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국립중앙박물관(관장 배기동)은 올해 상반기 개인 소장자 5명으로부터 6건 19점을 기증받았다고 3일 밝혔다.
이 기증품들에는 17세기 조선, 가문의 부장품인 '백자청화묘지', 18세기 영조(재위 1724~1776)대 탕평정치를 대표하는 명신 송인명(1689~1764, 호 장밀헌)의 문집 <장밀헌집>, 20세기 북한 화가 선우영(1946~2009)이 그린 '금강산 묘길상도'가 포함됐다.
유심의 백자청화묘지 [사진=국립중앙박물관] |
전주 유씨 춘호공파 유양석(92)은 전평군 유심(1608~1667)의 '백자청화묘지' 5점(1686년작)을 기증했다. 묘지는 망자의 이름과 삶의 이야기를 돌이나 도자로 만든 판에 새기거나 적어 무덤 주변에 묻어두는 것이다. 이번에 기증된 유심의 묘지는 백자로 만든 네모판에 그의 가계, 생애, 관직 이력, 자손, 성품에 관한 내용을 청화안료로 적었다. 1981년 이장된 전주유씨 5대봉군의 옛 묘역에서 2018년 비가 많이 온 후 발견됐다.
이와 별도로 1981년 전주유씨 5대봉군묘를 이장할 때 유심의 묘와 그의 증조부 춘호 유영경(1550~1608, 광해군 때 영의정), 조부 유열, 부친 유정량(1591~1663)까지 4대 묘에서 수습된 명기 등 93점이 국립중앙박물관에 기증된 바 있다. 따라서 이번 기증으로 유심의 묘지와 명기가 한자리에 모이게 됐다. 조선 중기 최고 명문가의 장례 풍속과 문화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유심은 선조(재위 1567~1608)와 인빈 김씨(1555~1613) 사이에서 태어난 정휘옹주(1593~1653)와 혼인한 부마 전창군 유정량의 장남이다. 따라서 유심은 선조 임금의 외손자이자 인조(재위 1623~1649, 인빈 김씨의 아들인 정원군의 장남)와는 내외사촌 관계가 된다. 유심은 1613년(광해군 5년) 계축옥사로 유배된 부친을 따라 호남에 갔다가 1623년 인조반정으로 풀려나 과거에 급제, 관직생활을 했고 도승지를 역임했다. 그의 묘지에는 공식적인 역사 기록에서는 알 수 없는 유심의 개인적 면모가 담겨 있다. 그가 지극한 효자였음은 '부모가 병들자 손가락을 깨물어 피를 냈고 상을 당해서는 예를 다했다'는 대목에서 전해진다.
오륜행실도 [사진=국립중앙박물관] |
영조 즉위 과정에서 혁혁한 공을 세워 신임이 두터웠던 송인명의 미간행 문집 <장밀헌집> 6책 1질은 그의 9대손 송재원(40)이 기증했다. 송인명은 소론을 대표하며, 영조대 탕평 정책을 입안하고 주도한 관료이나 그동안 문집이 알려지지 않아 그에 대한 연구가 미진했다. 이번 기증으로 영조대 탕평정치 연구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조선시대 의궤 연구에 큰 성과를 이룬 미술사학자 이성미(80) 한국중앙연구원 명예교수는 부친으로부터 물려받은 <오륜행실도> 5책을 기증했다. 1797년(정조 21년)에 간행한 <오륜행실도>는 조선시대 유교윤리 강화 및 한글 활용을 보여줘 국내외 전시에서 활용도가 높다. 첫 번째 권에는 국립중앙박물관장을 역임한 김원룡(1922~1993) 서울대학교 명예교수가 <오륜행실도>의 의의에 대해 쓴 제발문이 있어 눈길을 끈다.
이성미 교수의 남편인 고려대학교 명예교수이자 외무부 장관, 주미대사를 지낸 한승주(79) 아산정책연구원 이사장은 세계적으로 알려진 북한 화가 선우영(1946~2009)이 2000년에 그린 '금강산 묘길상' 1점을 기증했다. 이 그림은 한 이사장이 2006년 10월 윤이상음악제 참관차 평양을 방문했을 때 천리마 제작소에서 선우영 작가로부터 구입했다. 선우영은 북한 최고등급인 인민예술가 칭호를 받았으며, 2002년 2월 미국 전시에 이어 5월 서울남북평화미술축전에도 출품했다. 이 그림은 선우영 특유의 세화기법과 진한 채색으로 금강산 만폭동에 있는 고려시대 마애불 묘길상과 주변 풍경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것으로 평가된다. 특히 국립중앙박물관에 입수된 첫 번째 북한미술품이다.
선우영의 금강산 묘길상도 [사진=국립중앙박물관] |
박영호(64)는 근대기 활동한 서화가 이도영(1884~1933)이 중국 북송의 유명한 서화가이자 괴이한 돌을 좋아한 미불(1051~1107)이 바위에 절하는 모습을 그린 '미불백석도' 1점과 이상범(1897~1972), 노수현(1899~1978), 지성채(1899~1980) 등이 함께 그린 '합벽 화조도' 1점을 기증했다. 이 2점은 2018년 11월 작고한 박영호의 모친이 1970년대에 구입했다. 그는 모친의 문화를 사랑하는 마음이 오랫동안 기억되고 전달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두 작품을 기증했다.
국립중앙박물관 관계자는 "이 소중한 기증품들을 영구히 보존하고 전시와 연구에 활용할 것"이라며 "특히 기증자들의 높고 소중한 문화 사랑 정신을 받들고 전하는 데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89hkle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