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자연 사건’ 재조사 대검찰청 과거사 진상조사단 이번 달 말 마무리
'대형 이슈' 승리·정준영 사태에 국민적 관심 분산
‘장자연 사건 철저한 수사’ 청와대 국민청원 42만명 돌파
진상규명 요구하는 촛불집회 개최 가능성도
[서울=뉴스핌] 구윤모 기자 = ‘고(故) 장자연 사건’을 재조사 중인 대검찰청 과거사 진상조사단의 활동이 3월말 마무리된다. 기한 안에 철저한 진상규명이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도 점차 커지고 있다.
강남 클럽 '버닝썬' 사태로 모든 사회적 관심이 이 쏠리고 있는 가운데 한켠에선 '장자연 사건을 잊지말자'는 국민적 움직임도 활발하다.
장자연 사건의 배후에 정치, 언론 등 권력층이 연루됐다는 의혹이 큰 만큼 한국사회가 꼭 청산해야 할 문제라는 공감대가 형성됐다는 분석이다.
[서울=뉴스핌] 최상수 기자 = 고(故) 장자연 사건의 목격자인 배우 윤지오가 15일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검찰 과거사위원회의 김학의 전 법무부 차관 등에 의한 성폭력 사건 및 고(故) 장자연씨 사건 진상 규명 촉구'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2019.03.15 kilroy023@newspim.com |
◆10년 만에 수면 위로 올라온 ‘고(故) 장자연 사건’
2009년 3월 신인배우였던 장자연 씨는 기업·언론 등 각계 유력인사들에게 성접대를 하도록 강요받았다는 내용의 문건을 남기고 세상을 떠났다.
그러나 장 씨의 기획사 대표 김 씨가 폭행 혐의로, 장 씨의 매니저 유 씨는 김 씨에 대한 명예훼손 혐의로 집행유예의 형사처벌을 받았을 뿐, 정작 성상납과 관련해 처벌받은 이는 없었다. 그러자 당시 경찰과 검찰이 부실수사를 했다는 논란이 끊임없이 제기돼 왔다.
이후 9년이 흐른 지난해 6월, 법무부 산하 검찰과거사위원회의 권고에 따라 대검찰청 산하 검찰과거사 진상조사단이 사건을 재조사하면서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검찰은 공소시효(2018년 8월4일)를 2개월 앞두고 장 씨에 대한 강제추행 혐의로 전직 기자 조 씨를 불구속 기소했다.
◆시간은 촉박한데 대형 이슈에 묻히고...악재 겹친 진상규명
현재 장자연 사건을 재조사 하고있는 진상조사단의 활동은 이달 말 종료된다.
당시 불거진 혐의에 대한 공소시효가 모두 지나 현재 관련자들의 성접대 정황이 드러나도 이들에 대한 사법적 처벌은 불가능하다. 그러나 검찰의 과거 잘못을 드러내고, 장 씨를 죽음에 이르게 한 원인을 밝혀내야 한다는 국민적 목소리가 높다.
진상조사단은 활동 종료 시한을 추가 연장해달라고 법무부 검찰과거사위원회에 요구했지만 과거사위는 이미 세 차례 연장된 활동을 추가로 연장할 수 없다며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이에 따라 진상조사단은 예정대로 이번 달 말 최종 보고서를 발표하고 활동을 마무리 짓는다. 진상규명을 위한 시간이 보름 남짓 남은 것이다.
더욱이 현재 국내 모든 시선은 승리와 정준영 씨에게 쏠려 있다. 버닝썬 사태가 걷잡을 수 없이 확대되고 있다.
장자연 사건의 진상을 규명할 수 있는 시간은 촉박한데, 또 다른 거대 이슈로 국민적 관심이 분산되고 있는 셈이다.
[사진 =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 캡처] |
◆“장자연 사건 수사기간 연장하라” 커지는 국민 목소리
장자연 사건의 유일한 증언자인 배우 윤지오 씨는 지난 12일 서울동부지검에 설치된 진상조사단에 참고인 자격으로 출석했다. 그는 언론, SNS 등을 통해서도 국민들에게 장자연 사건에 대한 관심을 적극 호소하고 있다.
윤 씨는 15일 오전 서울 세종문화회관 앞에서 열린 '김학의 전 법무부 차관 등에 의한 성폭력 사건 및 고 장자연 씨 사건 진상 규명 촉구' 기자회견에서도 “단순 자살이 아니라고 보고 수사에 들어가면 공소시효가 25년으로 늘어난다”면서 “이슈가 이슈를 덮는 불상사가 되풀이되지 않길 소망한다”며 승리·정준영 사태로 인해 약해질 수 있는 국민적 관심을 재차 호소했다.
국민들도 여럿 악재에도 불구하고 장자연 사건에 대한 관심의 끈을 놓지 않고 있다.
지난 12일 청와대 국민청원에 게시된 ‘故장자연씨의 수사 기간 연장 및 재수사를 청원합니다’ 청원은 이날 오후 현재 동의자가 42만명을 넘어섰다. 또 사건의 철저한 진상규명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모이면서 이를 위한 촛불집회가 이달 안에 열릴 가능성도 높은 상황이다.
이웅혁 건국대 경찰학과 교수는 “이슈가 이슈에 묻힐 수 있다는 과거의 ‘학습효과’ 때문에 국민들이 더 의식을 가지려는 경향을 보이는 것”이라며 “특히 장자연 사건은 거대 권력에 의해 진실이 묻힌 것 아니냐는 의혹이 결국 자신도 그렇게 될 수 있다는 체화적 감정으로 바뀌면서 관심이 더 높아졌다”고 설명했다.
iamky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