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연료전지·디자인 등 5개조직 통합...100명 늘어난 400명 유력
총괄임원엔 앨버트 연구개발부문장 겸직 거론
[서울=뉴스핌] 전민준 기자=현대자동차가 미래 먹거리인 수소차 사업을 강화하기 위해 이를 총괄하는 부서를 꾸릴 전망이다. 수소연료전지, 디자인, 상품기획 등 5개 조직에다 인원도 100여명 늘린 400여명으로 출범한다는 내용이다. 총괄임원은 앨버트 비어만 연구개발부문장(부사장)의 겸직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 |
정의선(오른쪽) 현대차 부회장이 올해 1월 8일 미국 자율주행차 전문기업인 오로라의 크리스 엄슨 사장과 차세대 수소전기차 ‘넥쏘’ 앞에서 기술 협력을 강화하기로 한 뒤 악수하고 있다.[사진=현대차] |
18일 자동차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가 조만간 발표할 조직개편안에 수소차 업무를 총괄하는 ‘수소차 총괄사업부’를 출범시킨다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
수소차 총괄사업부는 △수소연료전지 및 주행기술 △ 디자인 △ 상품기획 및 영업 △ 마케팅 등 크게 네 가지 업무를 담당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수소전지와 주행기술을 연구하는 연료전지사업부와 남양연구소 수소차 디자인부서‧영업부서 등 총 300여명의 내부인력을 한 부서에서 구성하기로 했다. 내년에는 임원을 포함해 100여 명을 더 충원할 계획이다.
내년 1월 정식 출범하는 수소차 총괄 사업부 수장은 앨버트 비어만 부사장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지난 2014년 독일 BMW본사에서 현대차로 이직한 이후 고성능차와 수소차, 전기차 개발을 총괄해 온 그를 당장 대체할 만한 전문가를 구하기 어렵다는 게 현대차 내부 관계자들의 평이다.
현대차 관계자는 그러나 “아직 확정한 건 없다”며 “임원 직무에 대해서는 논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니다”고 선을 그었다. 그러면서 “이번 조직개편에는 미래 사업 육성을 위한 비전이 담길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현대차는 수소차 기술 및 설비 투자에 7조6000억 원을 투자하기로 하는 등 신사업 육성에 속도를 내고 있다. 수소차는 현대차의 대표적 미래 먹거리다.
시장조사업체 IHS에 따르면 전 세계 수소차 시장 규모는 올해 5만 대에서 2022년 26만 대, 2030년에는 220만 대로 커질 전망이다. 주요 업체는 일본 토요타자동차와 혼다자동차, 그리고 현대자동차 세 곳이다.
현대차는 1998년부터 수소차 개발에 착수, 2013년 세계 최초의 양산 수소차 투싼ix를 출시했다. 지난 3월엔 완충 시 주행거리(609㎞)가 전 세계 수소차 중 가장 긴 넥쏘를 내놓았다. 업계에서는 현대차의 수소차 기술력은 일본 업체를 앞선다고 평가한다.
현대차는 지난 11일 2030년 수소차 생산량을 연 50만대 수준으로 끌어올리겠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현대차 관계자는 “격변하는 시장에 대응하기 위한 조직개편이 이뤄질 것이다”고 전했다.
minjun8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