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산업 재계·경영

속보

더보기

[5G 시대]㊻ 삼성전자 "통신장비·반도체 시장 지각변동"

기사입력 : 2019년05월23일 16:05

최종수정 : 2019년05월23일 16:05

5G 통신장비 점유율 20% 목표...인력 충원으로 적극 지원
반도체 재도약 기회...스마트폰 바탕, 반도체 종합 1위 기대

[편집자] 3G, LTE에 이어 5세대(5G) 통신 시대가 시작됩니다. 사물과 인간이 촘촘히 이어지는 명실상부한 '초연결시대'가 구현되는 것입니다. LTE 보다 20배 빠른 네트워크 속도는 일상의 변화는 물론 인공지능·가상현실·자율주행·스마트홈 등 4차산업혁명을 완성하는 기반입니다. 뉴스핌은 '세계 최초 5G 상용화'와 맞물려 5G란 무엇이며, 기업과 정부의 역할, 바뀌는 세상은 어떤 모습일지 등 총 50회에 걸친 '5G 빅 시리즈'를 준비했습니다.

[서울=뉴스핌] 심지혜 기자 = 이재용 부회장이 지난 16일 일본 이통사 NTT 도코모(1위)와 KDDI (2위) 본사를 방문했다. 5G 사업 협력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서다. 

삼성전자에게 5G 시대는 기회의 땅이다. 통신 장비와 반도체, 스마트폰에서 도약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됐다. 

SK텔레콤이 14일 공개한 5G 기지국 장비. LTE보다 크기는 작지만 성능은 8배 이상 뛰어나다. SK텔레콤은 건물 옥상 등에 5G기지국을 설치해 서비스 품질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사진=정광연 기자]

◆ 내년, 5G 통신 장비 시장 점유율 20% 달성 

삼성전자가 빠르게 성과를 낼 것으로 기대되는 분야는 5G 통신 장비다. 당장 내년 5G 통신 장비 시장 점유율 20% 달성하겠다는 계획은 거의 확실시 되는 분위기다. 

삼성전자는 기존 통신 장비 시장에서 점유율이 화웨이(31%), 에릭슨(27%), 노키아(22%) 등에 밀려 5%에 불과했다(지난해 기준, IHS마킷). 하지만 새롭게 열리는 5G 시장에서 만큼은 선제적으로 나서 기회를 잡겠다는 전략이다. 

5G 통신 장비는 성장 가능성이 높은 분야다. 미래에셋대우 리서치센터에 따르면 글로벌 5G 네트워크 시장 규모는 올해 31억2900만달러(약 3조7360억원)에서 2022년 188억1200만달러(약 22조4596억원)로 연평균 81.5%의 고성장이 예상된다. 5G가 전체 이동통신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26년이면 절반을 넘어설 전망이다. 

특성상 통신 장비는 안정성이 최우선으로 고려되기 때문에 이통사들이 한 번 계약한 공급사들을 쉽게 바꾸지 않는다. 100% 고객 맞춤형으로 제작돼 단가도 높다. 시장 선점이 중요한 이유다. 

이에 삼성전자는 통신 장비 사업을 담당하는 IM부문(IT·모바일) 네트워크 사업부 인력을 충원하며 시장 공략에 적극 나서고 있다. 정규 채용 시즌이 아님에도 자체적으로 채용 설명회를 여는가 하면 스마트폰을 담당하는 무선사업부 인재들을 네트워크 사업부로 배치하는 등의 노력도 하고 있다. 

지난 2월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에서 삼성전자가 S10 5G 스마트폰을 선보였다. [사진=로이터 뉴스핌]

◆ 글로벌 휩쓰는 스마트폰...반도체 성장도 기대

삼성전자는 5G를 기반으로 한 스마트폰과 반도체 사업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스마트폰에서는 발빠른 대응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선두를 달리는 중이다. 

지난달 한국에 이어 5월 16일 미국에 5G 스마트폰 갤럭시S10 5G를 출시했으며 다음달에는 유럽 8개국에 선보일 예정이다. LG전자, 화웨이, 샤오미 등 경쟁사들도 5G 스마트폰을 내놓고 있지만 선제적으로 시장 선점에 나서면서 LTE에 이어 5G에서도 스마트폰 시장 1위를 유지할 전망이다.  

반도체 시장은 장기적 계획으로 대응햔다. 지난해 말 슈퍼 호황기가 저물면서 침체기를 겪고 있지만, 5G 시대를 맞아 다양한 분야에 고성능 반도체가 다량 요구되면서 또 한 번의 큰 성장이 기대되기 때문이다. 현재는 스마트폰이 반도체 사업 성장을 위한 마중물 역할을 하고 있다. 

5G폰 전환에 따른 추가적인 반도체 시장 기회. [자료=IITP, JP모건]

JP모건에 따르면 플래그십 LTE폰과 5G폰의 반도체 구성 요소를 비교한 결과 5G폰에 사용된 전체 반도체 가격이 LTE폰 대비 최대 85%(~110달러) 증가한다. 이로 인한 반도체 추가 수익 규모는 올해 5억4000만달러에서 2021년 141억3000만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조성신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수석연구원은 "5G 성능을 안정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나 통신 모뎀, 고용량 메모리 등이 필요하다"며 "이는 필연적으로 모바일 반도체 시장 확대로 연계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각에서는 퀄컴에 뒤쳐진 삼성전자가 5G 모뎀 칩 시장에서 스마트폰 시장 지위를 가지고 지각변동을 일으킬 것이라는 분석도 내놨다. 시장조사업체 스트래티지 애널리틱스(SA)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5G 모뎀칩 점유율은 올해 7.5%에서 2023년 20.4%로 상승이 기대된다. 

삼성전자는 스마트폰 카메라 등에 탑재되는 이미지 센서 분야 에서도 시장 1위 소니를 잡겠다는 목표도 세웠다. 이를 위해 올 초 이미지 센서 전담 팀을 만들어 기술 개발과 영업에 매진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인공지능(AI), 자율주행차 등의 4차 산업혁명 핵심 기술에서 주력인 메모리 반도체뿐 아니라 시스템 반도체에 대한 요구가 커질 것으로 보고 이 분야에 대폭 투자하기로 했다. 삼성전자는 2030년 시스템 반도체 분야 1위 달성을 위해 연구개발 및 생산시설 확충에 133조원을 투자하고 전문인력 1만5000명을 채용할 계획이다.

 

sjh@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尹대통령 "아내 현명치 못한 처신 사과…특검, 수사 후 부실 있을 때 하는 것" [서울=뉴스핌] 박성준 김가희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이 9일 김건희 여사와 관련한 의혹에 대해 "제 아내의 현명하지 못한 처신으로 국민께 걱정 끼친 부분에 대해 사과드린다"고 밝혔다. 그러면서도 윤 대통령은 야당의 특검요구에 대해서는 "어떤 면에서는 정치 공세, 정치 행위 아닌가"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윤석열 정부 2년 국민보고 및 기자회견'에서 김건희 여사 특검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나오는 것에 대한 의견을 묻자 이같이 답했다. 윤 대통령은 "검찰에서 수사를 시작한다고 발표한 부분에 대해서는 제가 검찰 수사에 대해서 어떤 입장 또는 언급을 하는 것이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오해가 일어날 수 있기 떄문에 거기에 대해서는 제가 따로 언급하지 않겠다"면서 "공정하고 엄정하게 잘 할 것이라고 저는 생각하고 있다"고 했다. [서울=뉴스핌] 윤석열 대통령이 9일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를 하고 있다.[사진=ktv 캡처 ] 2024.05.09 photo@newspim.com 이어 "특검 문제는 제가 지난 1월에 재의요구를 했지만 검찰 또는 경찰의 수사가 봐주기 의혹이나 부실 의혹이 있을 때 특검을 하는 것이 맞다고 야당도 주장해 왔다"며 "특검이라고 하는 것은 일단 정해진 검경, 공수처 등 기관의 수사가 봐주기나 부실 의혹이 있을 때 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도이치(모터스)니 등 사건에 대한 특검 문제도 지난 정부 2년 반 정도 사실상 저를 타겟으로 검찰에서 특수부까지 동원해서 치열하게 수사했다"며 "그런 수사가 지난 정부에서 저와 제 가족을 봐주기 수사를 했다는 것인지, 봐주기 수사를 하면서 부실하게 했다는 것인지, 저는 거기에 대해 묻지 않을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한 윤 대통령은 "그 자체가 모순이라고 생각한다. 특검이라고 하는 것을 20여년 넘도록 여러 차례 운영해왔지만 그런 관점에서 여야가 의견 일치를 보고 해온 것"이라며 "지난번 재의요구에서 했던 특검에 대해서는 지금도 여전히 할 만큼 해놓고 또 하자는 것은 특검의 본질이나 제도 취지와는 맞지 않는, 어떤 면에서는 정치 공세 정치 행위 아닌가"라고 했다. 그러면서 "진상을 가리기 위한 것은 아니지 않느냐, 그런 생각은 여전히 가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parksj@newspim.com 2024-05-09 10:49
사진
[단독] 2005년 이후 '의사고시' 본 외국 의사 424명…헝가리·우즈벡 순 많아 [세종=뉴스핌] 신도경 기자= 지난 2005년 이후 지난해까지 우리나라 '의사 고시'에 응시한 외국면허 의사는 총 424명으로 파악됐다. 이중 절반은 불합격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로 헝가리와 우즈베키스탄 출신이 가장 많았으며, 미국, 독일, 호주가 뒤를  이었다. ◆ 정부, 의사 고시 면제 추진…외국면허 응시자 늘어날 전망 10일 신현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과 보건복지부에서 제출 받은 '국가별 외국의대 국가고시 불합격 현황'에 따르면, 외국의대 졸업생이 국내 의사시험에 응시했다가 합격한 비율은 50.7%에 불과하다. 지난 2005년부터 2023년까지 총 424명의 외국면허 의사가 국내 의사 예비시험(1차 시험)에 응시해 235명이 합격, 합격률은 55.4%였다. 또 예비시험을 거쳐 국가고시(2차 시험)에 응시한 사람은 288명이며 이중 합격자는 215명이었다. 예비시험을 본 외국면허 의사중 국가고시까지 합격한 비율은 절반 수준인 50.7%에 머문 것이다(표 참고). 의사 국가고시는 '의사가 될 자격'을 판단하는 시험이다. 현행 외국 의사 면허 소지자는 '의료법 제5조'에 따라 복지부가 정한 인정 기준에 해당하는 외국 의대를 졸업한 뒤 국내에서 의료 활동을 하려면 국내 의사 예비시험을 통과해 의사 국가시험에 응시하는 자격을 확보해야 한다. 이후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주관으로 치러지는 '의사 국가고시'를 봐야 한다. 정부는 지난 8일 의사집단행동으로 인한 의료공백을 막기 위해 외국에서 면허를 딴 의사들도 보건 의료위기 '심각' 단계에서는 국내에서 진료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내용의 '의료법 시행규칙 개정령안'을 입법 예고했다. 이에 따라 국내 의사고시를 봤으면 탈락했을 외국의대 졸업자들이 대거 의료 현장에 투입될 전망이다.  '외국의대 예비고시의 국가별 현황(2005~2023)'을 보면 헝가리 출신 응시자가 189명으로 가장 많았다. 우즈베키스탄이 71명으로 뒤를 이었고 영국 27명, 미국 23명, 독일 21명, 호주 18명, 러시아 16명 순이었다.  헝가리는 이중 79명이 불합격해 불합격률이 41.7%를 기록했다. 우즈베키스탄은 절반이 넘는 40명(56%)이 불합격했다. 미국도 불합격률이 69.5%(16명)에 달했다.  '외국의대 국가고시의 국가별 현황(2005~2023)'도 헝가리가 119명으로 가장 많았다. 우즈베키스탄(38명), 영국(21명), 독일(18명), 호주(15명)가 뒤를 이었다. 필리핀은 11명이 응시해 10명이 불합격하고 1명만 합격했다.   신 의원은 "외국 의대를 졸업하고 한국에서 국가고시를 다시 보는 이유는 외국에 있는 의료와 한국의 의료 간에 차이가 있기 때문"이라며 "(환자의) 인종과 지역 특성에 따라 질병 양상이 달라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신 의원은 "한국 의료에 대해 얼마나 이해하고 있고 준비가 돼 있느냐는 국가고시를 통해 보는데 자격이 되지 않은 사람을 제한적으로 허용하는 것은 의료의 질을 담보하지 않은 사람이 의료 행위를 할 수 있는 위험성이 있는 것"이라며 "현 정부의 정책은 국민의 의료 이용을 열악하게 만들고 불편한 상황을 초래하고 있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 국가별 의료 수준 달라…"의료체계 후퇴" 우려 신현영 의원이 보건복지부에서 받은 '국가별 외국의대 국내 의사면허 최종 불합격 비율 현황(2005~2023)'에 따르면 30개국 중 불합격률 50% 이상을 차지한 나라는 총 17개국으로 절반이 넘는다. 특히 필리핀은 응시자의 97%가 불합격했다. 미국 84.8%, 우크라이나‧폴란드 75%, 일본 68%, 우즈베키스탄‧벨라루스‧브라질 66.7%, 독일 58.7%, 호주 55.2%, 러시아 55%, 헝가리 52.1%, 오스트리아‧아일랜드‧르완다‧프랑스‧남아프리카공화국 50%, 파라과이 46.7%, 볼리비아 33.3%, 영국 31%, 뉴질랜드‧스위스‧이탈리아‧체코‧카자흐스탄‧몽골 0%다. 나머지 4개 나라는 응시하지 않았다. 외국 의대 졸업자의 국내 의사 국시 불합격률이 높은 반면 한국 의사국시 전체 불합격률은 10% 수준이다. 2022년 국내 의사 국시 합격률은 상반기 97.6%, 2022년 하반기 95.9%다(표 참고) 외국과 한국 의대 불합격률이 차이가 나는 원인은 국내 의대의 경우 4∼6년마다 한 번씩 점검해 의학교육 적합성을 관리하기 때문이다. 반면 외국의대는 국내 의사 국가고시를 볼 수 있는 곳으로 인증받고 난 후 관리·감독 시스템이 전무한 수준이다. 신 의원은 "(외국 의사를 도입하는 정부 방안은) 오히려 의료체계를 후퇴하게 만드는 판단"이라며 "국민도 자격을 갖추지 못한 사람들에게 진료받는 것에 대해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는 "외국 의사가 국내 인증을 받으려면 대학 학제와 교과과정, 학사관리 등이 우리나라 해당 대학 수준과 비교해 동등하거나 그 이상이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sdk1991@newspim.com 2024-05-10 06: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