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신약 개발이 얼마나 어려운지 단편적으로 보여주는 사례"
"아쉽긴 하지만 국내 신약 개발 능력에 대한 과도한 우려는 금물"
"막연한 기대감보다는 실제 임상 결과에 기반한 투자 전략 필요"
[서울=뉴스핌] 정경환 기자 = 한미약품의 1조원 규모 기술수출이 무산됐다. 최근 인보사 품목허가 취소 사태에 이어 에이치엘비 임상 실패 소식에 이어 또 한 번 대형 악재가 터지면서 국내 제약·바이오업계가 울쌍이다. 다만, 이번 기술수출 계약 해지가 아쉽긴 하지만, 우수한 성과를 보이고 있는 기업들도 많은 만큼 제약·바이오업종에 대해 과도한 우려를 경계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한미약품 전날보다 11만3000원(27.26%) 내린 30만15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장중한때 30만원이 무너진 29만9000원(27.86%)까지 하락하기도 했다.
이날 한미약품의 급락은 전날 공시로 충분히 예견됐다. 한미약품은 3일 파트너사 얀센이 2015년 11월 6일 계약 체결로 확보한 비만·당뇨치료제(HM12525A)의 권리를 반환하기로 결정했다고 공시를 통해 밝혔다.
회사측에 따르면, 얀센은 한국과 중국을 제외한 전 세계 시장에 대한 독점적 권리를 확보하고, 계약금과 임상개발, 시판허가, 매출단계별 성공에 따른 마일스톤으로 최대 8억1000만달러를 지급하기로 하는 내용의 라이선스 계약을 2015년에 한미약품과 체결했다.
이후 얀센은 최근 진행해 완료된 2개의 비만 환자 대상 임상2상 시험에서 1차 평가 지표인 체중 감소는 목표치에 도달했으나, 당뇨가 동반된 비만 환자에서의 혈당 조절이 내부 기준에 미치지 못해 권리 반환을 결정했다.
한미약품은 다만, "이미 수령한 계약금 1억500만달러는 반환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사진=한미약품] |
진홍국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한미약품은 올해 1월 Eli Lilly(HM71224), 2018년 8월 Zai Lab(올리타), 9월 Boehringer Ingelheim(올리타) 등으로부터 기술반환을 통보받은 바 있다. 올해 3 월에는 파트너사 스펙트럼(Spectrum)이 롤론티스(Rolontis) 허가 신청을 취하했고, 2016년 12월에는 사노피와의 계약이 일부 수정되는 등 신약 개발에 있어 수차례 난항을 겪었다"며 "이는 글로벌 신약 개발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단편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라고 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 분식회계 논란과 코오롱티슈진의 '인보사' 품목허가 취소 사태로 가뜩이나 위축됐던 국내 제약·바이오업계는 또 하나 대형 악재를 떠 안게 됐다. 더구나 바로 지난달 에이치엘비의 리보세라닙 임상3상 실패 우려에 따른 충격이 채가시지도 않아 이번 충격은 더욱 아프다.
이날 코스피 의약품지수는 전날 대비 3.07% 떨어졌고, 코스닥 제약지수도 1.4% 하락했다.
선민정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4월 1일 판매 중단된 인보사, 최종적으로 허가취소로 결정되고 그 이후 발생한 각종 악재들과 노이즈들로 인해 제약·바이오 섹터 내 종목들은 지속적으로 우하향하고 있다"며 "특히, 신약 개발 회사들이 많이 상장돼 있는 코스닥 제약지수는 2분기 17.7% 하락하면서 상반기 코스닥 지수가 690으로 마무리됐다"고 분석했다.
이어 "글로벌 임상 3상을 진행하고 있는 일부 기업들이 임상 3상 데이터 공개 시점을 연기하고, 결과를 발표하기도 전에 자금조달 이슈들이 불거지면서 전체 제약·바이오 섹터 내 기업들의 신뢰도 역시 크게 떨어져 있다"고 했다.
다만, 이번 한미약품의 기술수출 무산에도 불구하고 국내 신약 개발 능력에 대해 너무 걱정할 필요는 없다는 희망적인 얘기도 흘러 나온다.
김태희 미래에셋대우 연구원은 "신약 개발이 매우 어렵다는 점은 익히 알려진 점이지만, 빅파마 대상 1조원에 기술이전됐던 물질의 실패라 아쉬움이 크다"면서 "특히 최근 국내 바이오업체들의 임상3상 결과에 대한 우려가 높아진 시기에 발생했다는 점에서 투자자의 부담은 더욱 클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아쉽긴 하지만 국내 신약개발 능력에 대한 과도한 우려는 금물"이라며 "다양한 신약 개발 업체에서 우수한 성과들이 나오고 있기에 국내 업체의 기술력에 대한 과도한 우려는 자제해야 할 것으로 판단한다"고 덧붙였다.
미래에셋대우에 따르면, 올해 들어 유한양행이 길리어드와 베링거인겔하임을 대상으로 대규모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고, 올릭스와 레고켐바이오도 각각 떼아와 밀레니엄(일본 1위 제약사인 다케다의 항암 전문 자회사)에 기술을 이전했다. 상장을 준비 중인 SK바이오팜도 세노바메이트(뇌전증 치료제)에 대해 아벨 테라퓨틱스와 계약을 맺었으며, 솔리암페톨(수면장애치료제)은 다음 주 미국 출시가 예정돼 있다.
김태희 연구원은 "한미약품도 비록 비만·당뇨치료제의 판권은 돌려받았지만, NASH치료제로 임상1상 중인 Triple Agonist와 HM12525A보다 체중 감소 효과가 뛰어난 LAPS Glucagon, 기존 FLT3 저해제의 내성을 극복할 것으로 예상되는 HM43239, 연내 미국과 중국에서 임상1상 IND 신청이 기대되는 이중항체 등은 여전히 매력적"이라고 언급했다.
선민정 연구원은 "2016년 9월 한미약품의 올무티닙 반환 사태 이후 제약바이오 섹터가 크게 조정받은 것은 사실이지만, 다시 크게 반등하면서 시장의 주도섹터로 부상했었던 사례를 기억한다면 지금은 기술력이 탄탄한, 그리고 R&D 모멘텀이 존재하는 기업들을 저가에 매수할 수 있는 기회"라고 판단했다.
그는 이어 "시장이 과거에 비해 섹터에 대한 이해도가 증가한 만큼 조정기간도 과거에 비해 짧아질 것"이라며 "이제는 막연한 기대감보다는 실제 임상 결과에 기반한 투자 전략이 필요할 때"라고 조언했다.
hoa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