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연구재단, 한·중·일·미 첨단연구경쟁력 비교 분석
30개 첨단분야 논문수 기준 한국 세계 4위, 일본 6.5위
논문수 증가 연구분야 중국 이어 한국 세계 2위로 많아
질적수준 평가도 30개분야 평균 미국 이어 4개국중 2위
“하지만 한국은 연구분야별 큰 격차 해결해야”
[서울=뉴스핌] 김영섭 기자 = 차세대 태양전지 재료로 꼽히는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 저가의 최신형 배터리인 나트륨이온전지 등 30개 첨단기술의 연구 경쟁력에서 한국이 일본을 '확실히' 제친 것으로 확인됐다.
한국연구재단(이사장 노정혜) 혁신정책팀 연구진은 2013∼18년 30개 첨단 연구분야에서 발표된 한국·일본·미국·중국 4개국의 스코퍼스(Scopus) 등재논문 인용 현황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분석됐다고 17일 밝혔다.
혁신정책팀 박귀순 선임연구원은 이날 뉴스핌과 통화에서 “막연하게 아직도 여전히, 한국의 연구 경쟁력이 일본을 능가할 수준은 아닐 것이란 인식이 어느 정도 있는 것은 사실”이라며 “그런 인식을 깨고 이번 분석결과에서 한국의 첨단기술 연구경쟁력이 일본을 앞지른 것은 의외이지만, 분명히 ‘팩트(fact)’로 확인된 데 연구분석의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2019.02.17. [자료=한국연구재단] |
조사분석 결과에 따르면 한국은 국가별 논문수 측면에서 30개 첨단연구 분야 평균 세계 7위를 기록, 평균 세계 8위의 일본보다 앞섰다.
특히 30개 첨단연구 분야의 논문수 측면으로 순위를 중간값 기준으로 비교했을 때, 한국은 세계 4위였지만 일본은 세계 6.5위로 격차가 더 벌어졌다. 중간값(median)이란 여러 개의 관측치를 크기 순서로 나열했을 때 중앙에 위치한 값을 말한다.
또 6년간의 해당 기간에 논문수가 증가한 분야를 살펴봤을 때, 한국은 전지, 신소재, 반도체 분야를 중심으로 16개 분야에서 논문수가 상승했지만 일본은 면역요법 등 의료분야를 포함해 7개 분야에서 증가하는 수준에 그쳤다.
일본보다 논문수 증가 분야가 2배 이상으로 많은 것이다. 이런 ‘성적’은 26개 분야에서의 논문수 증가로 세계 최고를 기록한 중국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기록이다.
2019.02.17. [자료=한국연구재단] |
무엇보다 30개 첨단연구 분야의 국가별 논문에 대한 질적 수준으로 비교하면, 한국은 일본은 물론이고 중국보다 앞서 미국에 이어 2위의 경쟁력을 갖춘 것으로 평가됐다.
논문의 질적 수준(FWCI) 평가에서 30개 첨단연구 분야의 평균 기준으로 비교했을 때, 한국은 29개 분야에서 1위를 기록한 미국의 4.2점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3.2점을 기록해 중국(2.7점)과 일본(2.7점)보다 높은 점수를 받았다. FWCI 1점은 각 연구분야에서 세계 평균을 나타낸다. 따라서 조사 대상 4개국은 모두 세계 평균 이상으로 질적 수준의 연구경쟁력이 있지만, 절대값 비교에서는 차이가 나는 것이다.
특히 한국은 면역요법 분야에서 학술논문의 질적 수준에서 차별적 우위를 가지면서 양적으로도 이 분야에서 지난 6년간 150% 성장했다. 면역요업 분야의 질적 지표는 한국 17.9, 일본 6.0으로 우리의 경쟁력이 거의 3배로 일본보다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또 한국은 양적 측면으로 봤을 때, 유전체편집·광열요법 등 의료분야, 친환경 에너지 분야(이차전지·태양전지·커패시터 등), 촉매, 플렉시블 소재 등에서 상대적으로 강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질적 측면에서 우리나라는 유전체편집·면역요법 등 의료분야, 친환경 에너지 분야(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미생물 연료전지), 오염저감 분야(바이오차), 다양한 소재(반도체 탄소 양자점 발광소재, 플렉시블 소재), 방사화분석 등에서 강점을 보였다.
하지만 연구 분야에 따라 질적 수준 차이가 최고 17.9점, 최저 1.2점일 정도로 매우 커 향후 극복해야 할 과제로 지적됐다.
한편, 중국은 논문수 측면의 연구경쟁력을 봤을 때 23개 분야에서 1위를 기록하며 압도적인 우위를 보였다.
하지만 중국은 논문 수에 비해 질적 수준은 미국과 비교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보면 최상위 연구분야의 질적 수준에서 미국에 비해 56% 정도 수준으로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30개 첨단 연구분야에는 몰리브덴 디칼코게나이드, 산화물 전기화학촉매, 지카 바이러스 감염증, 리튬황전지, 유전체(게놈) 편집, (다적층) 유기태양전지, 비대칭 수퍼커패시터, 면역요법, 광촉매, 장내세균, 반도체 탄소 양자점 등이 포함됐다.
이번 조사결과는 ‘한국·중국·일본·미국 첨단 연구분야 연구경쟁력 비교’란 제목의 한국연구재단 정책연구보고서로 최근 발간됐다. 한국연구재단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유관기관으로 연구개발(R&D) 사업 집행을 주요 업무로 한다.
kimys@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