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공표 취업자수는 2017년→2019년 33만명 증가
같은 기간 주36시간 기준 취업자 수는 21만명 줄어
[서울=뉴스핌] 나은경 기자 = 공식적으로 발표되는 취업자 수를 주36시간 근로시간 기준으로 환산해 분석한 결과, 전체 일자리 수가 오히려 감소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4일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이 성신여대 박기성 교수에게 의뢰해 분석한 '근로시간을 고려한 취업자 수 분석' 자료에 따르면 1주일에 36시간 일자리 기준으로 취업자 수를 환산한 결과, 취업자 수는 2019년 2488만4000명으로 지난 2017년 2509만1000명에 비해 20만7000명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에서 공표되는 취업자 수가 같은 기간 2699만2000명에서 2732만2000명으로 33만명 증가한 것과는 상반된 결과다. 이는 통계상의 취업자수 증가가 36시간 미만의 취업자가 주로 증가한 결과라는 설명이다.
[자료=한국경제연구원] |
실제로 같은 기간 주36시간 이상 일한 취업자 수는 71만5000명이 감소한 반면 주 36시간 미만 일한 취업자는 100만5000명이 증가했다. 60대 이상에서는 공식 취업자가 59만4000명 증가했지만 주36시간 이상 일자리 기준 환산 취업자수는 36만3000명 증가에 그쳤다. 20대 이하에서는 공식 취업자가 4만8000명 감소했지만 36시간 근로시간 환산 취업자 수는 10만8000명이 줄었다. 30~40대의 경우 공식 취업자수는 약 37만명이 감소했으나 환산 취업자수는 52만7000명이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용역을 진행한 박기성 교수는 “근로시간을 고려한 '주 36시간 이상 일자리 기준 취업자수'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며 “단기 일자리 촉진, 최저임금 인상, 근로시간 단축과 같은 영향으로 주 36시간 이상 근무할 수 있는 일자리가 단시간 근로로 대체되면서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설명했다.
산업별로는 농림어업,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공무원),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을 제외한 민간산업 분야의 환산 취업자수는 2019년 2079만8000명으로 2017년 2120만4000명에 비해 40만6000명 감소했다. 특히 제조업(17만명), 교육서비스(10만명), 도소매업(9만6000명) 분야에서 감소폭이 두드러져 전체 산업의 환산 취업자 수가 줄어들었다.
박기성 교수는 “취업자 수가 고용 상황을 파악하는 주요 지표가 될 수는 있지만 근로시간 등 일자리의 질과 관련된 지표들도 고려돼야 한다”며 “정부의 고용동향 발표에 '주 36시간 이상 일자리 기준 환산 취업자수'와 같은 보조지표가 함께 제공된다면 일자리 정책을 질적으로 평가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단기 공공일자리, 임시 일자리도 중요하지만 36시간 이상의 양질의 일자리를 만드는 것에 좀 더 힘을 쏟아야 할 때”라고 언급하면서 정부와 산업계가 함께 노력해 줄 것을 촉구했다.
nanana@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