이커휴즈 등 제휴업체들에 전화와 팩스, 이메일 폭탄을 퍼부으며 긴급 지원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4일 아람코의 아브카이크 석유 탈황시설과 쿠라이스의 유전에 대한 무인기 공격으로 인해 사우디 산유량이 일일 570만배럴 감소했다. 이는 전 세계 공급량의 약 6%에 달하는 규모다.
이번 공격에 대해 예멘 후티 반군이 배후를 자처했으나, 미국과 사우디는 이란의 소행으로 보고 있다.
go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