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펀더멘탈 하락 결과...당분간 주가 회복 힘들 듯"
"과거 무리한 저축성보험 판매탓...치매보험 등 부작용 우려도"
[서울=뉴스핌] 김승동 기자 = 불과 1년여전 시가총액 6조원을 넘나들던 한화생명이 최근 3조원 밑으로 떨어졌다. 3조원 하회는 지난 2010년 기업공개(IPO)이후 처음이다. 시장 전문가들은 당분간 한화생명의 주가 회복이 어려울 것으로 봤다. 일시적인 문제가 아닌 펀더멘탈(기초체력) 하락에 따른 조정이란 분석이다.
23일 한화생명 주가는 3300원(PBR 0.26)선에서 거래되고 있다. 지난해 10월 액면가(주당 5000원)를 밑돈 이후 급락세가 이어진다.
한화생명 주식 차트 [이미지=네이버 증권] |
이처럼 투자자들로부터 외면받는 이유는 한화생명의 성장성 전략 문제라는 분석이 나온다.
한화생명 조정순자산가치는 2017년 8조480억원에서 2018년 8조3100억원으로 늘었다. 하지만 보유계약가치는 1조1350억원에서 3650억원으로 급전직하했다. 군살은 늘고 체력은 떨어졌다. 이에 내재가치 영업이익률(RoEV)은 지난 2017년 9조1840억원에서 지난해 8조6760억원으로 5.5% 줄었다.
이 같은 배경에는 지난 2016년 자산 100조 돌파를 위해 수익성이 낮은 저축성보험을 무리하게 판매한 영양이 컸다. 이를 위해 한화생명은 경쟁사보다 0.3%p 가량 높은 2% 중반대의 최저보증이율을 제시했었다. 당시 새보험국제회계기준(IFRS17) 등을 대비해 보장성보험 판매를 강화하며 체질 개선을 하던 보험업계 행보와 대비됐다.
무리한 저축성보험 판매 부작용으로 순자산은 크게 늘었지만 보유계약가치는 급격히 낮아졌다. 이를 만회하기 위해 한화생명도 보장성보험으로 체질개선을 시도하고는 있으나 경쟁사들에 비해 속도가 더디다.
또 지난해 말 치매보험 등 일부 상품을 집중적으로 판매한 것도 부작용이 우려되는 상황. 보장성보험 판매를 늘리기 위해 경쟁사들보다 언더라이팅(인수심사)를 완화하고 보장금액을 늘린 탓이다.
운용자산이익률이 지속적으로 감소, 이원차스프레드(이원차마진율)가 확대되고 있는 것도 부담이다. 지난 2015년에는 –62bp였지만 2016년은 –71bp, 2017년 -89bp, 2018년 -95bp로 확대됐다. 올해 1분기에는 –132bp까지 벌어졌다. 돈을 굴려 수익을 내기는커녕 보유하고 있는 자산에 부담하는 금리가 더 높다는 의미다. 이로 인한 연간 손실액만 7000억원 내외로 추정된다.
이원차스프레드는 운용자산이익률에서 책임준비금부담금리의 차이다. 확대될수록 자산을 굴려 번 돈보다 보험부채를 유지하기 위한 부담이 더 크다는 의미다.
금융업계 한 관계자는 “생보업계 전체적으로 수익성이 줄어드는 추세”라며 “한화생명의 경우 과거 판매한 확정고금리 저축성보험이 발목을 잡는 형국”이라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상장한 생명보험사 모두 주가가 하락하는 모습이지만 특히 한화생명의 하락폭은 두드러지게 크고 주가회복도 쉽지 않아 보인다”며 “일회성 요인이 아닌 구조적인 문제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한편, 한화생명은 총자산은 116조원으로 삼성생명(262조원)에 이어 업계 2위다. 하지만 시총 규모로 따지면 총자산 33조에 불과한 오렌지라이프(시총 2조8000억원)와 비슷한 수준까지 내려온 상태다.
0I087094891@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