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이홍규 기자 = 일본 언론은 지난달 30일(현지시간) 94세의 일기로 별세한 조지 허버트 워커(H.W) 부시 전 미국 대통령에 대해 '냉전 종결을 이끈 주역'으로 묘사했다.
1일 니혼게이자이신문은 부시 전 대통령의 부고 기사를 통해 1989년 "베를린 장벽 붕괴 이후 냉전 종결로 이끈 주역 중 한 명"이었다며 "전후 세계의 변전과 운명을 같이한 지도자"라고 평가했다.
산케이신문은 부시 전 대통령에 대해 "(19)89년 12월 몰타에서 고르바초프 소비에트연방(소련) 공산당 서기장과 회담하고 동서 냉전을 종결시켰다"고 설명했다.
NHK도 부시 전 대통령은 "당시 소련의 고르바초프 서기장의 개혁 노선을 지지하고 협조를 진행했다"면서 "1989년 몰타 회담에서 냉전의 종결을 선언해 전후 오랫동안 이어온 미소의 대립에 종지부를 찍었다"고 전했다.
또 "1990년에 이라크가 인접국 쿠웨이트를 침공해 이른바 '걸프 위기'가 발생했을 때, 이를 강하게 비난하고 이듬해에는 다국적군을 편성해 걸프 전쟁 돌입을 결정"했다며 "이라크군을 철수하는 방향으로 몰아내 쿠웨이트를 해방했다"고 보도했다.
아사히신문도 부시 전 대통령의 냉전 종식 역할에 대해 설명했다. 그러면서 차후 경기불황을 타개하지 못해 지지율이 낮아진 점을 언급, 역대 대통령 가운데 재선을 이루지 못한 세번째 대통령이 됐다고 전했다.
![]() |
미국 제41대 대통령이었던 당시 백악관에서 사우디아라비아 주둔 미군에 관해 이야기 하는 조지 허버트 워커 부시. 1990.08.29. [사진=로이터 뉴스핌] |
bernard020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