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의료 로봇 관련 규제 개선 및 혁신성장 연속 세미나 2차' 개최
[서울=뉴스핌] 박다영 기자 = 수술로봇을 안정적으로 활용되기 위한 방안으로 정부 지원 확대가 꼽혔다. 정부 역시 지원의 필요성에 공감하며 지원 확대를 약속했다.
[서울=뉴스핌] 박다영 기자 = 3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 제1세미나실에서 '수술 로봇의 도입과 안정적 활용 기반 조성을 위한 규제 혁신 방안'을 주제로 '의료 로봇 관련 규제 개선 및 혁신성장 연속 세미나 2차'가 열렸다. 2019.07.03 allzero@newspim.com |
3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 제1세미나실에서 '수술 로봇의 도입과 안정적 활용 기반 조성을 위한 규제 혁신 방안'을 주제로 '의료 로봇 관련 규제 개선 및 혁신성장 연속 세미나 2차'가 열렸다. 이번 토론회는 기동민 의원, 박정 의원, 이철희 의원 등이 개최했다.
수술로봇은 수술이나 시술 과정에서 의사의 통제 하에 작업하거나 의사를 보조하는 로봇 시스템으로 로봇암, 조작 콘솔, 영상장치 등으로 구성된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2015년 국내 의료로봇 산업 규모는 178억으로 연평균 33.4%의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글로벌 의료기기 회사가 기존 시장을 독점해 산업적 역량이 저조하다는 한계가 있다. 또, 빠른 기술변화 속도에도 기술을 개발하고 식약처의 허가, 기존 기술 여부 확인, 신의료기술평가, 보험급여평가 등을 거쳐 시장 진출까지 최대 520일이 걸린다.
'수술로봇 개발 현황'의 발표를 맡은 이병주 한국로봇학회 회장은 수술로봇 개발 전략과 개발을 위해 필요한 정부의 노력에 대해 언급했다.
이병주 회장은 "추격자(fast follower)와 선도자(first mover)의 두 가지 전략이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추격자는 현재 시장이 있어 인·허가가 용이하지만 특허 회피가 어렵고 차별화 기술이 필요하다"면서 "반면, 선도자는 새로운 시장 개척이 가능하지만 선행특허 확보가 가능하다. 대신 인허가에 많은 시간이 걸려 수가 확보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회장은 의료로봇을 개발하는 국내 기업들이 두 전략을 모두 구사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정부는 연구·개발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혁신의료기기로 선정해 구체적 가이드라인을 규정해줘야 한다"며 "심사평가원 역시 좀 더 적극적으로 수가 지정에 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정부 역시 이에 공감하며 의료로봇에 대한 지원 확대를 약속했다.
박영삼 산업통상자원부 기계로봇과장은 "수술의료로봇은 산업적 측면, 사회적 측면을 모두 고려했을 때 중요하다"며 "지속적으로 수술로봇과 관련한 연구·개발(R&D) 지원을 확대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allzero@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