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 연료전지 파워시스템 표준안 IEC 등록
[세종=뉴스핌] 김홍군 기자 = 정부의 주요 경제정책과제인 수소경제 분야에서 우리나라 최초의 국제표준이 나왔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우리나라가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에 제안한 ‘마이크로 연료전지 파워시스템’ 표준안이 IEC 국제표준(IEC 62282-6-400)으로 등록됐다고 26일 밝혔다.
마이크로 연료전지 파워시스템 국제표준은 수소 연료전지 기술을 노트북, 휴대폰 등 소형 전자기기에 적용할 때 필요한 전력에 대한 요구사항을 규정하고 있다.
연료전지는 용량에 따라 노트북 등 마이크로용, 수소차 등 수송용, 가정·건물전원용, 발전소발전용으로 구분된다. 마이크로 연료전지는 60V 직류 미만의 출력 전력을 공급하며, 메탄올을 전해질로 직접 사용하는 DMFC(직접메탄올연료전지) 방식이 대표적이다.
마이크로 연료전지 분야는 표준화 초기 단계로 지금까지 등록된 국제표준이 5종에 불과, 미국, 일본과 함께 우리나라도 국제표준 선점 경쟁에 본격 가세하게 됐다는 평가다.
또한 이번 표준은 전자기기뿐만 아니라 전기 자전거, 전동 카트, 지게차와 같은 경량 차량, 무인주행로봇 등의 분야로도 확대 적용할 수 있다.
우리나라가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에 제안한 ‘마이크로 연료전지 파워시스템’ 표준안이 IEC 국제표준(IEC 62282-6-400)으로 등록됐다.<사진 = 국가기술표준원> |
국제표준 등록을 이끈 이홍기 교수(우석대)는 “마이크로 연료전지는 기존 이차전지에 비해 고에너지 밀도, 급속충진(메탄올 연료카트리지 교체), 핫스와프(hot-swap) 등의 신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면서 ”안전성이 확보되고 가격조건 등이 만족되면 소형 스마트 기기를 중심으로 시장이 급속도록 확대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수소경제를 주력 성장분야로 육성하기 위해 2030년까지 수소경제분야에서 15종 이상의 국제표준을 제안, 전체 국제표준의 20% 이상을 선점한다는 계획이다.
이승우 국가기술표준원장은 “수소경제 제1호 국제표준 등록은 우리나라가 수소경제 선도국으로 도약하는 교두보를 마련한 것”이라며 “수소경제 분야에서 우리가 강점을 가진 기술들을 국제표준으로 적극 반영해 세계 시장을 선점할 수 있도록 지원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kilu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