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이민주 기자 = "시대가 아무리 바뀌어도, 이익이 아무리 중요해도 사회적 책임(CSR)을 포기하는 기업은 존재 의미가 없다."
김동연 전 경제부총리는 29일 제주 서귀포시 롯데호텔에서 특강을 갖고 "변화하는 경제환경에서도 기업은 사회적 책임을 완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소기업중앙회가 주최한 '2019 중소기업 리더스포럼'의 폐막식 행사로 진행된 이날 특강에서 김 전 부총리는 "과거 절대 빈곤의 삶 속에서 열심히 공부하고 일하면 성공할 수 있던 시기가 있었지만, 지금은 '교육'이 부모의 재산과 사회적 지위를 대물림하고 계층 이동을 단절하는 수단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 |
| 김동연 전 경제부총리가 29일 제주 서귀포시 롯데호텔에서 '유쾌한 반란'을 주제로 특강을 하고 있다. [사진=중소기업중앙회] |
그는 "과거 조선 시대처럼 계층이동이 단절된다면 결국 혁명을 통해 사회를 뒤집어야만 변화할 수 있는 상황으로 치닫게 된다"며 일부 학자들은 오늘날 계층의 단절 문제가 사회적으로 드러나는 현상이 곧 경제위기라고 진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전 부총리는 "초과공급이 이뤄지는데 증산층의 지갑이 얇아지면서 구매력이 떨어지고 있다. 경쟁의 격화, 이권추구 사회는 결국 경제적 불평등과 계층이동의 단절을 초래하고 사회적 갈등을 빚게 된다"며 "이 모든 과정에 개입하는 것이 '정치'이고 '교육'"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청년 실업과 사회적 계층 이동 문제 등에 대해 기업과 대표들이 관심을 가져야 한다"며 "단순히 어려운 사람, 학생들에게 혜택을 주기 위함이 아니라 사회가 잘 돼 기업이 살아남기 위해서 즉 '기업의 생존전략'으로써 기업이 사회적 책임을 다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 전 부총리는 "중산층의 지갑이 얇아지면서 구매력이 떨어지고 있다"며 "경쟁의 격화, 이권추구 사회는 결국 경제적 불평등과 계층이동의 단절을 초래하고 사회적 갈등을 빚게 된다"고 말했다. 이어 "여러 문제에 대해 기업과 대표들이 관심을 가져야 한다"며 "계층이동의 사다리가 사라진 지금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경영이 생존전략이자 마케팅전략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hankook66@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