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적극 추진에 업계 기대감
구체적 비즈니스모델 제시 없어 아쉽단 의견도
[서울=뉴스핌] 김양섭 기자 = 정부가 지난 22일 발표한 ‘바이오헬스 산업 혁신전략’에 대해 업계 안팎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연구개발(R&D)투자 규모를 기존 2조6000억원에서 4조원대로 늘린다는 게 큰 틀이다. 이밖에 금융·세제지원, 인허가 규제완화 등 여러가지 내용이 있었지만 업계에서는 특히 '데이터'에 대한 정부의 인식 변화를 상당히 고무적으로 평가하는 분위기다.
4일 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 22일 바이오헬스 산업 혁신전략’을 발표하면서 '최대 100만명 규모의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센터 구축' 등 빅데이터 활용 전략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커뮤니티케어와 연속적 건강관리 모형 [자료=보건복지부] |
바이오헬스 핵심전략 중 하나로 '데이터'가 부각된 것이다. 미래의학이 임상, 유전체, 생활습관 정보에 기반한 맞춤형 의학으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데이터 확보가 곧 바이오헬스 경쟁력으로 작용한다는 인식이 정책에 반영된 것으로 평가된다.
이승규 한국바이오협회 부회장은 "특히 데이터 부분이 허들이었는데, 데이터를 통해 바이오산업을 부흥하고자 하는 측면은 맥을 아주 잘 잡은 것 같다"고 이번 정책을 평가했다.
◆ '5대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맥 잘 잡았다"
정부는 5대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는 최대 100만명 규모 유전체 정보, 의료이용, 건강상태 정보를 담는다. 수집된 정보는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 등에 보관해 맞춤형 신약, 신의료기술 연구개발에 활용한다.
2021년까지 1단계로 2만명 데이터를 수집하고, 2029년에는 100만명까지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일부 병원을 '데이터 중심병원'으로 지정해 단일병원 단위 의료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한다. 국내 대형병원은 환자를 진료하면서 500만~600만명에 육박하는 환자 정보를 축적했다.
이를 활용해 의료기기, 신약 등 연구개발이 활발하다. 인공지능 플랫폼을 활용하는 신약 후보물질, 바이오특허, 국민건강 공공 빅데이터 등의 플랫폼도 구축할 계획이다.
이 같은 정부의 데이터 중심의 바이오헬스 육성 방침에 특히 유전체분석업체들의 반응이 긍정적이다.
유전자분석업체 대표 A씨는 "정부가 스터디를 많이 한 것 같다"면서 "업계 의견이 상당부분 반영됐다"고 호평했다. 그는 "우리나라는 휴먼 지놈프로젝트 이후 유전자정보와 관련해 굉장한 경쟁력을 확보했는데 이에 대한 활용 부분이 약했다"면서 "이런 데이터를 잘 활용하면 글로벌시장에서 개인맞춤형 바이오헬스를 선도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또 다른 유전자분석업체 B사 임원도 "다른 파트들은 사실 기존에 계속 얘기들이 나오고 있던 부분인거 같은데, 데이터를 활용하는 측면으로 접근하는 것을 두고 업계에서 상당히 긍정적인 평가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구체적인 비즈니스모델의 제시가 없어 아쉽다는 견해도 있다. AI 의료영상 분석 벤처기업인 C사의 대표이사는 "여러가지 내용중에서 100만명 바이오 빅데이터 만드는 것이 눈에 띄는 대목"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다만 "우리 정부가 DB 모으는건 잘하는데 이걸 응용하는 건 잘 못하는 것 같다"면서 "DB를 통해 개별기업들이 어떤 비즈니스모델을 만들 수 있는지도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주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바이오헬스 국가비전선포식에 참석했다. [사진=청와대] |
ssup825@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