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말 미국 금리 3.25% 되면, 한국 통화정책 불확실성 커질 수도"
[서울=뉴스핌] 김지완 기자 = 내년에도 올해처럼 국내 채권 시장에 수요가 몰릴 것으로 전망했다. 또 외국인 자본 이탈 가능성도 높지 않을 것으로 판단했다.
김영도 한국금융연구원 자본시장연구실장은 1일 금융연구원 주최로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2019년 경제 및 금융 전망 세미나'에서 "보험사·연기금 국내채권 투자는 고령화에 따른 연금자산 축적으로 확대세가 지속될 전망"이라면서 "보험사의 외화자산 30% 한도 소진과 환헤지 비용 상승으로 내년 해외채권 투자 확대 여지가 줄어 국내채권에 수요가 집중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국민연금마저도 국내채권 배분 비중을 낮췄으나 연간 10조원 이상 확대됐다는 설명을 곁들였다. 한미 정책금리 역전으로 국내 투자자가 미국 달러채에 투자시 환 헤지 할 경우 연 1.0~1.3%포인트 추가 비용이 소요된다.
1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2019년 경제 및 금융 전망 세미나'에서 산업 동향과 전망에 대한 발표와 토론이 진행되고 있다 [ 사진 = 류태준 수습기자 ] |
외국인 자금 유출 가능성은 높지 않을 것으로 봤다.
김 실장은 "글로벌 달러유동성이나 한국 신용위험에 큰 충격이 없는 한 외국인 채권자금 유출은 국채·통안증권 수급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준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외국인 채권투자자금 중 55~60% 가량이 외국 중앙은행"이라면서 "그 외 국부펀드 등 장기투자기관 자금이 많아 국채 수급에 큰 영향을 미칠 만큼의 유출 가능성은 낮다"고 덧붙였다.
실제 올해 외국인 채권투자자금은 지난 9월 말까지 13조9000억원이 유입됐다.
내년 시장금리가 2회 이상 인상되지 않지만, 미국 금리가 3.25%에 도달하면 불확실성이 커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김 실장은 "1.9%대 물가상승률은 지난해 하반기 기저효과가 크다"며 "금리급등 시 가계의 건전성 훼손 위험이 존재하고, 경기둔화 조짐이 있어 2회 이상 금리인상 가능성을 높게 평가하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 채권시장이 한 차례 정책금리 인상을 이미 충분히 반영하고 있고, 추가 금리상승 가능성은 반영하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내년말 미국 정책금리가 3.25%에 이를 경우 국내 통화정책 불확실성이 커질 수 있다며 여지를 남겼다.
swiss2pac@newspim.com